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Jeong Yeon-hee’s novel The Burning Temple is a unique novel that exists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istentialism of Jeong Yeon-hee’s 1950s novels and the feminism of Jeong Yeon-hee’s other serial novels from the 1960s. The novel The Burning Temple disrupts the gender and genre binary separating male-centered mainstream postwar literature and marginalized popular literatu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novel is unique because it centers the narrative on women’s sexual hardships within the context of the Korean War. Simultaneously, the novel tells the story of a young woman who establishes her existential self, an approach that departs from the typical narratives of women’s hardship that sought the re-consecration of postwar literature and melodrama. In addition, the story points toward the potential for community to overcome hardship and emptiness through love. The Burning Temple depicts war as an opportunity for women to achieve existential awareness and objectified female awareness, and it depicts the process of female subjects re-emphasizing motherhood through love and forming a female homo-social community of “Eve,” which deviates from the ideological social system. The failure of the lovers’ revolution leads to the collapse of the sisterhood community; however, this reminds us of the existential conditions that forced us to struggle with the world due to the impossibility of existing outside the system. Furthermore, The Burning Temple represents the determination of young women as existential subjects by restructuring the recurring plot of women’s suffering into a spiral plot with motility in a way that differs from modern, straightforward progress.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in literary history, as it constitutes an original attempt by a female writer to re-emphasize love, war, and revolution in the eyes of an objectified woman through literature in the mid-1960s.
정연희, 『불타는 신전』, 『조선일보』, 1965.1.1.-1965.11.21.
정연희, 『불타는 신전 上』, 대운당, 1979.
정연희, 『불타는 신전 下』, 대운당, 1979.
「여성심리의 심층을 파헤치고 싶어요…」, 『조선일보』, 1964.12.22.
권영민, 『한국문학사』 2, 민음사, 1994, 150-167쪽.
김미현,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378-379쪽.
김윤식·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10, 360-379쪽.
서정철, 『인문학과 소설 텍스트의 해석』, 민음사, 2002, 425-458쪽.
이상진, 「존재의 근원에 대한 여성적 투시—정연희론」, 『페미니즘과 소설비평—현대편』, 한길사, 1997, 343-387쪽.
임옥희, 「가족로망스: 외디푸스화와 욕망의 삼각형」,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13, 19-33쪽.
천이두, 「에고의 구도적 대현실적 자세—정연희론」, 『현대한국문학전집 13』, 신구문화사, 1965, 472-476쪽.
홍석률, 「크게 본 1950년대: 종결되지 못한 분단과 전쟁, 그리고 난민의 삶」,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1950년』, 창비, 2016, 11-32쪽.
마르틴 하이데거, 이기상 역,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182-246쪽.
미하엘 바흐친, 전승희 역,『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98, 407쪽.
미하엘 바흐친, 김근식 역, 『도스또예프스끼 창작론(도스또예프스끼 시학의 제(諸)문제)』, 중앙대학교출판부, 2003, 131-236쪽.
장 폴 사르트르, 방곤 역,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문예출판사, 1993, 7-50쪽.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2008, 159-163; 205쪽.
피터 브룩스, 이승희·이혜령·최승연 역,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소명출판, 2013, 25-106쪽.
강지윤, 「원한과 내면–탈식민 주체와 젠더 역학의 불안들」, 『상허학보』 제50호, 상허학회, 2017, 9-45쪽.
권명아, 「여성 수난사 이야기, 민족국가 만들기와 여성성의 동원」, 『여성문학연구』 제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105-134쪽.
권미진,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생태의식 연구 :오정희·정연희·정찬·한승원 소설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권보드래,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한국문학연구』 제35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101-147쪽 참고.
김미현, 「金裕貞 小說의 카니발적 構造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김복자, 「헤겔의 변증법적 관점에서 본 이브에 대한 재해석」, 『문학과종교』 제6권 1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01 121-138쪽.
김현, 「허무주의와 그 극복」, 『사상계』 제16권 2호, 1968, 사상계사, 297-309쪽.
김현주, 「‘아프레 걸’의 주체화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 : 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21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315-335쪽.
송인화, 「1960년대 연애 서사와 여성주체.정연희 「석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25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8, 143-175쪽.
송인화,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자기세계’ 구축 방식과 나르시시즘의 의미」, 『비평문학』 제35호, 한국비평문학회, 2010, 211-239쪽.
송인화, 「196, 70년대 감성.규율.프레임과 젠더.정연희 자전소설에 나타난 불륜 담론 연구」, 『여성문학연구』 제3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385-415쪽.
송인화,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적 상상력과 여성 정체성」, 『한국문예비평연구』 제31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151-181쪽.
송인화, 「정연희 소설의 죄의식 연구」, 『문학과종교』 제17권 2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2, 105-126쪽.
송인화,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성 연구」, 『문학과종교』 제19권 3호,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63-86쪽.
송인화, 「저항에서 생명으로, 자연을 통한 화해와 치유.정연희 소설의 생태의식」, 『문학과 환경』 제18권 3호, 문학과환경학회, 2019, 155-189쪽.
연남경, 「1950년대 문단과 ‘정연희’라는 위치.전후 지식인 담론과 실존주의 수용의 맥락에서」, 『구보학보』 제27호, 2021, 89-121쪽.
이은기, 「욕정의 대상에서 인류의 조상으로-14~5세기 이탈리에서의 이브인식의 변화-」, 『미술사연구』 제18호, 미술사연구회, 2004, 203-228쪽.
정보람, 「1950년대 신세대작가의 정치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진선영, 「한국 대중연애서사의 이데올로기와 미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진은영, 「니체와 문학적 공동체」, 『니체연구』 제20호, 한국니체학회, 2011, 7-37쪽.
최미진,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자리매김 방식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11권,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395-417쪽.
최미진, 「1960년대 대중소설의 서사전략 연구.정연희의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집』 제25권, 한국문학회, 1999, 77-96쪽.
표유진, 「1950년대 소설의 여성표상 전유와 몸 연구–정연희, 한말숙, 강신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