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젠더와 ‘일기문학’이라는 양식 - 10세기 후반 일본의 『가게로 일기(蜻蛉日記)』를 중심으로 -

Gender & a style of "diaries literatur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20 no.20, pp.43-72
이미숙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일본 헤이안(平安) 시대의 산문문학 중 그 시대 여성들의 삶과 사랑 등 생활사를 가장 잘 드러내 주고 있는 이른바 ‘여류 일기문학’에 주목해, 젠더와의 관련성에 관해 고찰해 본 논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문학 속에서 ‘일기’와 ‘일기문학’의 차이는 무엇이며, 여성이 왜 자기 삶을 ‘글쓰기’를 통해 드러내는 데 ‘일기(문학)’라는 양식을 선택했는지, 그리고 최초의 여류 일기문학인 『가게로 일기(蜻蛉日記)』에 형상화된 화자인 ‘미치쓰나의 어머니(道綱母)’의 자의식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존재기반과 젠더의식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사실의 기록이라는 일기의 본래적인 성격에 충실한 남성의 한문 ‘일기’와 달리, 여성(또는 여성으로 가장한 남성)이 어느 시점에서 그 이전의 자기 삶, 즉 체험한 자기 시간을 회상해 가나 문자로 쓴 일종의 회고록인 여성의 ‘일기’가 ‘문학’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은 인생에 대한 독자적인 인식이 작품 속에 반영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가게로 일기』에 나타난 미치쓰나의 어머니의 ‘일기’관을 분석해 보았을 때, 여성이 가나로 쓴 ‘일기’는 ‘옛 이야기(古物語)’와는 달리 현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양식이며, 남성의 공적 한문일기와는 달리 자기 신상과 관련된 내용만 집필하는 양식으로 이해되고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자기 삶을 재구조화해 ‘일기문학’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글쓰기를 시도하고는 있지만 독자를 의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록’이라는 일기의 본래 목적이 완전히 배제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 점이 여성이 ‘일기’라는 양식을 선택한 이유이 기도 했다고 생각된다. 『가게로 일기』에 형상화된 화자인 미치쓰나의 어머니의 자의식의 양상은 ‘나는 뭐란 말인가’라는 표현 등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표현 등으로 표상화된 자의식에 바탕해 미치쓰나의 어머니는 남편인 후지와라 가네이에(藤原兼家)와의 관계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자기 위치를 객관적으로 인식하여 젠더의식을 갖게 되었고, 이를 통해 세상의 보통사람들과는 다른 현실적인 자기 이야기를 ‘일기(문학)’라는 양식으로 형상화할 수 있었다. 이때 미치쓰나의 어머니가 자기 심정을 그대로 토로할 수 있었던 데는 자국어문자인 가나문자라는 표현수단의 성립과 획득이 불가결한 조건이었다.

keywords
일본 여성문학, 일기문학, 가게로 일기, 미치쓰나의 어머니, 가나 문자, 젠더, Japanese woman literature, Diary, Diaries literature, Kagerou's Diary, Mitsitsuna's mother, Kana characters, Gender

참고문헌

1.

菊地靖彦?木村正中 校注 ?, 『土佐日記 ??日記』, 新編日本古典文?全集 13, 小?館, 1995, 15?89?94~96?100~101?167?172~173쪽,

2.

스즈키 도미, (2002) 장르?젠더?문학사 서술,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3.

秋山虔, (1986) 女流日記文?についての序, 王朝女流日記必携, 燈社

4.

秋山虔, (1991) 女流日記文?の世界, 女流日記文?とは何か, 女流日記文?講座 第一, 勉誠社

5.

池田?鑑, (1968) 自照文?の?史的考察, 日記?和歌文?, 至文堂

6.

大越愛子, (1996) フェミニズム入門, ちくま新書

7.

玉井幸助, (1982) 日記文???, 書刊行

8.

玉井幸助, (1965) 日記文?の?究, 書房

9.

野口元大, (1995) 日記の日記認識, 王朝日記の新?究, 笠間書院

10.

深?徹, (2000) 女流日記文??から ?女房日記?へ(上), 論集日記文?の地平, 新典社

11.

久松?一, (1960) 日記文?の本質, 古典の窓, 角川書店

12.

宮島達夫編, (1971) 古典?照語い表, 笠間書院

13.

吉野瑞恵, (1990) 蜻蛉日記, の自照性と物語性」, 女流日記文学講座第二卷, 勉誠社

14.

박혜숙, (2002) 여성 자기서사체의 인식, 여성문학연구

15.

이경하, (2006) 여성주의 문학 연구의 효용성과 고전문학사, 여성문학연구

16.

이미숙, (2008) ‘나는 뭐란 말인가(われはなになり)’ -『가게로 일기(蜻蛉日記)』에 나타난 화자의 자의식과 젠더-, 일어일문학연구

17.

李美淑, (1999) 蜻蛉日記, 柏木の森のした草」考―道綱母の自己認識 ―」, 日本文芸論稿

18.

李美淑, (2000) 蜻蛉日記, の構造と意識― 「つれなし」 「なほあらじ」を指標として―」, 日本文芸論叢

19.

柿本奨, (1978) 蜻蛉日記, を書かせたもの」 至文堂, 1978. 9, 98쪽. , 国文学解釈と鑑賞

20.

菊田茂男, (1975) 家の女—蜻蛉日記, 国文学, 学燈社

21.

木村正中, (1981) 日記文学とはなにか—綴られる人生—」, 国文学解釈と鑑賞

22.

中野幸一, (1997) 女流日記文学の完成―記録から文学へ―」, 国文学解釈と鑑賞

23.

村井康彦, (1978) 待つ女—拒む女との間, 国文学 , 学燈社

24.

吉野瑞恵, (2005) 日記と日記文学の間― 『蜻蛉日記, の誕生をめぐって―」, 国語と国文学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