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Fear of Extinction and the Duet of Birth :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Female Representation in Disaster Film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4, pp.363-391
https://doi.org/10.15686/fkl.2021..54.363
han Young Hye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article critically explores representations of women in director Yeon Sang-ho’s films Seoul Station, Train to Busan, and Peninsula. To understand the method of representing women deployed in these three disaster films, I analyze how the “zombie” represented in the film symbolizes the universal and transcendent power of capitalism as well as how men drive women into a “non-places” in ethical compliance with the capitalist system. Here lies the fundamental deception of men who avoid responsibility for the death and destruction of the land caused by the capitalist system. To overcome the fear of destruction and the end of the earth, satiate their desire to sustain the capitalist system, and obscure their responsibility, men reproduce women as incubators of capital and prey to be sacrificed. Moreover, to overcome the fear of annihilation brought about by the end of the earth and destruction, men continuously summon post-heroes represented by soldiers, revealing their desire to construct a new capitalist nation-state system. In this process, women continue to be forced into violent situations as incubator of production and producing bodies meant to reconstitute a post-Korea.

keywords
재난영화, 여성 재현, 비–장소, 대지, 자본, 인큐베이터, 포스트 대한민국, Disaster film, female representation, non-place, land, capital, incubator, post Korea

Reference

1.

연상호, 「서울역」, 개봉일: 2016.8.17.

2.

연상호, 「부산행」, 개봉일: 2016.7.20.

3.

연상호, 「반도」, 개봉일: 2020.7.15.

4.

로지 브라이도티, 이경란 역,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65쪽.

5.

마리아 미스·반다나 시바, 손덕수·이난아 역, 『에코 페미니즘』, 창비, 2014, 49-50쪽.

6.

슬라보예 지젝, 이현우·김희진·정일권 역, 『폭력이란 무엇인가』, 난장이, 2012, 217-218쪽.

7.

알랭 바디우, 이종영 역, 『윤리학』, 동문선, 2001, 21-51쪽.

8.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장소와 장소 상실』, 논형, 2005, 150쪽.

9.

엘리자베스 그로스, 임옥희·채세진 역, 『몸 페미니즘을 향해:무한히 변화하는 몸』, 꿈꾼문고, 2019, 53-67쪽.

10.

이 푸 투안,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2011, 286쪽.

11.

존 벨라미 포스터, 김민정·황정규 역, 『마르크스 생태학』, 인간사랑, 2016, 176쪽.

12.

테리 이글턴, 전대호 역, 『유물론』, 갈마바람, 2018, 54쪽.

13.

Edna Gorney, “If Only I Had Petal, my Situation Would be Different,” ECOFEMINISM IN DIALOGUE, Edited by Douglas A. Vakoch and Sam Mikey, Lexington Books, 2018, p.80.

14.

권재웅·노광우, 「연상호 감독에 관한 국내 연구의 경향 분석」, 『애니메이션연구』 제16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26-54쪽.

15.

김형식, 「한국사회의 예외상태의 지속과 회복되지 않는 일상–연상호론, 〈부산행〉과 〈서울역〉을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제23호, 대중서사학회, 2017, 187-221쪽.

16.

문강형준, 「재난 시대의 정동–애도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여성문학연구』 제3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41-67쪽.

17.

복도훈, 「빚짐의 도착적인 유대, 또는 속죄의 판타지 (없)는 좀비민국의 아포칼립스–연상호 감독의 〈부산행〉(2016)과 〈서울역〉(2016)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8호, 문학과영상학회 2017, 7-31쪽.

18.

이송이·서정행·오수지, 「전유와 재창조–〈더 리턴드〉와 〈부산행〉에 나타난 좀비와 가족」,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6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131-148쪽.

19.

이윤종, 「좀비는 정동될 수 있는가?:〈부산행〉에 나타난 신자유주의 시대이 정동과 여성 생존자의 미래」, 『여성문학연구』 제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67-100쪽.

20.

이준호, 「부산행과 서울역을 통해 본 좀비의 무의식적 의미–프로이트와 클라인이론을 중심으로」, 『현대정신분석』 제20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76-104쪽.

21.

이 철, 「좀비가 자본주의를 만났을 때–영화 〈부산행〉에 나타난 주인공들의 역할 분석을 중심으로」, 『신학사상』 제178호,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201-243쪽.

22.

이현중,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으로서의 〈부산행〉, 〈서울역〉의 확장 가능성」, 『인문학연구』 제38호, 경희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8, 177-206쪽.

23.

이호걸, 「2010년대 한국 블록버스터 영화의 정치학: 재난물과 영웅사극을 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제25호, 영상예술학회, 2014, 129-167쪽.

24.

임영훈, 「한국 좀비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 〈부산행〉과 〈곡성〉을 중심으로」, 『애니메이션연구』 제17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223-241쪽.

25.

장성규, 「파국과 종말의 상상력: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제19호,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191-192쪽.

26.

정병기, 「영화 〈부산행〉으로 본 자본의 흐름과 국가 및 대중의 대응」,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7권 7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749-762쪽.

27.

최은영, 「한국 영화에 나타난 감염의 은유 방식 연구–〈감기〉(2013), 〈부산행〉(2016)을 중심으로」, 『건지인문학』 제26호,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401-421쪽.

28.

한송희, 「한국 재난 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2010년대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27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9, 98-166쪽.

29.

「【스페셜】힘 있고 단단하게 살아남기를 바라는 마음으로–연상호 감독 인터뷰」(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4717, 검색일: 2021. 09.06)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