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omen Minority Groups as the symbol of savageness - Centering around the discourses on the concubine, female shaman and prostitute shown in “Chekuk Sinmun (The Journal of Empi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19 no.19, pp.103-138
Ae-Kyung Park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근대 전환기 (1894-1910) 계몽담론에서 여성이 배치되고, 위계화되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이 시기 대표적 계몽언론이었던 『제국신문』에 나타난 여성 소수자 관련 담론을 살피는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전환기 계몽담론에서 소외되거나 배제되었던 여성들의 지위와 역할을 밝히고, 계몽담론이 여성 젠더 내부에서도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는 사실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제국신문』에는 첩, 무녀, 기생과 삼패를 문명화에 역행하는 야만적 타자로 치부하는 논조를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논조는 동 시대 언론인 『독립신문』이나 『황성신문』, 이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와 공유하는 가치이기도 하다. 여성 소수자 집단에 대한 계몽언론의 시선은 풍속이나 섹슈얼 리티를 규율과 개량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가 요구하는 국민화, 문명화 기획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일견 동일해 보이는 근대화 기획 내부에도 젠더 간, 계층 간, 매체 간, 구 지식과 신 지식 간의 역동이 끊임없이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여성 소수자 관련 담론은 전통적인 소수자 집단이 야만적 타자로 고착화되는 과정을 보여줄 뿐 아니라, 국민적 정체성이 여성 집단 간에도 상이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선명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러한 길항 관계를 고찰하는 데 적절한 사례를 제시해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담론의 분석을 통해 여성을 균질적인 집단으로 사유해오던 관행에서 벗어나, 여성 집단 내부의 차이를 응시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신·구가 혼재된 근대 전환기 담론의 중층성을 해명하는 데에도 단서를 제공해 주리라고 생각한다.

keywords
Chekuk Sinmun (The Journal of Empire), Discourses of enlightenment, Women's education, Civilization and Savageness, Women minority groups, Nation, 제국신문, 계몽담론, 여성 교육, 문명과 야만, 여성 소수자, 국민

Reference

1.

(1902) 제국신문, 아세아문화사

2.

제국신문』 1903년 1월~1903년 6월, 1904년 3~6월, 1904년 9월~12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3.

제국신문』 1905년 12월~1907년 5월 14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4.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DB,

5.

독립기념관, 고신문 DB,

6.

고미숙, (2000) 근대계몽기시가자료집, 대동문화연구원

7.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80) 한국여성관계 자료집: 근대편 상?하,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8.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1981) 한국여성관계 자료집: 한말 여성지,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9.

고미숙, (2001) 한국의 근대성,그 기원을 찾아서-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 책세상

10.

이숙인, (2000) 유가의 몸담론과 여성, 여성몸에 대한 철학적 성찰, 철학과 현실사

11.

이숙인, (2001) 열녀담론의 철학적 배경 - 여성 섹슈얼리티의 문제로 보는 열녀, 조선시대의 열녀담론, 월인

12.

전미경, (2004)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 소명출판

13.

고은지, (2002) 개항기 계몽담론의 특성과 계몽가사의 주제 표출양상, 우리어문연구

14.

권도희, (2006) 20세기 관기와 삼패, 여성문학연구

15.

길진숙, (2004) {독립신문}ㆍ{■일신문}에 수용된 ‘문명/야만’ 담론의 의미 층위, 국어국문학

16.

김복순, (2007)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7.

박애경, (2001) 기생-가부장제의 경계에 선 여성들, 여/성이론

18.

이경하, (2004) 「제국신문」여성독자투고에 나타난 근대계몽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9.

이형대, (2001) 근대 계몽기 시가와 여성담론, 한국시가연구

20.

이형대, (2006) 풍속 개량 담론을 통해 본 근대계몽가사의 욕망과 문명의 시선, 고전과 해석

21.

정지영, (2004) 조선후기의 첩(妾)과 가족질서 - 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22.

조성윤 ; 조은, (2004) 한말 서울 지역 첩의 존재양식 - 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23.

최기영, (1989) 뎨국신문> 연구, 언론학논선

24.

홍인숙, (2006) 근대계몽기 女性談論 硏究,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