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Who are the Readers of Queer Literature and Criticism? : The Audience’s Signifying Practices and Cultural Politics in Love in the Big Cit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4, pp.427-490
https://doi.org/10.15686/fkl.2021..54.427
Jong-Ryun Baek
LIM DONG HYEON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a new epistemology of queer literary criticism that is constantly renewed by readers’ diverse signifying practices. During the queer/feminist reorganization of the literary field — which began in approximately 2017 and 2018 and continues to the present — criticism has repeated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readers. Now, readers are referred to as subjects who are reforming existing literature and creating its future. Some recent works of queer literary criticism, however, have been somewhat insufficient to translate readers’ actual reading experiences into the language of criticism despite claiming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xistence of the reader on a theoretical level. This article examines the figure of the reader as imagined by contemporary queer literary criticism and attempts an interdisciplinary experiment that incorporates in-depth interview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ader theory without readers,” which describes a trend in the Korean literary field to fail to recognize actual readers. We emphasize that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scholars have not fully considered the “audience” of the novel, and, in this context, we specifically analyze readers’ receptions of Park Sang Young’s stories in Love in the Big City and their cultur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heterogeneous reading practices of readers who possess various experiences and identities,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self-transformation through literary texts, breaking away from the practice of reaffirming familiar forms of oppression.

keywords
퀴어, 퀴어 문학, 독자, 수용자, 학제적 연구,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Queer, queer literature, reader, audience, interdisciplinary studies, Park Sang Young, Love in the Big City

Reference

1.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창비, 2019.

2.

박상영,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문학동네, 2018.

3.

성과재생산포럼 기획, 『배틀그라운드』, 후마니타스, 2018, 28-52쪽.

4.

오혜진 기획, 『원본 없는 판타지』, 후마니타스, 2020, 211-258쪽.

5.

천정환, 『근대의 책 읽기』, 푸른역사, 2014, 1-564쪽.

6.

천정환·정종현, 『대한민국 독서사』, 서해문집, 2018, 1-336쪽.

7.

다케다 히로나리, 김상운 역, 『푸코의 미학』, 현실문화, 2018, 1-317쪽.

8.

더글러스 크림프, 김수연 역, 『애도와 투쟁』, 현실문화, 2021, 1-456쪽.

9.

레이먼드 윌리엄스, 김성기·유리 역, 『키워드』, 민음사, 2010, 276-283쪽.

10.

미미 마리누치, 권유경·김은주 역, 『페미니즘을 퀴어링!』, 봄알람, 2018, 1-260쪽.

11.

미셸 푸코, 심세광 역,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1-575쪽.

12.

미셸 푸코, 오르트망 심세광·전혜리 역, 『비판이란 무엇인가? 자기수양』, 동녘, 2016, 37-124쪽.

13.

스튜어트 홀, 임영호 편역,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컬처룩, 2015, 415-436쪽.

14.

에이드리언 리치, 이주혜 역, 『우리 죽은 자들이 깨어날 때』, 바다출판사, 2020, 234-287쪽.

15.

오드리 로드, 주해연·박미선 역, 『시스터 아웃사이더』, 후마니타스, 2018, 1-368쪽.

16.

이엔 앙, 박지훈 역, 『댈러스 보기의 즐거움』, 나남, 2018, 1-232쪽.

17.

존 피스크, 곽현주 역, 『텔레비전 문화』, 컬처룩, 2017, 1-639쪽.

18.

주디스 버틀러, 유민석 역, 『혐오 발언』, 알렙, 2016, 1-372쪽.

19.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 허물기』, 문학과지성사, 2015, 1-431쪽.

20.

피에르 부르디외, 김웅권 역, 『파스칼적 명상』, 동문선, 2001, 1-365쪽.

21.

피에르 부르디외, 하태환 역, 『예술의 규칙』, 동문선, 1999, 1-509쪽.

22.

Edelman, Lee, No Future,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04, pp.1-32.

23.

Halberstam, Judith, In a Queer Time and Place,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5, pp.1-46.

24.

Hall, Stuart, Cultural Studies 1983,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5-24.

25.

Jenkins, Henry, Textual Poachers, London: Routledge, 1992, pp.1-346.

26.

Muñoz, Jose Esteban, Cruising Utopia, New York and London: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9, pp.1-18.

27.

Sedgwick, Eve Kosofsky, Between Me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pp.1-244.

28.

강지희, 「멜랑콜리 퀴어 지리학」, 박상영, 『대도시의 사랑법』, 창비, 2019, 310-335쪽.

29.

김건형, 「‘퀴어 신파’는 왜 안 돼?」, 『크릿터』 제2호, 민음사, 2020, 18-31쪽.

30.

김건형, 「2018, 퀴어 전사」, 『문학동네』 제25권 제3호, 문학동네, 2018, 358-387쪽.

31.

김건형, 「비평의 젠더와 그 사적 패턴들이 지금」, 『문학동네』 제27권 제2호, 문학동네, 2020, 118-133쪽.

32.

김건형, 「소설의 젠더와 그 비평 도구들이 지금」, 『문학과사회』 제32권 제3호, 문학과지성사, 2019, 25-47쪽.

33.

김건형, 「알려지지 않은 농담의 역학과 예술가의 이름」, 『문학과사회』 제31권 제4호, 문학과지성사, 2018, 210-218쪽.

34.

김건형, 「지금, 교차하는 퀴어 서사들이 여는 시간」, 『문학동네』 제26권 제4호, 문학동네, 2019, 104-127쪽.

35.

김건형 외, 「계간평」, 『문학동네』 제26권 제2호, 문학동네, 2019, 516-541쪽.

36.

김경숙, 「윤동주 시의 ‘독서과정’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9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7-46쪽.

37.

김경숙, 「한국 근·현대 베스트셀러 문학과 독서의 사회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9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201-237쪽.

38.

김나영·김봉곤·박연준, 「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창작과비평』 제47권 제3호, 창비, 2019, 378-405쪽.

39.

김미정, 「아리아드네의 실」, 『문학과사회』 제32권 제2호, 문학과지성사, 2019, 5-23쪽.

40.

김미지, 「식민지 조선의 ‘소녀’ 독자와 근대·대중·문학의 동시대성」, 『대중서사연구』 제20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14, 7-35쪽.

41.

김세화·최숙기,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판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남성 독자와 여성 독자의 의미 구조 분석」, 『독서연구』 제56호, 한국독서학회, 2020, 35-63쪽.

42.

김수정, 「수용자 연구의 해독모델과 존 피스크에 대한 재평가」, 『언론과 사회』 제18권 제1호, 사단법인 언론과사회, 2010, 2-46쪽.

43.

김승환, 「내포독자의 개념과 존재 양상」, 『어문론총』 제78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8, 445-470쪽.

44.

김영미, 「무의미시의 독자반응론적 연구」, 『국제어문』 제32호, 국제어문학회, 2004, 115-142쪽.

45.

김예란, 「소녀성과 육체의 미디어화」, 『미디어, 젠더 & 문화』 제5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8-40쪽.

46.

김옥란, 「근대 여성 주체로서의 여학생과 독서 체험」, 『상허학보』 제13호, 상허학회, 2004, 245-276쪽.

47.

김요섭, 「한국문학장의 뉴노멀과 독자 문제」, 『반교어문연구』 제58호, 반교어문학회, 2021, 303-332쪽.

48.

김윤정, 「퀴어 소설에 나타난 가족 갈등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제68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237-269쪽.

49.

김응교, 「윤동주에 대한 기억」, 『현대문학의 연구』 제62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319-358쪽.

50.

김재경, 「최인호 소설 연구」, 『현대소설연구』 제7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59-92쪽.

51.

김진이, 「가족의 거부로 인한 성소수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3권 제4호, 한국심리학회, 2017, 605-634쪽.

52.

김천혜, 「수용미학의 흥성과 쇠퇴에 대한 고찰」, 『독일어문학』 제8호, 한국독일어문학회, 1998, 231-252쪽.

53.

노지승, 「1950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장의 재편」,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0호, 한국현대문학회, 2010, 345-375쪽.

54.

노지승, 「여성지 독자와 서사 읽기의 즐거움」, 『현대소설연구』 제4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101-135쪽.

55.

노태훈, 「깨어 있는 꿈」, 박민정 외, 『2018 제9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18, 325-331쪽.

56.

박인기, 「독서문화의 형성과 비평의 작용」, 『독서연구』 제24호, 한국독서학회, 2010, 9-49쪽.

57.

박인성, 「얄팍하고 한갓된 세계로의 귀환」, 『문학과사회』 제31권 제4호, 문학과지성사, 2018, 21-44쪽.

58.

백종륜, 「한국 근대 퀴어 서사의 계보학」,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231쪽.

59.

백종륜, 「한국, 퀴어 문학, 역사」, 『여/성이론』 제41호, 여이연, 2019, 151-167쪽.

60.

성현아, 「이차원의 사랑법」, 『조선일보』, 2021.01.01.

61.

소영현, 「퀴어의-비선형적인, 복수의-시간」, 『크릿터』 제1호, 민음사, 2019, 74-95쪽.

62.

손정수, 「한국 소설의 수용 의식에 나타나고 있는 비심미적 독서 경향과 그 문학 교육적 의미」, 『반교어문연구』 제49호, 반교어문학회, 2018, 135-164쪽.

63.

오현숙, 「『동아일보』 통계로 본 1930년대 아동과 청년 독자의 책 읽기」, 『구보학보』 제28호, 구보학회, 2021, 385-430쪽.

64.

오혜진, 「퇴행의 시대와 ‘K문학/비평’의 종말」, 『문화과학』 제85호, 문화과학사, 2016, 83-105쪽.

65.

윤경희, 「어떻게 독자 세계가 될 것인가」, 『문학3』 제3호, 창비, 2017, 58-71쪽.

66.

이경, 「밀레니‘을’들이 사는 법」, 『오늘의 문예비평』 제116호, 오늘의문예비평, 2020, 41-58쪽.

67.

이경림, 「‘근대’의 체감」, 『구보학보』 제28호, 구보학회, 2021, 275-310쪽.

68.

이상길, 「미시권력 대 미시저항」, 『인문예술잡지 F 』 제13호, 문지문화원 사이, 2014, 19-103쪽.

69.

이상길, 「이중적 커뮤니케이션 형식으로서의 고백」, 『언론과 사회』 제27권 제3호, 사단법인 언론과사회, 2019, 61-104쪽.

70.

이순영, 「읽기 연구의 최근 동향과 과제」, 『한국어문교육』 제10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311-340쪽.

71.

이연승,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본 오규원 시 연구」, 『어문연구』 제81호, 어문연구학회, 2014, 209-235쪽.

72.

이연승, 「해체시의 독자반응론적 연구」, 『어문연구』 제71호, 어문연구학회, 2012, 369-392쪽.

73.

이용희, 「1960~70년대 베스트셀러 현상과 대학생의 독서문화」, 『한국학연구』 제41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43-76쪽.

74.

이은정, 「한국 근현대 베스트셀러 문학에 나타난 독서의 사회사」, 『한국시학연구』 제13호, 한국시학회, 2005, 219-244쪽.

75.

이정연·이기형, 「칙릿소설,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초상」, 『언론과 사회』 제17권 제2호, 사단법인 언론과사회, 2009, 87-138쪽.

76.

이주라, 「삼중당의 하이틴로맨스와 1980년대 소녀들의 사랑과 섹슈얼리티」, 『대중서사연구』 제25권 제3호, 대중서사학회, 2019, 67-99쪽.

77.

이철주, 「표정 없이 실패한 울음들의 기록」, 『릿터』 제15호, 민음사, 2018, 190-194쪽.

78.

이형권, 「이육사 문학의 독자와 기대지평의 문제」, 『한국언어문학』 제85호, 한국언어문학회, 2013, 395-421쪽.

79.

인아영, 「시차와 시차」, 『문학과사회』 제32권 제3호, 문학과지성사, 2019, 5-24쪽.

80.

인아영, 「항상 나와 함께 있어줘」, 한국현대소설학회 편, 『2019 올해의 문제소설』, 푸른사상, 2019, 169-175쪽.

81.

인아영 외, 「독자를 다시 생각한다」, 『문학동네』 제26권 제4호, 문학동네, 2019, 128-155쪽.

82.

임동현, 「직장 내 남성 동성사회와 게이 남성들의 경계지대 전략」, 『여/성이론』 제37호, 여이연, 2017, 178-210쪽.

83.

임진하, 「보편을 분유하는 문학소녀들의 책읽기」, 『여성문학연구』 제5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251-283쪽.

84.

임현순, 「독자들의 한국현대시 수용과 인식의 특성」, 『한국시학연구』 제22호, 한국시학회, 2008, 303-341쪽.

85.

정기철, 「해석학적 관점에서의 독자」, 『독서연구』 제16호, 한국독서학회, 2006, 31-53쪽.

86.

정미지, 「1960년대 ‘문학소녀’ 표상과 독서 양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140쪽.

87.

조혜영, 「트랜스내셔널 퀴어 정체성의 다중적 시간과 (비)가시성」, 『여/성이론』 제22호, 여이연, 2010, 203-219쪽.

88.

채웅준·김선기, 「학제적 분과학문으로 문화연구 다시 쓰기」, 『언론정보연구』 제 55권 제3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158-210쪽.

89.

천경록, 「사회적 독서와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고찰」, 『새국어교육』 제101호,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7-35쪽.

90.

천정환, 「주체로서의 근대적 대중 독자의 형성과 전개」, 『독서연구』 제13호, 한국독서학회, 2005, 209-235쪽.

91.

천정환, 「한국 독서사 서술 방법론 ⑴」, 『반교어문연구』 제43호, 반교어문학회, 2016, 13-39쪽.

92.

최숙기,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여성 독자와 남성 독자의 반응 양상 및 읽기 태도에 대한 차이 분석」, 『독서연구』 제48호, 한국독서학회, 2018, 165-201쪽.

93.

최윤정, 「소설이라는 스탠드 업 코미디」, 『실천문학』 제131호, 실천문학사, 2019, 215-220쪽.

94.

최현주, 「이저의 수용미학에 대하여」, 『호남문화연구』 제37호, 호남문화연구소, 2005, 207-231쪽.

95.

한 계, 「퀴어가 특수하지 않은 시대가 오기를 바라며」, 『자음과모음』 제45호, 자음과모음, 2020, 333-346쪽.

96.

허 윤, 「로맨스 대신 페미니즘을!」, 『문학과사회』 제31권 제2호, 문학과지성사, 2018. 38-55쪽.

97.

황종연 외, 「심사평」, 박상영 외, 『2019 제10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문학동네, 2019, 367-390쪽.

98.

황현경, 「소설이라는 형식」, 『문학동네』 제25권 제1호, 문학동네, 2018, 431-448쪽.

99.

황현경, 「필드와 데스크」, 『자음과모음』 제40호, 자음과모음, 2019, 212-248쪽.

100.

김형중, 「이 계절의 소설 선정의 말」, 문학과지성사 블로그, 2017; http://moonji.com/monthlynovel/14018/ (접속일: 2020.06.27).

101.

담·여름, 「엄살원 1화」, 엄살원 홈페이지, 2021;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VFkI5HuFQ yCT311_shbIpgH2NKTTFg (접속일: 2021. 10.12.)

102.

박상영·이경진, 「이 계절의 소설 인터뷰」, 문학과지성사 블로그, 2017; http://moonji.com/monthlynovel/14018/ (접속일: 2020.06.27).

103.

오혜진, 「‘퀴어 판타지’를 발명하는 영광」, 핀치, 2019; https://thepin.ch/think/p7nu3/daydream-7 (접속일: 2020.05.11).

104.

전기화, 「내가 나의 실패에 대해 말하겠다」, 『문장 웹진』, 2018; https://webzine.munjang.or.kr/archives/143205 (접속일: 2020.06.27).

105.

조대한, 「항, 돌아온 혹은 떠나간 사랑」, 『웹진 문화 다』, 2019; http://www. munhwada.net/home/m_view.php?ps_db=letters_ko&ps_boid=226&ps_mode= (접속일: 2020.06.2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