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Mobius Strip of Labor-Capital and Labor in Korean Novels in the Late 2010s : As an idea of how to set up problems in future narrative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62-93
https://doi.org/10.15686/fkl.2021..52.62
Mijeong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2010년대 후반 노동–자본의 조건이 서사와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오늘날 노동–자본 관계가 텍스트 안에서 어떻게 의식·무의식적으로 교섭하고 있는지 살핀다. 이것은 반드시 오늘날 노동의 조건과 시대의 성격에 대한 검토를 요구한다. 이 글이 특히 주목한 것은, 오늘날 시스템에 인간이 부드럽게 공모되어 가면서 노동–자본의 관계가 단순한 적대로 환원될 수 없는 복잡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능동적, 주체적 인간관 역시 흔들리고 있다. 이것은 창작방법의 차원에서 일·노동 소설 주인공의 캐릭터가 만들어지는 측면과도 관련된다. 소설의 캐릭터는 대체로 그가 속한 시스템 및 그가 하는 일에 의해 결정된다. 두 번째로 이 글은, 노동을 문제설정하는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일·노동 소설들은, 일을 둘러싼 ‘모멸’과 ‘존엄’ 사이에서 갈등하고 고민한다. 그리고 결국에는 ‘존엄’ 쪽으로 도약하기를 갈망한다. 이런 점에서는 과거의 일·노동 서사와 크게 다를 바는 없다. 하지만 이러한노동의 관점은 근대적 ‘인간=비오스(bios)=존엄=능동=주체=개체=자립= 심신건강’ 등의 가치에 기대고 있다. 이것은 자연스레 ‘동물=조에(zoe)=모멸= 수동=객체=의존=장애=질병=나이듦’을 구성적 외부로 갖는다. 그리고 노동의 규범성은 이런 구성적 외부를 지양하면서 추구되어왔다. 그렇기에 노동할 수있는 권리는 곧 시민권과 동일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때 임금노동으로 환원될 수 없는 수많은 활동과 정동을 놓치기 쉽다. 또한 권리의 분배 문제를 틀지우는 자본주의 시스템 바깥에 대한 상상도 봉쇄되기 쉽다. 즉, 노동은 현실 속 시민권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다른 관계와 세계에대한 상상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궁극적으로 근대의 노동중심성을 질문하는 것은 이 글의 조심스러운 결론이자 다른 글의 시작이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labor-capital, control society, soft tyranny, citizenship, modern labor perspective, relational labor, Korean novels in the late 2010s, 노동–자본, 통제·제어사회, 부드러운 전제, 시민권, 근대적 노동관, 관계적 노동, 2010년대 후반 한국소설

Reference

1.

김세희, 『가만한 나날』, 민음사, 2019.

2.

김혜진, 『9번의 일』, 한겨레출판, 2019.

3.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 2019.

4.

조해진, 『환한 숨』, 문학과지성사, 2021.

5.

박정훈, 『이것은 왜 직업이 아니란 말인가』, 빨간소금, 2019.

6.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3.

7.

마리아 미즈, 최재인 역,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갈무리, 2014.

8.

마리아로사 달라 코스따, 이영주, 김현지 역, 『페미니즘의 투쟁』, 갈무리, 2020.

9.

마우리치오 랏짜라토, 이성혁 역, 『사건의 정치』, 갈무리, 2018.

10.

마크 피셔, 박진철 역, 『자본주의 리얼리즘』, 리시올, 2018.

11.

실비아 페데리치, 황성원 역, 『혁명의 영점』, 갈무리, 2013.

12.

아마미야 가린, 김미정 역, 『살게 해줘!: 프레카리아트, 21세기 불안정한 청춘의 노동』, 미지북스, 2017.

13.

제이슨 W. 무어, 김효진 역, 『생명의 그물 속 자본주의』, 갈무리, 2020.

14.

존 홀러웨이, 조정환 역, 『크랙 캐피탈리즘』, 갈무리, 2013.

15.

질 들뢰즈, 김종호 역, 『대담』, 솔, 1991.

16.

캐슬린 린치 외, 강순원 역, 『정동적 평등: 누가 돌봄을 수행하는가』, 한울아카데미, 2016.

17.

한나 아렌트, 이진우, 태정호 역,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18.

柴田隆行(監修), 石塚正英, 『哲学·思想翻訳語事典』, 論創社, 2013.

19.

生田武志, 『いのちへの礼儀』, 筑摩書房, 2019.

20.

강경석, 서영인, 강지희, 이철주 좌담. 「새로운 작가들의 젠더 노동 세대감각」. 『창작과비평』제47권 제1호(통권 제183호), 창비, 2019, 264-292쪽.

21.

김미정, 「소유를 질문한다: 문학과 커먼즈(1)」, 『웹진 문화다』, 문화다북스, 2019.8.16. http://www.munhwada.net/home/m_view.php?ps_db=letters_vilage&ps_boid=42&ps_mode= (최종검색일 2021.4.22.)

22.

문무기, 「간접고용(근로자공급·하도급·파견·용역) 규율의 법리」, 『노동리뷰』 통권4호, 한국노동연구원, 2005. 4, 35-46쪽.

23.

박정훈, 「알바노동과 기본소득」, 『문학3』, 창비, 2019년 2호, 39-49쪽.

24.

박정훈, 「쌈디와 전소미의 ‘알바 광고’, 이렇게 전복적일수가」, 『오마이뉴스』, 2019.2.19. (http://www.ohmynews.com/NWS_Web/Series/series_premium_pg.aspx?CNTN_CD=A0002512607) (최종검색일 2021.4.22.)

25.

정고은, 「노동이 멈춘 자리—방현석 노동소설 재독」, 『반교어문연구』 제46집, 반교어문학회, 2017. 9, 173쪽.

26.

조현일, 「노동소설과 정념, 그리고 민주주의—김한수, 방현석, 정화진의 소설을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제54권 0호,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81-109쪽.

27.

이혜령, 「노동하지 않는 노동자의 초상—1980년대 노동문학론 소고」, 『동방학지』 제175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5, 315쪽.

28.

오길영, 「합당한 수상작인가?: 김세희 소설집 『가만한 나날』과 이소호 시집 『캣콜링』」, 『황해문화』통권105호, 새얼문화재단, 2019년 봄호, 405-419쪽.

29.

오길영, 「노동소설에서 사회소설로: 장류진 『일의 기쁨과 슬픔』과 김혜진 『9번의 일』」, 『황해문화』 통권107호, 새얼문화재단, 2020년 여름호, 299-314쪽.

30.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연구』 제46집, 반교어문학회, 2017, 131쪽.

31.

Guy Standing, “Left Should Stop Equating Labour With Work.”, Social Europe(2018.3.13.)https://www.socialeurope.eu/why-work-not-labour-is-ecological-imperative. (최종검색일 2021.4.22.)

32.

커먼즈 연구활동가 번역 모임 http://commonstrans.ne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