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소득유형별 지역불균형 수준의 비교 분석

Regional Income Inequality: The effects of Finance and real estate asset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7, v.0 no.27, pp.81-110
김성제 (한국토지공사)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득불균형의 문제를 공간적으로 세분화해 추세를 파악하고 금융소득과 부동산소득으로 구성된 자산소득이 총소득의 불균형문제에 각각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정부의 공적보조금이 소득불균형에 올바른 효과(소득불균형 완화)를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도 지역의 총소득격차에서 지역 간 소득격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73%에서 79% 사이로 지역 내 불균형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득과 부동산소득이 총소득의 불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각 지역별로 그리고 연도별로 양상이 매우 다르다. 부동산소득이 소득불균형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지역은 경기, 충북, 전남이며, 금융소득이 소득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지역으로는 강원, 충북, 충남으로 나타났다. 소득불균형의 완화는 단순하게 고용정책을 통해 해소하거나 전국 차원에서 자산소득의 재분배정책을 통해 소득불균형 지표를 하향안정화하기보다는 지역별 불균형 수준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해 적절한 정책수단으로 차별화해야 한다.

keywords
소득불균형, 지역 내·지역 간 격차, 지니계수 분해, 부동산소득, 금융소득, Regional income inequality, Decomposition of Gini index, Between-region and Within-region inequality

Abstract

In Korea, alongside fast economic growth has come a new challenge: increasing income and regional disparity(inequality). Using KLIP(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data, this paper examines trends in income and regional-8 provinces(Do)- disparity during 1998-2004. Furth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asons behind the increasing regional inequality with respect to income source(finance asset, real estate and public subsidies). Regional inequalities are very different by income sources and year by year. This result implies that in order to reduce both income and regional inequalities, traditional policies had some effect nationally, but could not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e reduction of income disparity, because the effect could be varied regionally.

keywords
소득불균형, 지역 내·지역 간 격차, 지니계수 분해, 부동산소득, 금융소득, Regional income inequality, Decomposition of Gini index, Between-region and Within-region inequality

참고문헌

1.

류상규 ; 권일, (2005) 인구분포로 본 우리나라 국토불균형 ,

2.

김의준, (2003) 우리나라 지역불균형 문제의 이해와 지방 분산화 정책효과,

3.

봉인식, (2006) 경기도내 지역 간 소득수준별 주거수준격차 현황 및 개선방안 , 경기개발연구원

4.

삼성경제연구소, (2006) 삼성경제연구소 소득양극화의 현황과 원인,

5.

소비자 태도조사,

6.

성현곤 ; 김혜자, (2006) 지니계수분해법을 이용한 영 서울대도시권 지방재정의 불균등도 추이분석,

7.

신관호 ; 신동균, (2007) 소득분포 양극화의 특성과 경제사회적 영향,

8.

신광영, (2006) 세계화와 사회 양극화, mimeo

9.

신동균, (2007) 외환위기 이후 소득분배 양극화의 추이, 원인, 및 정책적 시사점, 경제학연구

10.

유경준, (2007) 소득불균형도와 양극화, KDI

11.

윤주현, (2006) 주거양극화의 현황 및 과제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

12.

윤주현, (2006) 지역 간·계층 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 II , 국토연구원

13.

지역 간·계층 간 주거서비스 격차 완화방안 연구 I 국토연구원,

14.

임병인, (2005) 연령집단별 소득불평등도와 전체불평등도에 대한 기여도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5.

임석회 ; 이용우, (2002) 사회적 양극화와 공간적 특성:서울의 사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

정윤희, (2001) 한국 지역소득격차의 분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7.

한국은행 경기본부, (2006) 경기지역의 소득양극화 현황 및 시사점,

18.

현진권, (1997) 한국 소득분배의 국제비교,

19.

A t h i n s o n, Income Distribution in OECD Countries, OECD

20.

Branko Milanovic, (1999) True world income distribution 1988 and 1993: First calcu-lation based on household surveys alone,

21.

Dagum, C, (1997) A New Decomposition of the Gini Income Inequality Ratio,

22.

Dagum, C, (2005) A systematic aproach to the generation of income distribution models,

23.

Duclos, J, (2004) Polarization: concepts, measurement, estimation,

24.

Ray, On the Measurement of Polarization,

25.

Fujita, M, (2001) Regional disparity in China 1985~1994: The efects of globalization and economic liberalization,

26.

Kim, E. J, (2003) Decomposition of Regional Income Inequality in Korea,

27.

Kim, Eun-Nan, (2006) Information Occupations and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U.S. Metropolitan areas, Disertation of Cornell University

28.

Kim, Euijune, (2003) Impacts of Nat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Policies on Regional Income Disparity in Korea,

29.

Michele Costa, (1999)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Incomeand Wealth among Italian Households, Massey Univ

30.

Mussard, S, (2003) Decomposition of Gini and the GeneralizedEntropy Inequality Measures,

31.

Nembua, C. C, (2006) A Note on the Decomposition of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quared: Comparing Entropy and Dagum’s Method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