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Minority, Diaspor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2 no.22, pp.65-91
So, Young-Hy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2000년대 이후, 한국문학에는 ‘국경을 넘는 여성들’의 이주와 정주를 그리 는 이른바 ‘탈국경의 서사’가 대거 등장했다. ‘탈국경 서사’는 대문자 역사의 이름으로 세계를 이해해온 방식이 권위를 잃어버린 상황과, 전지구적으로 재 편되고 있는 현재의 정치적․경제적․문화적 변화 국면을 징후적으로 포착한 문학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국경을 넘는 여성들에 관한 서사는 문학장 내 에서 국경/탈국경을 둘러싼 논의를 이끌어냄으로써 문학의 새로운 비판적 사 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성과 타자에 대한 새로운 사 유를 보여주고 있음에도, 그간의 ‘국경을 넘는 여성들’에 관한 서사는 고국을 떠나는 여성들을 과거형의 인물로(신경숙, 김탁환), 북한을 포함한 제3세계형 빈민국의 일원(강영숙, 황석영)으로 복원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즉 월경하 는 여성들을 시간적으로 과거화하고 공간적으로 외부화하는 복원 방식을 보 여주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국경을 넘는 여성들’의 재현 문제에 주목하여 그간의 ‘탈국경 서사’를 메타적으로 재검토해보고, 이를 통해 다층의 억압 구조 속에서 국경 바깥으로 내몰리는 여성들의 서사화가 과연 가능하며 또 타당한가를 질문해보았다.

keywords
minority, diaspora, nation, state, women, capital, border, transborder, migration, labor, spatiality, 마이너리티, 디아스포라, 민족, 국가, 여성, 자본, 국경, 탈국경, 이주, 노동, 시 -공간성

Reference

1.

김남국, 「한국에서 다문화주의 논의의 전개와 수용」, ꡔ경제와사회ꡕ 80, 한국산업사회학회, 2008, 343~361쪽.

2.

김은실, 「지구화, 국민국가 그리고 여성의 섹슈얼리티」, ꡔ여성학논집ꡕ 19,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2, 29~46쪽.

3.

김은실·민가영, 「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과 여성의 이중 경험 간의 성별 정치학」, ꡔ여성학논집ꡕ 23(1),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6, 35~72쪽.

4.

김정숙, 「풍경과 감정: 역사를 상상하는 두 개의 다른 시선」, ꡔ비평문학ꡕ 30, 한국비평문학회, 2008, 231~248쪽.

5.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지구적 젠더 정치학」, ꡔ경제와사회ꡕ 70, 한국산업사회학회, 2006, 10~37쪽.

6.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ꡔ한국사회학ꡕ 42(2), 한국사회학회, 2008, 36~71쪽.

7.

김화영, 「리진, 여자가 역사를 만나다」, ꡔ문학동네ꡕ 2007 가을호, 문학동네, 2007, 167~194쪽.

8.

미야지마 히로시(宮嶋博史), 「황석영의 ꡔ심청ꡕ과 19세기 동아시아」, ꡔ역사비평ꡕ 69, 역사비평사, 2004, 123~134쪽.

9.

심진경․황석영, 「한국문학은 살아 있다」, ꡔ창작과비평ꡕ 137, 창비, 2007, 239~278쪽.

10.

양정혜,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 분석」, ꡔ미디어, 젠더 & 문화ꡕ 7,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47~77쪽.

11.

이명원, 「약속 없는 시대의 최저낙원-황석영의 ꡔ바리데기ꡕ에 대하여」, ꡔ문화과학ꡕ 52, 문화과학사, 2007, 303~318쪽.

12.

최종렬·최인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접근: 방법론적·윤리적 논의를 중심으로」, ꡔ문화와사회ꡕ 4, 살림, 2008, 147~205쪽.

13.

태혜숙, ꡔ한국의 탈식민 페미니즘과 지식생산ꡕ, 문화과학사, 2004.

14.

태혜숙, ꡔ대항지구화와 ‘아시아’ 여성주의ꡕ, 울력, 2008, 36쪽.

15.

태혜숙, 「미국문화 읽기와 ‘비판적’ 다인종 다문화 페미니즘」, ꡔ여성학논집ꡕ 26(1),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9, 47~71쪽.

16.

황훈성 엮음, ꡔ미국 문화의 마이너리티 담론 읽기ꡕ,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17.

Aijaz Ahmad, In Theory : Classes, Nations, Literatures, London-New York: Verso, 1992, pp.195~197.

18.

Arif Dirlik(황동연 옮김), ꡔ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ꡕ, 창비, 2005, 351~355쪽.

19.

Caren Kaplan, Questions of Travel,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1996, pp. 143~146.

20.

Cary Nelson and Lawrence Grossberg(eds.), Marxism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Urbana and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8, pp.271~313.

21.

Chandra Talpade Mohanty(문현아 옮김), ꡔ경계없는 페미니즘ꡕ, 여이연, 2005.

22.

Homi K. Bhabha, (나병철 옮김), ꡔ문화의 위치ꡕ, 소명출판, 2002.

23.

Rey Chow(장수현·김우영 옮김), ꡔ디아스포라의 지식인ꡕ, 이산, 2005, 33쪽.

24.

Toril Moi(임옥희·이명희·정경심 옮김), ꡔ성과 텍스트의 정치학ꡕ, 한신문화사, 1994.

25.

Zygmunt Bauman(김동택 옮김), ꡔ지구화, 야누스의 두 얼굴ꡕ, 한길사, 2003,.

26.

Zygmunt Bauman(정일준 옮김), ꡔ쓰레기가 되는 삶들ꡕ, 새물결, 2008, 111~119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