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계약과 실험, 충돌과 모순: 1920-30년대 연애의 장(場)

Contract and Experiment, Collision and Contradiction: The Space of Modern Love in 1920-3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19 no.19, pp.139-175
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1920-30서 수용되고 재구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식민지 근대 , 연애의 역사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1920년대 영육일치의 연애와 연애지상주의의 포문을 열었던 엘렌케이의 연애론의 특징과 한국 내의 수용양상을 살피고 , 엘렌 케이를 계승하면서 연애를 일종의 초월적 이데올로기로 승격시킨 구리야가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분석하여 그것이 조선 내 지식인들의 연애론의 근간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추적하였다. 또한, 1930년대에 이르러 부르주아식 연애로 비판된 엘렌케이와 하쿠손의 연애론을 대체하여 프롤레타리아 연애의 모델로 등장한 콜론타이의 급진적 연애론이 담론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실의 장 속에서 연애가 구현되는 양상을 통해 , 연애를 둘러싼 이상과 현실 사140 여성문학연구 19이의 간극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러한 1920-30년대 연애 담론의 지형과 현실 속의 연애에 대한 탐색을 통해 , 본고는 근대 연애론이 민족 , 젠더, 계급, 자본 기제와 충돌하면서 균열을 일으키는 지점을 제기하고 , 나아가 근대 연애를 구성한 이데올로기와 판타지의 이면을 성찰하고자 하였다 .

keywords
근대 연애, 엘렌케이, 구리야가와 하쿠손, 콜론타이, 젠더, 계급, 일부일처제, 판타지, modern love, Ellen Key, Kuriyagawa Hakuson, Aleksandra Kollontai, gender, class, monogamy, fantasy, ideology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quest for the historical meaning of modern love in colonial Korea by looking into the reception and reconstruction of discourses on love from the Western Europe via Japan. First, I examine the multi-layered features of Ellen Key's book on love and that of Kuriyagawa Hakuson who succeeded to Ellen Key's concepts and thoughts and elevated her ideas on love into transcendental ideology, which became the ground of general idea on love at that time. Furthermore, I deal with the radical discourse on love by Aleksandra Kollontai presenting the model of proletarian love replaced by Ellen Key or Hakuson's love which was criticized as the bourgeois's love. Also, I illustrate the realization of modern love in actual life, which produced various refractive and contradictory results. Through the topography of discourses on love and the actual application in 1920-30s' Korea, I try to show how the ideal modern love combined with the prospect of women's liberation collided with the gender and class system and how the value of love were diminished or removed by being incorporated into the discourses on monogamy, nation, and state.

keywords
근대 연애, 엘렌케이, 구리야가와 하쿠손, 콜론타이, 젠더, 계급, 일부일처제, 판타지, modern love, Ellen Key, Kuriyagawa Hakuson, Aleksandra Kollontai, gender, class, monogamy, fantasy, ideology

참고문헌

1.

독립신문,

2.

조선일보,

3.

동아일보,

4.

학지광,

5.

개벽,

6.

신여성,

7.

별건곤,

8.

삼천리,

9.

신동아,

10.

姜義永, (1937) 現代 新社會의 戀愛觀, 永昌書館

11.

고미숙, (2001) 한국의 근대성,그 기원을 찾아서-민족,섹슈얼리티,병리학, 책세상

12.

권보드래, (2003)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13.

김경일, (2004) 여성의 근대,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14.

김동인, (1987) 김동인전집 4, 조선일보출판국

15.

김윤선, (2004) 또 다른 신여성-노처녀·제2부인·동성애자,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여이연

16.

김지영, (2007) 연애라는 표상-한국근대소설의 형성과 사랑, 소명출판

17.

김진송, (1999) 서울에 땐스홀을 許하라-현대성의 형성, 현실문화연구

18.

서영채, (2004) 사랑의 문법, 민음사

19.

송연옥, (2003) 조선 신여성의 내셔널리즘과 젠더, 신여성-한국과 일본의 근대 여성상, 청년사

20.

염상섭, 염상섭 전집 1, 2, 9, 민음사

21.

조중환, (2007) 쌍옥루, 현실문화연구

22.

조중환, (2007) 장한몽, 현실문화연구

23.

최혜실, (2000) 신여성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생각의 나무

24.

우에노 치즈코, (2000)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출판사

25.

張競, (2007) 근대 중국과 연애의 발견, 소나무

26.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1988) 붉은 사랑, 도서출판 공동체

27.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1994) 삼대의 사랑, 월요일, 일송정

28.

川白村, (1922) 近代の戀愛, 改造社

29.

菅野聰美, (2001) 消費される戀愛論-大正知識人と性, 靑弓社

30.

Ellen Key, (1911) Love and Marriage, G. P. Putnam's Sons

31.

구인모, (2002) 「무정」과 우생학적 연애론―한국의 근대문학과 연애론, 비교문학

32.

구인모, (2004) 한일 근대문학과 엘렌 케이, 여성문학연구

33.

권보드래, (2000) 열정의 公共性과 個人性-신소설에 나타난 ‘一夫一妻’와 ‘二妻’의 문제, 한국학보

34.

김경수, (2002) 염상섭의 초기 소설과 개성론과 연예론­?암야?와 ?제야?를 중심으로­, 어문학

35.

김동식, (2001) 연애와 근대성, 민족문학사연구

36.

김미지, (2001)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연구,

37.

김은실, (2002) 소비에트사회에서의 여성해방실험-콜론타이의 여성해방론을 중심으로, 아세아여성연구

38.

방인근, (1926) 朝鮮文士의 戀愛觀, 雪華書館

39.

서지영, (2004) 식민지 근대 유흥풍속과 섹슈얼리티-기생 · 카페여급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40.

서지영, (2005) 카페, 근대 유흥 공간과 문학, 여성문학연구

41.

신영숙, (1986) 일제하의 신여성의 연애, 결혼문제, 한국학보

42.

염운옥, (2005) 영국 우생학 운동과 모성주의-1907년에서 1930년대까지 ‘우생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43.

이승신, (2006) 구리야가와 하쿠손(廚川白村)『근대의 연애관』의 수용, 일본학보

44.

이태숙, (2006) 붉은 연애와 새로운 여성, 현대소설연구

45.

정지영, (2006) 1920-30년대 신여성과 ‘첩/제이부인’: 식민지근대 자유연애결혼의 결렬과 신여성의 행위성, 한국여성학

46.

정혜영, (2004) 연애’에의 동경과 좌절-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과 <마음이 옅은 자여>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47.

정혜영, (2000) 근대를 향한 시선- 이광수 <무정>에 나타난 ‘연애’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8.

최혜실, (1998) 개화기 신분제 붕괴와 남녀평등, 자유연애 결혼의 관련 양상, 현대소설연구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