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Methods of Regionalism and Gender of Transnational/Local in Chong-Mag 2 : On Literary Criticism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294-339
https://doi.org/10.15686/fkl.2021..53.294
KIM BOK S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4.19 이후 리저널리즘의 재편 요청과 관련하여, 『청맥』의 ‘제3방안’은 아시아 리저널리즘의 제5계보를 제시한다. 제5계보란 반둥정신을 체화한 것으로서, 반제반식민과 ‘자유로서의 발전’론이 결합한 형태였다. 당대 잡지 중 이에 속한 경우는 『청맥』이 유일하다. 이 계보에서는 ‘빵과 자유’를 동시에 요청하면서 발전의목적으로 ‘자유·민주의 신장’을 역설하였으며, 미국에 대해 객관적 시선으로 천착하고자 했다. 이러한 입장은 문학비평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청맥』에서는 이식문학론·전통부정론을 강렬하게 부정했다. 남의 눈(義眼)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문학을의안문학, 매판문학이라 맹렬히 비판하였고, 서구화=근대화의 관점을 공격하면서 ‘또 다른 보편’을 준비하고 있었다. 전통부정론과 이식문학론은 추녀 콤플렉스로 명명되었다. ‘주체성 없음’을‘성적으로 은유’하는 것으로서, 남성/여성=선/악=미/추의 이분법 하에 배치되었다. 『청맥』은 서구(일본)문학을 타자화하여 한국문학의 정체성 및 주체적 민족문학을 수립하고자 했으며, 그 수단으로 ‘여성(성)’이 ‘부정적’으로 동원되었다. ‘추함’이 예로부터 성의 고정관념을 강화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는 점에서 추녀 콤플렉스는 ‘이중적’으로 문제적이다. ‘슬픈 메타포’로서, 추녀 콤플렉스는 주체성을 강조했던 반둥정신과 호몰로지였다. 조동일은 민족적 리얼리즘론 및 새로운 ‘문학사 방법론’을 주창하였다. 여기서 여성은 이중삼중의 당대 모순의 최대 피해자인 동시에, ‘문학의 주체’ ‘해방의주체’로 자리매김되어 있었다. ‘여성문학’의 범주를 설정함으로써 여성은 더이상‘한국학의 타자’가 아니었다. ‘여성문학비평적 민족문학론’의 계보를 창출해 보여 주는 등 혁명적인 사유의 대전환을 노정하였다. 『청맥』의 참여론은 참여에 대한 ‘이론적 고찰’뿐 아니라 ‘방법론’까지 제시하고 있었으며, 그 자체가 민족문학론 및 리얼리즘론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백낙청의 참여론은 다른 논자들과 ‘매우 다르게’ 민족문학론적, 리얼리즘론적 성격을거의 띠고 있지 않았다. 백낙청은 비젠더적이었지만, 나머지 논자들은 남성중심적이었다. 여기서 여성은 참여·실천 및 행동의 주체도, 인식주체도 아니었다. 역사의 주체는 남성일 뿐 여성은 이에서 ‘소거’되어 있었다. 『청맥』의 특징 중 또 다른 하나는, 조동일의 업적 외에도, 여성문학 비평가를발굴·소개하고 여성노동문학의 가능성을 드러냈다는 점이다. 여성문제의 특수성을 피력하는 등 여성문학비평의 가능성을 확인시키고 있었으며, ‘여성 노동 수기’라는 장르를 설정하여 여성노동자를 기록의 주체, 역사의 주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이상 『청맥』의 비평으로 1960년대 문학(비평)의 독자성이 확보되었다. 『청맥』은 이미 1960년대 중반에 리얼리즘을 핵심 창작방법론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며, 민족문학론과 더불어 리얼리즘을 논의의 ‘중심’으로 재점화해 내고 있었다. 따라서 『청맥』의 민족문학론을 『창작과 비평』의 전사(前史)로 평가한다거나, 리얼리즘 및 민족문학론의 계보를 카프에서 해방 직후를 거쳐 『창작과 비평』으로설정하는 것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부적절한 평가이다. 그간 부당하게 ‘전유’ 되어 온 『창작과 비평』에 대한 비평사적 오류는 수정되어야 한다. 『청맥』은 1960년대의 가장 진보적인 잡지였지만, 젠더 인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았’을 뿐 아니라 여러 논자들의 ‘주체’ 개념에 여성(성)을 배치하고 있지 않아, 진정한 ‘주체’, ‘해방’과는 ‘아직’(not-yet) 거리가 있었다. 『청맥』의 필자들은 타 잡지에서도 활동하였으나, 가장 문제제기적이고 날카로운 핵심적 내용의 글은 『청맥』에 게재하였다. 『청맥』의 비평은 ‘잃어버린 진보의 꿈’이 아니라 ‘새롭게 건축되는 진보의 현실’ 그 자체였다.

keywords
아시아 리저널리즘, 제3방안, 반둥정신, 자유로서의 발전, 이식문학론, 전통론, 슬픈 메타포, 여성문학비평적 민족문학론, 매판문학, 추녀 콤플렉스, 민족적 리얼리즘, 한국학의 타자, 참여론, 여성노동문학, asian regionalism, The Third Plan, Bandung’s spirit, development as freedom, transplantation literary theory, tradition theory, theory of feminist national literature, comprador literature, the ugly woman complex, the theory of national realism, the other of Korean studies, engagement theory, woman’s labor literature

Reference

1.

『청맥』(1964.8-1967.6)

2.

『사상계』(1952.9-1970.5)

3.

『한양』(1962.3-1984.4)

4.

김영민,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2000, 229-375쪽.

5.

김윤식 외, 『한국 현대 비평가 연구』, 강, 1996, 257-351쪽.

6.

김지하, 『흰 그늘의 길 1』, 학고재, 2003, 377쪽, 422-428쪽.

7.

김지하, 『흰 그늘의 길 2』, 학고재, 2003, 38쪽.

8.

김현·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15-16쪽.

9.

노명식, 『자유주의의 역사』, 책과함께, 2011, 275쪽.

10.

민족문학연구소, 『영구혁명의 문학들』, 국학자료원, 2012, 1-457쪽.

11.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편, 『글로벌 냉전의 지역적 특성』, 사회평론아카데미, 2015, 5-9쪽, 67-108쪽.

12.

정용욱 외,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1-272쪽.

13.

하상일,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비평과 매체의 전략』, 소명출판, 2008, 1-214쪽.

14.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 모임, 『『여원』 연구』, 국학자료원, 2008, 1-412쪽.

15.

마루카와 데쓰시, 백지운·윤여일 역, 『리저널리즘』, 그린비, 2008, 1-124쪽.

16.

아마티아 센, 김원기 역, 『자유로서의 발전(Development As Freedom)』, 갈라파고스, 2013, 39-148쪽, 399-419쪽.

17.

오드 아르네 베스타, 오강준 역, 『냉전의 지구사』, 에코리브르, 2020, 1-805쪽.

18.

자크 랑시에르, 안준범 역, 『프롤레타리아의 밤』, 문학동네, 2021, 9-16쪽.

19.

질베르 리스트, 신해경 역, 『발전은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봄날의 책, 2013, 123-126쪽.

20.

클로딘느 사게르, 김미진 역, 『못생긴 여자의 역사』, 호밀밭, 2018, 1-351쪽.

21.

에릭 홉스봄, 박지향·장문석 역, 『만들어진 전통』, 휴머니스트, 2004, 17-44, 493-578쪽.

22.

강경화, 「백낙청 초기비평의 인식과 구조」, 『정신문화연구』 2006년 여름호, 한국학중앙연구원, 175-204쪽.

23.

고명철, 「1960년대 참여문학 비평의 전위성: 저항과 부정의 글쓰기–임중빈의 비평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31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53-75쪽.

24.

구중서·강진호 대담, 「민족문학과 문학사의 연속성」, 『문학의 분출』, 케포이북스, 2008, 193-195쪽, 223쪽.

25.

김건우, 「1964년의 담론지형: 반공주의, 민족주의, 민주주의, 자유주의, 성장주의」, 『대중서사연구』 제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71-90쪽

26.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제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7-60쪽 .

27.

김복순, 「1950년대 소설에 나타난 반미의 양상과 젠더」, 『여성문학연구』 제2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45-92쪽.

28.

김복순, 「학술교양의 사상형식과 ‘반공–로컬 냉전지(知)의 젠더—1950년대 『사상계』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73-125쪽.

29.

김복순, 「『사상계』 기행문에 나타난 아시아 리저널리즘의 재편양상과 재건의 젠더」, 『여성문학연구』 제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217-260쪽.

30.

김복순, 「『사상계』의 「움직이는 세계」에 나타난 리저널리즘의 계보와 트랜스내셔널/로컬의 젠더」,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88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93-137쪽.

31.

김복순, 「『청맥』에 나타난 리저널리즘의 탈냉전지(知)와 트랜스내셔널/로컬의젠더–특집 및 권두언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225-270쪽.

32.

김주현, 「『청맥』지 아시아 국가 표상에 반영된 진보적 지식인 그룹의 탈냉전 지향」, 『상허학보』 제39호, 상허학회, 2013, 295-336쪽.

33.

박연희, 「『청맥』의 제3세계적 시각과 김수영의 민족문학론」, 『한국문학연구』 제53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283-320쪽.

34.

박태순·김동춘, 「통혁당 사건과 『청맥』」,『1960년대의 사회운동』, 까치, 1991, 1-341쪽.

35.

서승희, 「4·19 세대의 주체성 정립과 민족문학론으로의 도정—1960-70년대 염무웅 비평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1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1, 337-358쪽.

36.

서영채, 「민족, 주체, 전통—1950-60년대 전통논의의 의미」, 『민족문학사연구』 제34호, 민족문학사학회, 2007, 10-48쪽.

37.

손남훈, 「1960년대 『한양』의 민족주체성 회복 담론」, 『인문학연구』 제56호,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381-410쪽, 참고

38.

신두원, 「전후 비평에서의 전통논의에 관한 시론」, 『민족문학사연구』 제9호, 민족문학사학회, 1996, 257-275쪽.

39.

안숙원, 「『태백산맥』에 나타난 민족주의 여성상」, 『여성문학연구』 제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39-79쪽.

40.

염무웅, 「에고의 자기점화-최인훈의 초기작들」, 『모래 위의 시간』, 작가 2001, 20쪽

41.

오제연, 「1960년대 전반 지식인들의 민족주의 모색」, 『역사문제연구』, 제25호, 역사문제연구소, 2011, 35-76쪽.

42.

이동헌, 「1960년대 『청맥』 지식인 집단의 탈식민 민족주의 담론과 문화전략」,『역사와 문화』 제24호, 문화사학회, 2012, 3-29쪽.

43.

이명원, 「백낙청 초기 비평의 성과와 한계」, 『타는 혀』, 새움, 2000, 283-303쪽.

44.

이명원, 「최일수의 문학비평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246쪽.

45.

이명원, 「1960년대 신세대 비평가의 등장과 참여문학론.『비평작업』의 비평사적 의의」, 『한국문학논총』 제48호, 한국문학회, 2008, 403-439쪽.

46.

이상갑, 「민족과 국가, 그리고 세계.최일수의 민족문학론」, 『상허학보』 제9호, 상허학회, 2002, 307-328쪽.

47.

이상록, 「민주주의는 개발주의에 어떻게 잠식되어 왔는가.1960년대 한국지성계의 ‘발전’에 대한 강박」, 『역사비평』 제134호, 역사비평사, 2021, 174-217쪽.

48.

임유경, 「1960년대 ‘불온’의 문화정치와 문학의 불화」,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74쪽.

49.

장세진, 「전후 아메리카와의 조우와 ‘전통’의 전유」, 『현대문학의 연구』 제26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5, 167-196쪽,

50.

장세진, 「안티테제로서의 반둥정신과 한국의 아시아 상상」, 『사이間SAI』 제15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3, 135-169쪽.

51.

전성욱, 「성찰적 근대성과 4·19 세대 비평의 한 행호-염무웅론」, 『서강인문논총』 제29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209-234쪽.

52.

전승주, 「1950년대 한국 문학비평 연구-전통론과 민족문학론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제23호, 민족문학사학회, 2003, 300-331쪽.

53.

전승주, 「1960년대 순수 참여 논쟁의 전개과정과 그 문학사적 의미」, 김윤식 외, 『한국 현대 비평가 연구』, 강, 1996, 269쪽.

54.

전용호, 「1960년대 참여문학론과 『청맥』」, 『국어국문학』 제141호, 국어국문학회, 2005, 261-282쪽.

55.

조현일, 「『한양』지의 장일우, 김순남 평론에 나타난 민족주의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3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543-572쪽.

56.

한수영, 「1950년대 한국문예비평론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214쪽.

57.

한수영, 「최일수 연구」, 『민족문학사연구』 제10호, 민족문학사학회, 1995, 136-169쪽.

58.

홍기돈, 「참여문학의 이론적 원리와 비판적 리얼리즘의 성취–구중서의 리얼리즘론에 대하여」, 『영주어문』 제31호, 영주어문학회, 2015, 307-331쪽.

59.

홍래성, 「1950-60년대 김우종 비평의 속성과 그 궤적 변모 양상」, 『사이間SAI』 제28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0, 295-333쪽.

60.

홍석률,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의 분화」, 정용욱 외,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2004, 187-224쪽.

61.

황병주, 「1960년대 비판적 지식인 사회의 민중인식」, 『기억과 전망』 제21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9, 110-149쪽.

62.

허윤회, 「1960년대 참여문학론의 도정」, 『상허학보』 제8호, 상허학회, 2002, 99-122쪽.

63.

렁유, 김수현 역, 「복수성 관리하기–냉전 초기 싱가포르 주변의 정치학」,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1』, 현실문화, 2008, 125-14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