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Constructing a Genealogy of Women’s Literature in the Feminism Reboot Era : A Study of the Necessity and Content of Korean Women’s Literary History and Anthology of Women’s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5, pp.84-110
https://doi.org/10.15686/fkl.2022..55.84
Kim Yangs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독자적인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 그리고 여성문학사의 원천 자료 역할을 하는 여성문학 앤솔로지의 필요성과 이념, 내용을 탐색함으로써 여성문학의 계보만들기를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필자는 근대 여성문학의 탄생, 형성, 변화, 발전과정을 총체적으로 조감하고, 여성의 글쓰기 전통을 계보화하는 독자적인 여성문학사가 쓰여야 한다고제안한다. 여성문학사 서술방법론으로는 첫째, 여성을 민족, 계급, 섹슈얼리티 등다양한 사회적 범주들이 교차되는 존재로 보고, 둘째, 여성문학이 균열과 저항, 불균질적인 목소리들이 공존하고 경합하면서 독자적인 전통을 써 왔다는 관점을취한다. 그다음으로, 필자는 여성문학의 기원, 형성, 발전의 궤적을 아카이빙한 자료정전으로서의 ‘여성주의’ 앤솔로지를 제안한다. 앤솔로지 내용 및 체제와 관련해서는 지배적인 사회질서와 문학 장과 경합하는 이질적인 여성 글쓰기와 목소리들의 부상과 쇠퇴, 그리고 여성문학사의 변전을 뚜렷이 보여주는 주요 작가와 작품의 등장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시기 구분을 제안한다. (1)근대 초기 ‘조선의배운 여자들과 개인의 등장’ (2)식민지기 ‘식민 현실에 대응하는 사회주의자 여성과 성찰적 지식인 여성의 등장’ (3)해방과 전후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경험과 ‘불온한 여성의 등장’ (4)개발주의 남성성을 비판하는 ‘지성을 갖춘 여성주체들의 등장’ (5)70년대 이후 가시화된 개발독재기의 젠더 통치에 대응하는 ‘중산층 여성의 히스테리적 글쓰기와 여성노동자의 체험적 글쓰기의 등장’ (6)민중민족운동 및 문학, 여성해방의식의 대두와 함께 민족, 민중과 젠더의 교차성을 심문하는 ‘운동으로서의 글쓰기의 등장’ (7)87년 체제 이후의 ‘성차화된 개인 주체’ 와 ‘여성적 글쓰기’의 다양한 양상의 출현. 이런 시기구분을 바탕으로 여성주의앤솔로지는 소설, 시, 희곡, 에세이, 선언문, 수기, 좌담회와 같은 다양한 글쓰기실천을 목록에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개방적 앤솔로지는 매 시기 사회변동뿐만 아니라 여성문학 장과 지식장, 글쓰기의 역학관계를 고려한 점, 대표작가와 글쓰기외에 각 시대별 글쓰기 전통의 저류에 흐르는 잔여물과 잉여를 찾아내어 여성문학 전통의 일부로 의미를 부여한 점에서 기존의 정전 선택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제안한 여성주의 앤솔로지는 앞으로 문학수용공동체, 해석공동체, 그리고 사회역사적 맥락의 변동에 따라 다시 쓰이거나, 새로 쓰일 앤솔로지를 위한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women’s literary history, feminism canon, counter-canon, women’s writing tradition, constructing genealogy, archiving, feminism reboot, 여성문학사, 여성주의 정전, 대항정전, 여성글쓰기 전통, 계보만들기, 아카이빙, 페미니즘 리부트

Reference

1.

고규진, 『정전의 해부』,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2016, 86-87쪽, 91쪽, 169쪽, 194쪽, 197쪽.

2.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사』, 민음사, 2018, 8-10쪽.

3.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 문학제도와 양식』, 소명출판, 2012, 261쪽.

4.

조연정, 『여성 시학, 1980~1990 –‘여성’을 다시 읽고 쓰는 일』, 문학과지성사, 2021, 21쪽, 28쪽.

5.

천정환·소영현·임태훈 외 편,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 한국 현대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성』, 푸른역사, 2013, 6-7쪽.

6.

리타 펠스키, 이은경 옮김,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도서출판 여이연, 2010, 226쪽.

7.

Showalter, Elaine, American Women Writers from Anne Bradstreet to Annie Proulx, Vintage Books, 2010.

8.

김명인, 「문학사 서술은 불가능한가 – 정치적 실천으로서의 민족문학사/쓰기」, 『민족문학사연구』 제43호, 민족문학사학회, 2010, 8-30쪽.

9.

김미정, 「흔들리는 재현, 대의의 시간」, 『문학은 위험하다 –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2019, 233-259쪽.

10.

김보명, 「공백으로부터, 아래로부터, 용기로부터 시작하는 페미니즘, 교차성」, 김보명 외, 『교차성×페미니즘』, 도서출판 여이연, 2018

11.

김양선, 「탈주체, 탈중심 시대의 여성문학비평: 여성문학비평의 실천성 회복을 위한 제언」, 『오늘의 문예비평』, 통권 68호, 2008 봄, 96-110쪽.

12.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의 정전 만들기와 번역 – 새로운 여성문학 선집 발간을 위한 시론」, 『비교한국학』 제21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39-65쪽.

13.

김은석, 「1960~70년대 ‘여류’의 아비투스와 『여류문학전집』의 연합 정치」, 『상허학보』 제53호, 상허학회, 2018, 155-190쪽.

14.

김은하, 「문학 정전의 해체와 재구성: 여성 글쓰기의 기원과 정체성을 찾아서」,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60-86쪽.

15.

배은경, 「여성과 여성성에 대한 실존주의적 성찰 – 시몬 드 보부아르, 『제2의 성』」, 한정숙 편, 『여성주의 고전을 읽는다』, 한길사, 2018, 275-312쪽.

16.

백지연, 「페미니즘의 눈으로 읽는 문학사」, 『창작과비평』 통권 184호, 2019 여름, 37-50쪽.

17.

소영현, 「문학사의 젠더」, 『민족문학사연구』 제56호, 민족문학사학회, 2014, 77-105쪽.

18.

손성준, 「‘여류’ 앤솔로지의 다시 쓰기, 그 이중의 검열 회로: 『여류단편걸작집』 (1939)연구」, 『코기토』 제81호,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160-201쪽.

19.

엄혜민, 「페미니즘 교육은 (불)가능한가」, 『한국여성학』 제34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18, 1-37쪽.

20.

이명호, 「30년 후 ‘다락방의 미친 여자’는 어떻게 되었을까? – 길버트와 구바의 19세기 여성문학사 서술과 여성문학 앤솔로지 검토」,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447-458쪽.

21.

이병훈, 「불충분한 몇 가지 단상 – 문학과 지성사 판, ‘한국문학전집’ 발간에 즈음하여」, 『문학과사회』 통권 69호, 2005 봄, 314-328쪽.

22.

이봉지, 「왜 여성문학사가 필요한가」, 『한국프랑스학논집』 제64호, 한국프랑스학회, 2008, 1-20쪽.

23.

허윤, 「여성문학사라는 역설 – 강신재 소설을 통해 살펴본 여성문학 연구의 패러다임」, 『민족문학사연구』 제72호, 민족문학사학회, 2020, 205-229쪽.

24.

릴리언 S . 로빈슨, 신경숙·홍한별·변용란 역, 「텍스트의 반란 – 페미니스트가 정전에 반기를 들다」, 『페미니스트 비평과 여성문학』, 일레인 쇼월터 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134-15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