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Invention of the “Erotic” in Early Modern Korea — With a Focus on the Confessing Sexuality and Sex Education Projects in the 1920s and 193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259-293
https://doi.org/10.15686/fkl.2021..53.259
So, Young-Hyun

Abstract

Around the 1930s, a class and gender shift in society took place. Rather than a sequential process, the complex division and reconstruction of modern individuals by class and gender hierarchies was a simultaneous and reciprocal process that occurred alongside changes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it became visible in society as a relational characteristic around sexuality. Since the 1920s, when romantic love became a trend, intellectuals who were concerned about sexual disorders vocalized the need for “scientific knowledge” about sex and sex education. Accepted as new knowledge and a modern knowledge system, sexology, the science of desire, naturalized gender differences by describing changes in modern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as biological sex differences. Once the 1930s began, there was widespread recognition that the social system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that is, there was an awareness that families were in a state of bankruptcy and that sexual chaos had reached its peak. What happened to the formation of discourses and social systems surrounding sexuality in the 1920s and 1930s? This paper analyses narratives, print media, and other publications to identify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sexuality and the social system surrounding in the 1920s and 1930s. The paper simultaneously identifies the existence of sexual desire through forms of confession, and reveals the process whereby “the obscene” was constructed and made into the target of sexual education. By analyzing scenes where sexuality as a threatening force is constructed as the basic principle of an individual’s life, this paper confirms that sexuality was employed to construct an epistemic base for the individual, society, and the nation(/state) alongside a reorganization of society centered on sexuality.

keywords
erotic, the obscene, sexuality, confession, Yeom Sang-seop, New Year’s Eve, sexual desire, sexualization, sexual disorder, sexology, sexual problems, sex education, Kim Pil-rye, Sex Education For Girls, ‘에로’, ‘음란한 것’, 섹슈얼리티, 고백, 염상섭, 「제야(除夜)」, 성욕, 성애화, 풍기문란, 성지식, 성문제, 성교육, 김필례, 『성교육』

Reference

1.

『동아일보』

2.

『조선일보』

3.

『매일신보』

4.

『신동아』

5.

『신여성』

6.

『별견곤』

7.

『동광』

8.

『삼천리』

9.

김필례, 『성교육』, 조선야소교서회, 1935.

10.

염상섭, 『두 파산』, 문학과지성사, 2006.

11.

검열연구회, 『식민지 검열, 제도·텍스트·실천』, 소명출판, 2011, 18쪽.

12.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소명출판, 2009, 266-276쪽.

13.

박차민정, 『조선의 퀴어』, 현실문화, 2018, 34쪽.

14.

서지영, 『경성의 모던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3, 1-327쪽.

15.

소래섭, 『에로 그로 넌센스: 근대적 자극의 탄생』, 살림, 2005, 1-95쪽.

16.

소현숙, 『이혼 법정에 선 식민지 조선 여성들』, 역사비평사, 2017, 382-389쪽.

17.

엄미옥, 『여학생, 근대를 만나다』, 역락, 2011, 309쪽.

18.

가와무라 구니미쓰(川村邦光), 손지연 역, 『섹슈얼리티의 근대』, 논형, 2013, 85-112쪽.

19.

가토 슈이치(加藤秀一), 서호철 역, 『‘연애결혼’은 무엇을 가져왔는가—성도덕과 우생결혼의 100년간』, 소화, 2013, 41-45쪽, 137-139쪽.

20.

게일 루빈(Gayle Rubin), 신해수·임옥희·조혜영·허윤 역, 『일탈』, 현실문화, 2015, 282쪽, 296-297쪽.

21.

낸시 암스트롱(Nancy A rmstrong), 오봉희·이명호 역, 『소설의 정치사: 섹슈얼리티, 젠더, 소설』, 그린비, 2020, 121쪽.

22.

도나 헤러웨이(Donna J . H araway), 황희선 역,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39-41쪽.

23.

미리엄 실버버그(Miriam S ilverberg), 강진석·강현정·서미석 역, 『에로틱 그로테스크 넌센스: 근대 일본의 대중문화』, 현실문화, 2014, 1-606쪽.

24.

미셸 푸코(Michael Foucault), 이규현 역, 『성의 역사』 1, 나남, 2019 (3판), 75-81쪽, 122-123쪽.

25.

요시미 순야(吉見俊哉),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근대와젠더세미나팀’ 역, 『확장하는 모더니티』, 소명출판, 2007, 30-32쪽.

26.

제프리 윅스(Jeffrey Weeks), 서동진·채규형 역, 『섹슈얼리티: 성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1997, 31쪽.

27.

캐슬린 배리(Kathleen Barry), 정금나·김은정 역, 『섹슈얼리티의 매춘화』, 삼인, 2002, 77쪽.

28.

Sabine Frühstück, Colonizing Sex,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pp.55-71.

29.

김수진, 「신여성 현상의 세계적 차원과 사회적 차이」, 『한국여성학』 제22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06, 185-230쪽.

30.

김양선, 「발견되는 성, 전시되는 성—식민지 근대와 섹슈얼리티의 접속」, 『시학과언어학』 제21권, 시학과언어학회, 2011, 49-72쪽.

31.

김지연·김균, 「식민지 근대 신여성의 담론 연구: 1920∼1930년대 한국의 신여성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4호,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194-226쪽.

32.

김지영, 「“기괴”에서 “괴기”로, 식민지 대중문화와 환멸의 모더니티」, 『개념과소통』 제5호, 한림과학원, 2010, 39-78쪽.

33.

류수연, 「조선의 ‘이트(It)’가 된 ‘모던 걸’」, 『민족문학사연구』 제52호,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3, 205-230쪽.

34.

박숙자, 「괴기에서 넌센스까지: 1920년대 취미독물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재현양상 『별건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175-195쪽.

35.

박현숙, 「미국 신여성과 조선 신여성 비교 연구: 복식과 머리 모양을 중심으로」,『미국사연구』 제28호, 한국미국사학회, 2008, 1-50쪽.

36.

서신혜, 「1920~30년대 성교육에 대한 연구—기독교교육자 김필례의 『성교육』을 중심으로」, 『기독교사회윤리』 제38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7, 207-238쪽.

37.

서지영, 「식민지 근대 유흥 풍속과 여성 섹슈얼리티」, 『여성과역사』 제65호, 한국사회사학회, 2004, 132-168쪽.

38.

소영현, 「여학교와 기숙사—식민지기 여학생과 일상 감각의 젠더적 재편」, 『국제어문』 제38호, 국제어문학회, 2019, 77-100쪽.

39.

신순철,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유행가 노랫말로 본 ‘에로–그로–넌센스’의 사회상」, 『현상과인식』 제39권 4호,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123-152쪽.

40.

이명선, 「식민지 근대의 ‘성과학’ 담론과 여성의 성(sexuality)」, 『여성건강』 제2권 2호, 대한여성건강학회, 2001, 97-124쪽.

41.

이명선, 「근대의 ‘신여성’ 담론과 신여성의 성애화」, 『한국여성학』 제19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03, 5-37쪽.

42.

이주라 「식민지시기 괴담의 출현과 쾌락으로서의 공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1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293-321쪽.

43.

이희재, 「일제하 학교신체검사 제도의 시행과 특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44.

전미경, 「1920~1930년대 ‘남편’을 통해 본 가족의 변화—『신여성』과 『별건곤』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29호, 한민족문화학회, 2009, 405-438쪽.

45.

정지영, 「근대 일부일처제의 법제화와 ‘첩’의 문제: 1920-1930년대 『동아일보』 사건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여성과 역사』 제9권, 한국여성사학회, 2008, 79-119쪽.

46.

차민정, 「1920~30년대 ‘성과학’ 담론과 ‘이성애 규범성’의 탄생」, 『역사와문화』 제22호, 문화사학회, 2011, 29-52쪽.

47.

채석진, 「제국의 감각: ‘에로 그로 넌센스’」, 『페미니즘연구』 제5호, 한국여성연구소, 2005, 43-87쪽.

48.

홍양희, 「‘법(法)’과 ‘혈(血)’의 모순적 이중주—식민지시기 ‘사생아’ 제도의 실천, 그리고 균열들」, 『역사문제연구』 제31권, 역사문제연구소, 2014, 345-375쪽.

49.

황혜성, 「“위험한 여성” 플래퍼: 1920년대 미국 문화 단면 읽기」, 『미국사연구』 제22호, 한국미국사학회, 2005, 89-118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