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How Discourse on Marginalized Females Was Formed:Centering on Awareness of Social Reality Reflected in Yeow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7, v.18 no.18, pp.93-130
Seo, Yeon Ju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1950·60년대의 대표적인 여성잡지인 『여원(女苑)』에 나타난 여성소외 계층에 대한 담론 형성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재건 프로젝트가 철저히 이중화된 담론으로 일상을 규율하고 있다는 점에 집중해 보았다. 이 연구는 1960년대의 근대화 프로젝트가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되었으며 또한 일상 속에 그 사회적 담론이 어떻게 파고 들었는가하는 문제에 대한 실마리를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여원』은 도시 중산층이라는 한정된 계급을 주 독자층으로 산정하여 편집된 잡지이다. 이 가운데 잡지에 등장하는 소재들은 도시 중산층의 관점에서이분법적으로 나뉘어 서로 길항관계를 이루며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여원』은 산업화가 가속화되어 가는 가운데 소비의 주체가 된 여성에 대해 박정희 정부의 정치적인 입장에서 규제를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여원』은 표면적으로는 여성의 권익 신장이나 주체적인 자각에 대한 의식을 표방하고 있지만 이는 도리어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심화시키는기제를 은폐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작용할 뿐이다. 식모, 여공, 여차장, 윤락여성 등 여성 소외 계층을 다루는 논의에 숨겨진 의도는 여성독자에게‘낭만적 사랑’에 만족하는 ‘현모양처’, ‘스위트 홈’의 건실한 주체자로서의 위치가 가장 행복한 것이며 이상적이라는 것을 내면화하게끔 하는 것이다. 또 여성 소외계층 대상을 다루는 취재 기사나 르포 속에 나타난 서술자와 취재 대상간의 관계는 가부장적인 사회질서에 따라 구성되어진 권력관계의 단면을표상한다. 그리고 『여원』은 이런 설정을 반복하여 등장시킴으로써 중산층 여성독자에게 자신의 계급적 위치의 안정감을 재확인시켜 국가 정책에 충실한현모양처가 될 것을 강조한다. 결국 여성지 『여원』은 국가 시책에 호응하는현모양처를 훈육하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
여원, 1960년대 근대화 프로젝트, 박정희 정부, 도시 중산층 여성독자, 여성 소외 계층(식모, 여공, 여차장, 윤락여성), 이분화, 현모양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훈육, Yeowon, Modernization project of the 1960s, The government policies under President Park Chung~hee. A readership of the middle class woman, Marginalized Females house (house maids, female factory workers, conductresses, prostitutes), dichotomy, Patriarchal ideologies, Wise mother and good wife, Education.

Reference

1.

논문 및 단행본,

2.

(1998) 대중매체와 사회, 세계사

3.

(1999) 매스미디어와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4.

(2002) 1960년대 여성노동-식모와 버스안내양을 중심으로,

5.

(2006) 여공 1970 그녀들의 반(反) 역사, 이매진

6.

(2006) 박정희와 유신체제, 선인

7.

(2001) 여성: 역사와 현재, 국학자료원

8.

(2004)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발견, 청어람미디어

9.

(2004)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10.

(2006)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책과함께

11.

(2000) 우리안의 파시즘, 삼인

12.

(2005) 한국여성문화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13.

(2004) 한국현대여성사, 한울

14.

(2002) 성 해방과 성 정치,

15.

(1994) ꡔ한국의 여성과 남성ꡕ, 문학과 지성사

16.

(2005) 여성의 몸-시각, 쟁점, 역사, 창비

17.

(1999) 1960년대 사회변화연구:1963~1970, 백산서당

18.

(1999) 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 백산서당

19.

(2002) 박정희시대 연구, 백산서당

20.

여성 소외 계층에 대한 담론 형성 양상 연구 127,

21.

(2001) 위험한 여성, 삼인

22.

(2002.3) 동맹 속의 섹스, 삼인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