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mode of novel and gender in Korean modern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20 no.20, pp.135-161
Park, Jin-sook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장편소설이라는 양식과 젠더와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문학사의 경우 중요한 장편소설들은 거의 신문에 연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통속성을 띠고 신문에 연재된 장편소설로서, 특히 여성 애독자가 소설 속에 등장하는 경우를 연구대상으로 하였 다. 장편소설 속에서는 여성 애독자가 편지, 연설, 기행문이라는 장르의 속성과 결부되면서 표준어로서의 언문일치체를 규범화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이는 신문연재소설이라는 대중 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소설 속에 설정된 여성 애독자는 내포독자와 실제 독자를 매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장편소설의 젠더 형성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여 독자를 일정한 방향으로 추동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한국 근대문학에서 장편소설이라는 양식은 ‘독자’라는 매개항을 거쳐 젠더를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keywords
avid female reader, newspaper serial, novel, gender, letter, speech, travels, unification of the written and spoken language, 여성 애독자, 신문연재소설, 장편소설, 젠더, 편지, 연설, 기행문, 언문일치

Reference

1.

류보선, (2005) 구보가 아즉 박태원일 때, 깊은샘

2.

박태원, (1942) 여인성장, 매일신보

3.

엄흥섭, (1941) 행복, 매일신보

4.

이태준, (1935) 불멸의 함성, 조선중앙일보

5.

이태준, (1936) 성모, 1935.5.26~1936.1.20., 조선중앙일보

6.

이태준, (1937) 화관, 1937.7.19~12.22., 조선일보

7.

이태준, (1940) 청춘무성, 1940.3.12~8.11., 조선일보

8.

정호웅, (2000) 김남천전집 1, 박이정

9.

박헌호, (2004) 식민지 근대성과 소설의 양식, 소명출판

10.

심진경, (2006) 한국문학과 섹슈얼리티, 소명출판

11.

천정환, (2003) 근대의 책 읽기, 푸른역사

12.

가메이 히데오(龜井秀雄), (2006) 메이지 문학사, 고려대 출판부

13.

히라타 유미, (2008) 여성 표현의 일본 근대사, 소명출판

14.

마에다 아이, (2003) 일본 근대 독자의 성립, 이룸

15.

齊藤美奈子, (2002) 文章讀本さん江, 筑摩書房

16.

牧野武夫, (1935) 女性文章讀本 : 新らしい女子手紙文藏, 中央公論社

17.

권용선, (2004) 1910년대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과정 연구,

18.

김양선, (2004) 여성 작가를 둘러싼 공적 담론의 두 양식 - 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19.

박진숙, (2002) 이태준의 <까마귀>와 인공적인 글쓰기, 현대소설연구

20.

박진숙, (2003) 이태준 문학 연구-텍스트와 내포독자를 중심으로,

21.

박진숙, (2006) 이태준 문학의 종교적 이상주의, 작가세계

22.

천정환, (2008) 1920년대 독서회와 ‘사회주의 문화, 근대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와 그 문화?문학적 표상 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