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Writings of Refugee Women Who Defied the Cold War System : An Analysis of Park Soon Nyeo and Lee Jung Ho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5, pp.111-148
https://doi.org/10.15686/fkl.2022..55.111
Kim EunHa

Abstract

Refugee women writers Park Soon-nyeo and Lee Jung-ho were new voices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1960s; however, they have remained as minor writers in Korean literary history. Since the 1990s, literary historians has begun have been to attempting to break down divisions the North-South division in literary history. Yet, refugee women writers have not been accepted as subjects whose capable of can criticizing and dismantling this system of division. The existence of refugee women writers i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that Korean women’s literary history should be an alternative literary history that transcends the limits of domestic literary history and is not simply one of many literary histories of “others.” Refugee women writers have experienced war and therefore possess an ethical consciousness that allows them to fight back against the authoritarian state, which seeks to justify war as a “holy war” for peace while seeking to uphold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and militarize society. Because the militaristic culture that supports the Cold War system threatens women’s rights and peace, the narratives of the memories of women who question these absurdities of war are important. Criticism of the Cold War is essential for the liberation of women who are isolated in the family due to the oppression of their human rights in growth-oriented, post-war society and the strong post-war ideological division.

keywords
월남작가, 여성작가, 여성문학, 1960년대, 냉전 이데올로기, 분단체제, 군사주의, 6.25 전쟁, ‘흥남철수’ 등, Refugee writer, female writer, women’s literature, 1960s, Cold War ideology, division, militarism, Korean War, Heungnam withdrawal, etc.

Reference

1.

박순녀, 「잘못 온 청년」, 『어떤 파리』, 정음사, 1972.

2.

박순녀, 「대한민국의 거지」, 『칠법전서』, 일지사, 1976.

3.

박순녀, 「아이 러브 유」, 「외인촌 입구」, 「엘리제 초」, 「어떤 파리」, 『박순녀 작품집』, 최강민 편, 지만지, 2010.

4.

박순녀, 「기쁜 우리 젊은 날」, 『기쁜 우리 젊은 날』, 지혜네, 1998.

5.

박순녀, 「멀리있는 이유」, 『이중섭을 찾아서』, 동서문화사, 2014.

6.

박완서, 「엄마의 말뚝(2)」, 『엄마의 말뚝』, 세계사, 1999, 67쪽.

7.

이정호, 「마그마」, 『마그마』, 문조사, 1972.

8.

이정호, 「잔양」, 「영원한 평행」, 『이정호문학전집1: 잔양』, 계간문예, 2009, 18쪽.

9.

이정호, 「어머니의 눈물 2」, 『그들은 왜 갔을까』, 계간문예, 2009, 97쪽.

10.

고규진, 『정전의 해부』, 전북대학교 출판부, 2016, 134-135쪽.

11.

김대현, 「워커힐의 ‘디바’에게 무대란 어떤 곳이었을까: 1960~70년대 유흥업과 냉전시대의 성문화」, 『원본 없는 판타지』, 오혜진 기획, 후마니타스, 2020, 142쪽.

12.

김양선, 「6.25 전쟁기 여성문학 장의 형성」,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문학제도와 양식』, 소명출판, 2012, 154-181쪽.

13.

박완서, 「추한 나이테가 싫다」, 『꼴지에게 박완서보내는 갈채』, 평민사, 1977, 60쪽.

14.

베티 리어든, 황미요조 역, 『성차별주의는 전쟁을 불러온다』, 나무연필, 2020, 47쪽.

15.

베티 리어든, 강순원 역, 『포괄적 평화교육』, 살림터, 2021, 48쪽.

16.

와카쿠와 미도리, 김원식 역, 『전쟁과 젠더: 사람은 왜 전쟁을 하는가』, 알마, 2005, 201쪽.

17.

이다 유코, 김효순 역, 『일본 근현대 여성문학 선집 18 – 이다 유코』, 어문학사, 2019.

18.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석희 역,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1997, 123쪽.

19.

캐서린 H. S. 문, 이정주 역, 『동맹 속의 섹스』, 삼인, 2002, 20쪽.

20.

김귀옥, 「아래로부터의 반공 이데올로기 허물기」, 『경제와 사회』 제43호, 비판사회학회, 1999, 236쪽.

21.

김미덕, 「주한미군 기지 정치(Base Politics) 연구에 대한 검토」, 『아태연구』 제21권 제1호,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4, 113-117쪽.

22.

김엘리, 「한국의 군사주의와 성: 유교전통, 반공주의, 경제발전주의를 중심으로」, 『여성과평화』 제2호, 한국여성평화연구원, 2002, 135쪽.

23.

김은하, 「해방세대 여성의 이동과 탈주 – 박순녀의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제32호, 인천대인문학연구소, 2019, 149-173쪽.

24.

김은하, 「비판적 여성 지성의 형성과 성장」, 『후마니타스 포럼』 제6권 1호, 후마니타스 교양교육연구소, 2020, 173-200쪽.

25.

김은하, 「한국 여성문학의 형성과 성장 – 해방과 전쟁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제26호, 한림과학원, 2020, 58쪽.

26.

김주리, 「월남 여성작가 박순녀의 소설 속 배회하는 여성의 표상」, 『어문론총』 제80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19, 181-210쪽.

27.

서세림, 「월남문학의 유형 – ‘경계인’의 몇 가지 가능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5, 7쪽.

28.

서은주, 「비판적 지성과 젠더, 그 재현의 문제: 박순녀의 1960-7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65-99쪽.

29.

이명희, 「반공주의와 작가정신: 월남작가 박순녀의 경우」, 『아시아여성연구』 제47권 1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7-38쪽.

30.

이병순, 「이정호 소설 연구」, 『현대소설연구』 제4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617-643쪽.

31.

유임하, 「전쟁 속 휴머니즘과 ‘국가’의 시선 – 「흥남철수」의 정치적 독해」, 『한국문학연구』 제34호, 한국문학연구소, 2008.6, 450쪽.

32.

전소영, 「해방 이후 ‘월남작가’의 존재 방식 1945~1953년의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4호, 한국현대문학연구회, 2014, 383-420쪽.

33.

정미지, 「박순녀 문학의 젠더 주체와 ‘불온’의 재현 논리」, 『여성문학연구』 제3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227-255쪽.

34.

조선매거진, 「1950년 크리스마스의 기적, 흥남철수작전」, 『월간 조선』 453호, 2017.12, 360-371쪽.

35.

조은, 「냉전문화 속 여성의 침묵과 기억의 정치화」, 『여성과 평화』 제3호, 한국여성평화연구원, 2003, 74쪽.

36.

박순녀(구술)·박선애(대담자), 『박순녀 구술채록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5.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5656

37.

박순녀, 「케이스워커」, 『조선일보』, 1960.1. https://newslibrary.chosun.com/view/article_view.html?id=1178119600209e1047&set_date=19600209&page_no=4

38.

이정호(구술)·박선애(대담자), 『이정호 구술채록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7. https://www.daarts.or.kr/handle/11080/16706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