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A Study on Income Outflow between Regions: focus on Chungnam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4, pp.83-113

Abstract

Chungnam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region, but ranks highest in the ratio of the difference between Gross Regional product and Gross Regional income. Income-outflowing to other regions, instead of income-allocation in the area, results in this kind of big gap between production and income.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production and income, and the income inflow and outflow among 16 Regions nationwide and Chungnam, using regional distribution income statistics published after 2009. We found Chungnam has a branch factory economic structure, which causes extreme income outflowing to other regions. Therefore, Chungnam should change to the endogenous growth strategy from the exogenous growth strategy when it attracts company investment. In Korea, the one region centered structure still exists as income and consumption are concentrated in Seoul. In order to solve income outflow between regions, the economic structure of headquarter in Seoul and local branch factories in Chungnam and other region should be changed.

keywords
Income Outflow, branch factories, exogenous growth, 분공장 경제, 수도권 집중, 지역 간 소득격차, 소득의 유출

Reference

1.

권태현·박민철. 2009.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로 본 지역별 경제구조 및 지역 간 연간관계」.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2.

강현수. 2007.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수도권 정책 방향」. ≪공간과 사회≫, 통권 제27호, 52~80쪽.

3.

강현수‧황희연. 2007.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정책을 위한 제언」. 산업연구원 발간 ≪지역경제≫, 제3권 4호, 통권10호.

4.

김종일. 2008. 「지역경제력 격차에 관한 연구」. 고영선 편. 지역개발정책의 방향과 전략 . KDI.

5.

문형표. 2003. 「지역 간 형평성과 재정분권화」. 문형표 편. 2003년도 국가예산과 정책목표 .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6.

박경. 1998. 「대기업유치를 통한 지역개발 전략의 실상과 과제-충청남도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연구≫, 제2호.

7.

박경. 2008. 「대안적 지역발전 전략으로서의 내생적 발전」.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제47집, 88~123쪽.

8.

변창흠. 2008. 「참여정부 수도권 정책의 평가와 과제」. 한국공간환경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

9.

변창흠. 2011. 「MB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정책과 충청권의 대응과제」.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6주년 기념 세미나 발표 자료.

10.

신동호. 2010. 「충남경제의 성장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전략과 과제」. ≪충남리포트≫, 제41호(2010-13: 2010.8.16), 충남발전연구원.

11.

유병철‧박성익. 2004. 「지역소득 수렴여부와 성장요인분석: 동태 이질적 패널모형의 활용」. ≪국제경제연구≫, 10권 2호, 105~126쪽.

12.

임재영. 2010. 「충남 지역경제 10년과 과제(1998~2007년)」. ≪충남리포트≫, 제42호 (2010-14: 2010.8.19), 충남발전연구원.

13.

장재홍. 2011. 「워싱턴 컨센서스 이후의 지역정책 논의 동향과 시사점」. ≪공간과 사회≫, 통권 제37호, 129~165쪽.

14.

통계청. 2010. 「지역소득 해설」.

15.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 http://www.kosis.kr

16.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07. 「충남지역산업연관 분석」.

17.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08. 「충남지역 경제구조의 특징과 발전방향」.

18.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2011. 「충남지역 경제의 특징 및 발전방향」.

19.

허문구. 2006. 「지역 간 소득격차의 결정요인 분석」. 산업연구원. ≪KIET 산업경제≫, 49~62쪽.

20.

홍성효. 2011. 「충남 유치기업의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과 기업유치 정책의 개선방안」, ≪충남리포트≫, 제59호(2011.11.30).

21.

宮本憲一‧橫田茂‧中村剛治郞 編. 1990. 地域經濟學 . 有斐閣.

22.

梶善登. 2006. 「地域間格差の推移とその背景」. 国立国会図書館. ≪レファレンス≫ , 平成18年4月号, 83~104쪽.

23.

内閣府. 2010. 県民経済計算 .

24.

経済企画庁. 1990. 景気拡大が浸透した地域経済: 平成2年地域経済レポート .

25.

Cooke, P., Price, A. & Morgan, K. 1995. “Regulating Regional Economies: Wales and Baden-Wurttemberg in Transition.” in Rhodes, M. (ed.) The Regions in the New Europe.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6.

Jung Won Sonn and Dongheon Lee. 2011(Forthcoming). “Revisiting the Branch Plant Syndrome: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Regional Studies(submission).

27.

Phelps, N. A. 2008. “Cluster or Capture? Manufactur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External Economies and Agglomeration.” Regional Studies, 42, pp.457~473.

28.

Phelps, N. A., Mackinnon, D., Stone, I. & Braidford, P. 2003. “Embedding the multinationals?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overseas manufacturing affiliates in Wales and North England.” Regional Studies, 37, pp.27~40.

29.

Turok I. 1993. “Inward investment and local linkages: how deeply embedded is ‘Silicon Glen’?” Regional Studies, 27, pp.401~417.

30.

Young, S., Hood, N. & Peters, E. 1994. “Multinational Enterprise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Regional Studies, 28, pp.657~677.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