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본고는 나혜석의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한다. 나혜석은 주로 산문을 통해서 작가로서의 명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산문 중간 중간에 시를삽입하여 그 내용을 강조하거나 단조로움을 피하고 작품의 변화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은 나혜석의 시작품들을 중심으로, 그가 여성으로 살아가는일에 대해 깊이 생각하며 그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여성의식을 살펴보았다. 그의 첫 시 발표 작품인 <빛> 에서는 계몽의 열망과 자각의식의 열기가 평배해 있다. 여기서'빛'은 근대적 정신에 눈을 뜬 근대인의 자각과 사명을 말게 하는 함을 의미한다. 빛을 의인화하여 자신의 선각자적인 의식을 일깨워주는 친구로 부르며 진작 빛을 만나지 못 한 자신의 몽매함을 후회하면서 아쉬워한다. 일찍이 나에게 찾아와 좋은 음악을 머리말에서 불러준 빛, 이때의 좋은 음악은 화자의 귀를 밝게 하는 계몽적인 노래 소리라고 할 수 있다. 나혜석은 여성도 사람이라는 자각, 그 자각을 실천해야 될 책임과 의무, 그 실천에 뒤따를모험과 실패에 대한 각오를 다지며 힘찬 목소리로 외치고 있었다. 아버지의 법에 얽매인 종속적인 여성들의 삶의 두꺼운 껍질을 벗기려는 한 시도였다. 시 <인형의 가> 에서는 여성해방을 부르짖고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독려한다. 그리고 여자도사람이라는 것, 사람으로 사는 것은 스스로의 힘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확신이 담겨 있다. 사람이 사람으로 살아야 함은 너무도 당연한 이치이나 그렇지 못한 사회에 대해 비판하고 있으며,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인간적 권리가 있음을 주장하고 봉건적이고 인습적인 관념의 억압성을 드러내어 해체하고자 하였다. 나혜석은 여성도 해방되어 주체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는 신념을 이 작품에서 명철하게 밝히고 있다. 나혜석의 산문 <모된 감상기>속에 두 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모두 출산할 때의 느낌과 고통을 아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 시는 개인적 체험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묘사했을 뿐만 아니라 운율감도 뛰어나며, 특히 통증에 대한 묘사는 빠바른 속도로 솔직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비유를 섞어 실감을 더해 준다. 이 글에서 모성이란 생래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기르는 동안 생겨나는 것이라며 모성을 부정했다. 나혜석은 자신의 체험을 통해 자신 있게 모성을 부정했지만, 나중에 그가 이혼의 위기에 처하고 아이들을 빼앗기게 되는 불안한 시점에서는 본능으로서의 모성을 인정하기도하였다. 나혜석의 모성부정의식은 오늘날, 모성을 신비화하는 의견에 반대하면서, 모성이 가부장제하에서 제도적으로 강요된 관념이라고 보는 견해와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모성체험에서 여성 고유의 힘의 원천과 적극적 가치를 발견하면서 모성이 여성에게 기쁨과 만족, 창조성을 제공하며, 새로운 여성문화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관점에는 미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