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recognition of Gender in the 1950s and 'Walsoon-asima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1 no.21, pp.161-201
Sunmi Lee

Abstract

1958년 8월부터 『여원』에 연재되기 시작한 정운경의 <왈순아지매>는 만 화의 여성 캐릭터 중 가장 인기를 끌었던 인물이다. 이 여성인물은 현대적인 교양과 도시적 세련미를 갖춘 여성과는 전혀 다른 성격이면서도 당대 여성들 을 비롯하여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 논문은 이 여성인물이 인기를 끌었던 이유와, 그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여원』은 현대적인 여성의 교양을 위한 잡지로 창간되어, 초기에는 여대생 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주력한다. 이런 편집방침에 맞추어 1955-56년 기간 동 안 연재된 만화는 세 편 모두 미혼여성을 주인공으로 한다. 이 미혼여성은 서 구적인 외양을 지니고서 거리에 나온 여성들이지만, 이런 여성들을 성적 이미 지로 연결시키는 남성적 시선에 갇혀 사회생활을 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간 다. 만화는 이런 상황을 반영하는 가운데, 오해와 반전의 에피소드를 만들어 웃음을 유발한다. 이런 미혼여성 주인공들은 일 년을 채우고서 ‘주부’를 중심 으로 변화한다. 이 주부는 현모양처라는 ꡔ여원ꡕ의 여성교양의 중심 이념을 구현하는 인물 인 듯하지만, 실제로는 열렬한 구애를 거쳐 남성과 결혼에 이른 낭만적 사랑 의 주인공들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가부장으로서의 남편과 그를 내조하 는 아내라는 성역할이 아닌, 가족 구성원으로서 사적 영역을 담당하는 주부로 서 자리매김되는 수평적 젠더 질서의 여성표상이다. ‘주부’는 남편의 사랑을 받아들인 사랑과 결혼의 주체로서 남편과 동등한 위치에서 가족을 구성해 가 는 여성인 것이다. ꡔ여원ꡕ의 만화는 1950년대에 낭만적 사랑을 거쳐 결혼에 이르는 많은 청춘남녀의 결혼풍속과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가족관계의 수평 적 젠더질서를 ‘주부’의 표상을 통해 구체화한다. 그러나 이 주부의 여성표상은 그 대쌍으로 창안된 남성상이 기존의 가부장 적 권위를 위협하는 남녀평등적 관계의 반영이라는 면에서 서서히 비판되기 시작한다. 1950년대 가정생활의 필수조건처럼 존재했던 식모형상은 이런 여 성상의 변화를 조절하고 통제하는 지배담론을 흡수하면서 여성들의 가정 내 위상을 바꾸는 데 기여한다. 왈순아지매의 인기는 여기서 나오는 것이며, 왈 순아지매가 매개하는 여성의 보수화도 여기에서 기인한다. 왈순아지매는 토속적이고 반문명적인 순박하고 억척스러운 성격으로 인해 집안 살림에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로 부상하면서, 가정사를 관장하게 되고, 급기야 전통적인 미덕을 정립하는 도덕적 주체가 되기에 이른다. 주부들의 서 구지향적인 근대화 성향과 대립되는 왈순아지매의 심성은 가정 내에서 남성 의 권위를 존중하고 전통적인 가치를 보존하는 미적 상징으로 역할한다. 이로 써 주부의 가족 내 위치에 균열을 가하고, 젠더 질서를 재조정하는 역할을 하 는 것이다. 왈순아지매가 서구추수적인 당대의 풍속을 비판하면서 자연적인 소박한 미를 제안하는 긍정적인 측면을 무시할 수 없지만, 이런 미덕으로 인 해 가족 내의 가부장적 질서를 강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면에서 왈순아지매의 역할이 지닌 위험성을 지적할 수 있다.

keywords
Walsoon-asimae, comic picture, Yeowon, unmarried women, Mrs. Monago, equal relations with husband, patriachal authority of husband, hosewife, 왈순아지매, 비비안킴, 미쓰론도, 모나고여사, 미혼여성, 낭만적 사랑, 결혼, 현모양처, 주부, 여원, 수평적 젠더질서

Reference

1.

ꡔ여원ꡕ

2.

길밖세상, ꡔ20세기 여성사건사ꡕ, 여성신문사, 2001, 160~163쪽.

3.

김건우, 이정숙, 천정환, ꡔ혁명과 웃음ꡕ, 엘피, 2005.

4.

김혜경, ꡔ식민지 하 근대가족의 형성과 젠더ꡕ, 창비, 2006.

5.

손상익, ꡔ한국만화사 산책ꡕ, 살림, 2005.

6.

손상익, ꡔ한국만화통사ꡕ 하, 시공사, 1998.

7.

손상익, 한영주, 만화부분, 이영미 편, ꡔ한국현대예술사대계 2ꡕ, 시공사, 2000.

8.

이임하, ꡔ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ꡕ, 서해문집, 2004.

9.

전미경, ꡔ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 생산 프로젝트ꡕ, 소명, 2005, 65~68쪽.

10.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연구모임, ꡔꡔ여원ꡕ 연구-여성, 교양, 매체ꡕ, 국학자료원, 2008.

11.

김복순,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ꡔ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ꡕ 14집, 2007, 14~51쪽.

12.

김복순, 「전후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ꡔ여성문학연구ꡕ, 2007.12, 7~60쪽.

13.

김양선, 「전후여성문학 장의 형성과 여원」, ꡔ여성문학연구ꡕ, 2007.12, 61~91쪽.

14.

김현주, 「제도로서의 주부의 탄생」, ꡔ대중서사학회ꡕ, 2007.12, 387~416쪽.

15.

서연주, 「여성 소외계층에 대한 담론 형성 양상 연구」, ꡔ여성문학연구ꡕ, 2007. 12, 93~130쪽.

16.

송인화, 「1960년대 ꡔ여원ꡕ 연재소설 연구」, ꡔ여성문학연구ꡕ, 2008.

17.

이덕화, 「여원에 발표된 여류현상문예 당선작품과 기성 여성작가 작품의 비교 연구」, 2008, 259~276쪽.

18.

이상화, 「여원에 나타난 신흥중간계급 직업여성 담론 연구」, ꡔ여성문학연구ꡕ, 2008.

19.

이선미, 「ꡔ여원ꡕ의 비균질성과 독신여성 담론 연구」, ꡔ한국문학연구ꡕ, 2008.6, 51~81쪽.

20.

이선옥, 「ꡔ여원ꡕ의 중시담론과 여성들의 글쓰기—여류현상문예를 중심으로, ꡔ여성문학연구ꡕ, 2008.

21.

이영미, 「1950년대 대중적 극예술에서의 신파성의 재생산과 해체」, ꡔ한국문학연구ꡕ, 2008.6, 83~115쪽.

22.

임은희, 「1950~6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ꡔ여성문학연구ꡕ, 2007.12, 131~ 160쪽.

23.

장미경,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ꡔ사회과학연구ꡕ 15집 1호, 2007.

24.

장미영, 「여성 자기서사의 서사적 특성 연구」, ꡔ여성문학연구ꡕ, 2007.12, 161~194쪽.

25.

장미영, 「ꡔ여원ꡕ 소재 서사만화 연구」, ꡔ국어국문학ꡕ, 2008, 239~263쪽.

26.

홍양희, 「식민지시기 남성교육과 젠더—양반남성의 생활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ꡔ아시아여성연구ꡕ, 2005.5, 131~405쪽.

27.

홍양희, 「한국: 현모양처론과 식민지 ‘국민’ 만들기」, ꡔ역사비평ꡕ, 2008. 가을, 364~374쪽.

28.

황중환, 「한국 신문만화에 나타난 시사만화와 생활만화의 비교분석 연구」,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석사, 200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