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Era of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and the Future Trajectory of Feminist Reading and Publishing with a Focus on “Women’s Essay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304-330
https://doi.org/10.15686/fkl.2022..57.304
Jeong, Go Eun

Abstract

‘페미니즘 리부트’ 시기, 페미니스트로 각성한 여성들의 집단적 등장은 여성의말하기, 읽기, 쓰기라는 문화적 실천과 함께 이루어졌다. 이 글은 ‘리부트’ 초기와 구별되는 2010년대 후반 ‘페미니즘 대중화’ 시기의 중요한 문화현상으로서 ‘여성 에세이’가 부상한 맥락을 살펴보고, ‘여성 에세이’가 다루고 있는 핵심적인 주제들을 분석했다. 문인이나 지식인이 아닌 평범한 여성–대중들에 의해 쓰인 에세이가 활발하게 출판되고 읽히는 것은 여성들이 동시대·동세대 여성의 삶에서 여성·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 위한 구체적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에세이에서 임신·출산, 비혼, 대안적 여성 공동체, 여성 경제라는 주제가 두드러지는 것은 전통적인 성역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4B’·‘탈코르셋’의 실천을 통해 성차별적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반영된 결과이다. 본고는 여성들의 에세이 읽기/쓰기를 여성의 일상적 경험을 경유하여 한국사회의 성차별적 구조를 드러내고 기존의 가부장적 질서가 정해 놓은 생애적 각본과 역할을 거부하는 실천으로 의미화하고자 했다. 하지만 한편으로 차별적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기보다는 위기를 관리하고 적절한 투자 전략을 조언하면서 개별적 노력을 통해 각자도생하라는 신자유주의적 각본 또한 ‘여성 에세이’를 통해 전달되고 있다는 점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페미니스트 독서/출판의 변화 양상을 지속적으로 추적함으로써, ‘여성 에세이’가 새로운 미래에 도달하기 위한 페미니즘의 언어와 지식을 재발명하는 장이 될 수 있도록 개입하는 일이 될 것이다.

keywords
페미니즘 대중화, 페미니즘 리부트, 여성 에세이, 4B(비섹스, 비연애, 비혼, 비출산), 탈코르셋, popularization of feminism, feminism reboot, women’s essays, 4B movement, tal-corset(escape-the-corset)

Reference

1.

권사랑·서한나·이민경, 『피리 부는 여자들: 여성 간의 생활·섹슈얼리티·친밀성』, 보슈, 2020, 35-36쪽.

2.

김진아, 『나는 내 파이를 구할 뿐 인류를 구하러 온 게 아니라고』, 바다출판사, 2019, 33쪽, 150쪽.

3.

김하나·황선우,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위즈덤하우스, 2019, 80쪽.

4.

불리, 『21세기 버지니아 울프를 위한 금융 공부』, 들녘, 2021, 18쪽.

5.

송해나, 『나는 아기 캐리어가 아닙니다』 문예출판사, 2019.(전자자료)

6.

작가1, 『탈코일기 2』, 북로그컴퍼니, 2019, 250쪽.

7.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나무연필, 2017, 47쪽.

8.

임옥희·김미연·김은하, 『실격의 페다고지』, 도서출판 여이연, 2022, 182-183쪽, 190-191쪽.

9.

낸시 프레이저·친지아 아루짜·티티 바타차리야, 박지니 역, 『99% 페미니즘 선언』, 움직씨 출판사, 2020, 48쪽.

10.

닉 콜드리, 이정엽 역, 『왜 목소리가 중요한가』, 글항아리, 2015, 263쪽.

11.

버지니아 울프, 이미애 역, 『자기만의 방』, 민음사, 2006, 10쪽.

12.

강미선·김성희·정인혜, 「내 뜻대로 삶 쓰기: 20대 여성의 4B 가치관 형성 과정연구」, 『여성학논집』 제37집 1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0, 153-194쪽.

13.

김보명, 「‘여성 공간’과 페미니즘–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배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71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20, 83-118쪽.

14.

김보화, 「성폭력 상담일지를 통해 본 2018년 한국 미투운동의 의미」, 『페미니즘연구』 제19권 2호, 한국여성연구소, 2019, 3-43쪽.

15.

김수정·조명아·이정윤,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20-30대 여성의 주식 담론: 온라인 여성 커뮤니티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3권 2호,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257-288쪽.

16.

김애라, 「‘탈코르셋’, 겟레디위드미(#getreadywithme): 디지털경제의 대중화된 페미니즘」, 『한국여성학』 제35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19, 43-78쪽.

17.

박진솔,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4B 여성의 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1-161쪽.

18.

백창화, 「여성 자전 에세이에 나타난 여성의 성공과 정체성–1990년대 베스트 셀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93쪽.

19.

송지수, 「페미니즘 알기의 의미—10-20대 여성들의 ‘TERF’지지 입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110쪽.

20.

엄혜진, 「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자아 기획의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베스트셀러 여성 자기계발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2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6, 31-69쪽.

21.

엄혜진, 「성차별은 어떻게 ‘공정’이 되는가?: 페미니즘의 능력주의 비판 기획」, 『경제와사회』 제132호, 비판사회학회, 2021, 47-79쪽.

22.

오혜진, 「카뮈, 마르크스, 이어령–1960년대 에세이즘을 통해 본 교양의 문화정치」, 『한국학논집』 제51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137-178쪽.

23.

이다혜, 「책 읽기는 싫지만 에세이는 읽고 싶어」, 『자음과모음』 제40호, 2019 봄, 264-275쪽.

24.

이주미, 「여성 에세이를 통해 본 여성적 글쓰기의 특징–『말의 귀환』과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107-128쪽.

25.

이효민, 「페미니즘 정치학의 급진적 재구성: 한국 ‘TERF’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제34권 3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160-223쪽.

26.

장윤원, 「20-30대 여성 우울증과 페미니스트 대항서사의 가능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124쪽.

27.

장은수, 「에세이 열풍을 어떻게 볼 것인가」, 『황해문화』 제102호, 새얼문화재단, 2019 봄, 258-266쪽.

28.

정고은, 「2015~2016년 페미니즘 출판/독서의 양상과 의미」, 『사이間SAI』 제22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7, 167-200쪽.

29.

정주아, 「1인칭 글쓰기 시대의 소설」, 『창작과비평』 제192호, 2021 여름, 53-69쪽.

30.

한우리, 「‘이생망’ ‘헬조선’ 여성청년들의 페미니스트 되기」, 『여/성이론』 제37호, 도서출판여이연, 2017, 58-78쪽.

31.

인터넷 서점 알라딘

32.

예스24

33.

교보문고 홈페이지

34.

텀블벅 홈페이지

35.

『노컷뉴스』

36.

『뉴스1』

37.

『여성신문』

38.

『한국경제』

39.

『한겨레』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