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Korean War and the Appropriation of Hysteria —focused on the sexuality of war-widow and post-war family struc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1 no.21, pp.93-124
Heo Yo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전후 한국사회에서 전쟁미망인들은 사회가 말하는 정상가족을 가질 수 없 었다. 사회는 이들의 섹슈얼리티를 감시하며 미망인은 아들을 키울 때에만 아 름다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사회의 요구와 달리, 전쟁미망인의 가족 은 사회 재생산의 토대를 위협하는 양상으로 그려진다. ꡔ유혹의 강ꡕ이나 ꡔ태 양의 계곡ꡕ은 타락한 여성과 정숙한 여성을 대비시킨다. 소설의 표면 서사는 타락한 여성을 처벌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서는 무성적 관계만이 가능함을 보 여준다. 성적 방종은 자기 처벌의 일환이 되고, 낭만적 연애는 무성적 관계 속에서만 유지된다. 여기서 무성애적 섹슈얼리티는 세대의 재생산을 불가능 하게 만들기에 문제적이다. 박경리의 초기 소설 ꡔ표류도ꡕ나 ꡔ시장과 전장ꡕ에 서는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가 이성애정상성을 내파하는 지점을 보여준다. 이들은 남성과 여성이라는 젠더의 경계를 허물고 가족의 안과 밖을 교란한다. 미망인이 대물림되는 서사 속에서 딸들은 어머니에 대해 양가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이러한 양가감정은 딸들의 성공적 연애를 방해하고 딸들을 동성애 우 울증자로 만든다. 이처럼 50년대 전후소설은 젠더 정체성을 위협하는 양가적인 섹슈얼리티 가 된다. 근대사회의 형성토대를 내파하는 이들의 섹슈얼리티는 사회의 재생 산을 부정한다는 측면에서 순수한 소비로 기능한다. 이는 전쟁미망인의 섹슈 얼리티를 통제함으로써 건강한 사회로 편입시키려는 사회의 의도와는 정반대 로 기능하는 것이다.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억제와 통제는 오히려 이들을 무성적인 존재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는 사회를 유지하는 데 가장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는 세대의 재생산을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국 가와 사회에 대한 위반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전쟁미망인, 히스테리, 1950년대 후반, 재생산, 죄의식, 이성애정상성, 우울 증, 섹슈얼리티, 박경리, war-widow, the late 1950's, reproduction, survivor's guilty, hetero-normativity, hysteria, Pak Gyungli

Reference

1.

박경리, ꡔ표류도ꡕ, 지식산업사, 1980.

2.

박경리, ꡔ시장과 전장ꡕ, 나남, 1993.

3.

박경리, ꡔ불신시대ꡕ, 동민문화사, 1963.

4.

박경리, ꡔ성녀와 마녀ꡕ, 지식산업사, 1980.

5.

정비석, ꡔ유혹의 강ꡕ 上, 下, 신흥출판사, 1958.

6.

손소희, ꡔ태양의 계곡-손소희 문학전집4ꡕ, 나남, 1990.

7.

한무숙, ꡔ감정이 있는 심연ꡕ, 현대문학사, 1960.

8.

권명아, ꡔ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ꡕ, 책세상, 2000.

9.

이임하, ꡔ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ꡕ, 서해문집, 2004, 94쪽.

10.

이임하, ꡔ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ꡕ, 서해문집, 2004.

11.

낸시 초도로우, ꡔ모성의 재생산ꡕ,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12.

사라 살리, ꡔ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ꡕ, 김정경 옮김, 앨피, 2007.

13.

바타이유, ꡔ저주의 몫ꡕ, 조한경 옮김, 문학동네, 2007.

14.

주디스 버틀러, ꡔ젠더 트러블ꡕ, 조현준 옮김, 문학동네, 2008.

15.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ꡔ히스테리ꡕ, 엄양선 외 옮김, 여이연, 2003.

16.

탈콧 파슨스, ꡔ현대사회들의 체계ꡕ, 윤원근 옮김, 새물결, 1999.

17.

Renata Salecle, On anxiety, Routledge, 2004.

18.

권보드래, 「실존, 자유부인, 프래그머티즘」, ꡔ한국문학연구ꡕ 35집, 2008, 101~147쪽.

19.

김윤식․정호웅, 「한국전쟁의 충격과 새로운 출발의 모색」, ꡔ한국소설사ꡕ, 문학동네, 2000, 347~382쪽.

20.

김은경,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 론의 특징」, ꡔ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ꡕ vol.19, 2007, 137~151쪽.

21.

김해옥, 「‘여성적 자존과 소외’ 사이에서 글쓰기」, ꡔ현대문학의 연구ꡕ vol.6, 1996, 222~251쪽.

22.

서지영, 「카페, 근대 유흥 공간과 문학」, ꡔ여성문학연구ꡕ 14, 2005, 65~88쪽.

23.

이길성, 「표류도에서의 각색의 문제」, ꡔ대중서사연구ꡕ 18, 2007, 353~385쪽.

24.

이선미, 「한국전쟁과 여성가장」, ꡔ여성문학연구ꡕ vol.10, 2003, 88~116쪽.

25.

이임하, 「한국전쟁이 여성생활에 미친 영향-1950년대 ‘전쟁미망인’의 삶을 중심으로」, ꡔ역사연구ꡕ 8호, 2000, 9~55쪽.

26.

임은희, 「1950~6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여원>에 나타난 간통의 담론화를 중심으로」, ꡔ여성문학연구ꡕ 18, 2007, 131~160쪽.

27.

정영자, 「1950년대의 한국여성문학사 연구」, ꡔ비평문학ꡕ 17호, 2003, 294~351쪽.

28.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걸」, ꡔ대중서사연구ꡕ 18호, 2007, 119~153쪽.

29.

Gayle Rubin, “The traffic in women”, Feminism and history, Oxford University, 1996, pp.105~151.

30.

Judith Butler, “Sex and gender in Simone de Beauvoir's Second sex”, Yale french sutides, No.72, 1986, pp.35~49.

31.

Judith Modell and John Hinshaw, “Male work and mill work”, Gender and mem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pp.133~159.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