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이 글은 1950년대 한국영화의 반공 서사에 나타난 여성 인물을 살펴, 1950 년대의 반공주의 영화 서사, 그리고 여성 표상의 상관성을 고찰하고, 이를 통 해 국가 이념과, 서사체로서의 영화의 자율성이 만나는 가운데 일어나는 긴장 과 균열, 그리고 그것의 의미를 구명하고자 한다. 대상 텍스트는 국책 선전영 화로 제작되어 반공주의가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는 <불사조의 언덕>(1954), <자유전선>(1955), <격퇴>(1956)과 액션물, 스릴러 등 장르 문법 속에서 남 북한 대치상황을 배경으로 함으로써 당시의 국시인 ‘반공주의’로부터 자유로 울 수 없었던 영화들인 <운명의 손>(1954)과 <피아골>(1955)이다. <불사조의 언덕>, <격퇴>에서의 ‘반공 논리’는 ‘가부장적 가족’, ‘민족’, ‘기독교’, ‘미국과의 동맹’이 친연적 결합관계를 형성하며 도덕성을 담보하고, 그 도덕성을 전제로 한 흑백논리의 성격을 띤다. 이는 서사에서는 가족을 파 괴하는 공산군에 대적하여 기독교 가족이 저항하는 구도를 형성한다. 여기에 가족을 구하는 것은 미군과 국방군이다. 이때 여성은 크게 두 가지 역할을 담 당한다. 첫째는 어머니나 아내로서 집안의 남성들이 잘 싸우도록 보살피고 헌 신하면서 승공에 기여하는 것이고, 둘째는 헌신하다 희생됨으로써 공산주의 의 부도덕성을 폭로하고 공분을 유발하는 매개가 되는 것이다. 두 경우 모두 여성은 서사에서 희생과 헌신의 화신으로, 무력한 피해자의 표상으로 활용된 다. 그런데 <자유전선>에서는 ‘어머니’로 표상되는 구세대에게는 그러한 역 할을 지우는 한편, 능동적이고 사회 참여적인 신세대 여성인물을 통해서는 반 공의 명분을 논리적으로 표방케 함으로써 시대의 새로운 요구를 드러낸다. 이 는 가족질서의 재편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여성에 대한 반공주의의 요구도 확장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반공 이념을 충실히 서사화하는 국책 영화들과 달리, 반공 이념의 고취가 주목적이 아닌 <피아골>과 <운명의 손>에서는 반공의 도식과 영화 장르 문 법, 그리고 서사의 자율성이 타협과 균열을 일으킨다. <피아골>의 주인공 애 란은 ‘눈물’로 상징되는 ‘여성성’을 되찾으면서 ‘산짐승’에서 ‘인간’으로 전향한 다. 그런데 애란이 인간으로 거듭나는 계기로서 작용하는 ‘여성성’이 균열을 드러냄으로써 그것은 반공주의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거점으로서의 취약함 을 드러내며, 회복되어야 할 ‘인간성’의 핵심으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이로써 애란이 획득하는 ‘여성성’은 도식적인 흑백논리로는 수용할 수 없는 ‘모호한’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호성은 <운명의 손>에서도 드러난다. <피아골>에서 공산주의 자 집단 내부에 프로타고니스트와 안타고니스트를 설정할 때 반공주의로는 포획할 수 없는 서사 전개로 인해 이분법 구도에 균열이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사랑 안에서의 이념 대립도 이념에 기반하는 선악구도의 긴 장을 유지하기 힘들게 되면서 균열을 드러낸다. 이로 인해 결국 마가렛은 끝 까지 이념을 포기한다고는 말하지 않은 채 ‘적’이 분명치 않은 ‘적탄’에 죽고 싶지 않다는 모호한 명분을 내세우며 연인의 손에 죽어간다. 이러한 죽음의 선택은 <피아골>에서의 애란의 방황과 동일한 영역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호성’은 1990년대 이전까지의 영화를 통틀어 반공 서사의 한계 점을 보여준다. 1950년대에 그 한계점이 그어졌다는 것은 1950년대의 특이성 이자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아울러 현대사의 질곡과 함께 그 안에서 여 성의 행동 영역이 얼마나 한정되어 갔는지를 암시한다.
<격퇴>(1956)
<불사조의 언덕>(1954)
<운명의 손>(1954)
<자유전선>(1955)
<피아골>(1955)
강인철, ꡔ한국 개신교와 반공주의ꡕ, 중심, 2006, 1~679쪽.
김동춘, ꡔ전쟁과 사회ꡕ, 돌베개, 2000, 1~488쪽.
김동호 외, ꡔ한국영화 정책사ꡕ, 나남출판, 2005, 1~599쪽.
김소연 외, ꡔ매혹과 혼돈의 시대: 1950년대 한국영화ꡕ, 도서출판 소도, 2003, 1~260쪽.
김진기 외, ꡔ반공주의와 한국문학의 근대적 동학ꡕ, 한울아카데미, 2008, 1~456쪽.
남궁 곤, ꡔ1950년대 한국사회와 4.19혁명ꡕ, 태암, 1991, 1~295쪽.
박유희, ꡔ1950년대 소설과 반어의 수사학ꡕ, 도서출판 월인, 2003, 1~266쪽.
역사문제연구소 편, ꡔ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ꡕ, 역사비평사, 1998. 1~493쪽.
오영숙, ꡔ1950년대, 한국영화와 문화담론ꡕ, 소명출판, 2007, 1~252쪽.
이영일, ꡔ한국영화전사ꡕ, 도서출판 소도, 20004, 1~495쪽.
이임하, ꡔ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전쟁과 젠더ꡕ, 도서출판 서해문집, 2004, 1~344쪽.
전경옥 외, ꡔ한국여성문화사2ꡕ,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2005, 1~350쪽.
정성호 외, 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ꡕ, 백산서당, 1999, 1~308쪽.
조옥라․정지영 편, ꡔ젠더, 경험, 역사ꡕ, 서강대학교출판부, 2004, 1~453쪽.
주유신 외, ꡔ한국영화와 근대성: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ꡕ, 도서출판 소도, 2005, 1~212쪽.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연구회, ꡔ성․미디어․문화ꡕ, 나남출판, 1994, 1~379쪽.
한국역사연구회, ꡔ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1ꡕ, 역사비평사, 1998, 1~282쪽.
한국영상자료원, ꡔ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45~1957ꡕ, 공간과사람들, 2004, 1~837쪽.
한국영상자료원, ꡔ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ꡕ, 공간과사람들, 2005, 1~1130쪽.
강진호, 「한국 반공주의의 소설 사회학적 기능」, ꡔ한국언어문학ꡕ 52집, 한국언어문학회, 2004, 1~31쪽.
김복순,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최정희의 ꡔ녹색의 문ꡕ을 중심으로」, ꡔ한국근대문학연구ꡕ 18호, 한국근대문학회, 2008, 203~234쪽.
김양선, 「반공주의의 전략적 수용과 여성문단: 한국전쟁기 여성문학 장을 중심으로」, ꡔ어문학ꡕ 101집, 한국어문학회, 2008, 333~357쪽.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ꡔ아시아여성연구ꡕ 45-2,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문제연구소, 2006, 7~48쪽.
박유희, 「1950년대 남북한 소설 연구: 응전의 논리와 전흔 치유 방식에 대한 문학사회학적 일고찰」, ꡔ어문학ꡕ 제90집, 한국어문학회, 2005, 527~554쪽.
변재란, 「한국영화사에 여성 관객의 영화 관람 경험 연구: 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238쪽.
서동수, 「한국전쟁기 반공텍스트와 고백의 정치학」, ꡔ한국현대문학연구ꡕ 20호, 한국현대문학회, 2006, 79~110쪽.
손호철, 「1950년대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 한국전쟁 이후 시기를 중심으로」, ꡔ한국정치연구ꡕ 통권 5호 2권,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1996, 41~79쪽.
이길성, 「1960년대 가족드라마의 형성과정과 제 양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이동헌, 「1950년대 국민화 담론 연구: ‘道義’ 교육을 중심으로」, ꡔ한국학논집ꡕ 43호,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185~213쪽.
이명희, 「반공주의 형성과 성차별주의: 1950년대 남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ꡔ아시아여성연구ꡕ 제46권 1호, 2007, 215~241쪽.
이순진, 「1950년대 공산주의자의 재현과 냉전의식」, ꡔ매혹과 혼돈의 시대: 1950년대 한국영화ꡕ, 도서출판 소도, 2003, 130~171쪽.
정종화,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에 대한 연구: 동란기 한국영화 제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127쪽.
조준형, 「한국 반공영화의 진화와 그 조건」, ꡔ근대의 풍경: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ꡕ, 도서출판 소도,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