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뉴타운사업의 정책실패 악순환 구조 분석

Analysis of Vicious Cycle of Policy Failure: Case study on the New Town Project in Seoul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3, v.23 no.2, pp.86-130
변창흠 (세종대학교)

Abstract

한때 지역주민이나 지방자치단체에게 선망의 대상이었던 뉴타운사업이 오늘날에는 실패의 상징이 되고 있다. 그러나 뉴타운사업은 어떤 점에서 실패라고 할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검토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뉴타운정책을 어떤 관점에서 정책실패로 규정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뉴타운사업을 정책분석의 7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어떤측면에서 정책실패라고 규정할 수 있는지를 평가했다. 7개 정책분석단계는 문제인식, 목표 설정, 정책수단 선택, 정책목표 달성, 정책집행 과정, 정책 추진 효과,정책 평가와 환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뉴타운사업은 당초 강남북 간의 격차와 기존의 정비방식의 한계에 대한 인식에서 시작되었으나, 사업추진 과정에서 적절한 정책수단을사용하지 못했고 정책목표 달성에도 실패했다. 정책집행 과정에서도 법적인 근거없이 과도하게 많은 사업지구가 지정되었고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같은 부작용을유발했다. 뉴타운사업은 사업의 수익성을 보전해주는 방식의 출구전략을 추진한다면 또다시 정책실패의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앞으로 뉴타운사업은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keywords
policy failure, New Town Project, Vicious Cycles, policy problem, 정책실패, 뉴타운 사업, 악순환 구조, 정책문제

참고문헌

1.

경기도. 2011a. 「경기뉴타운 제도개선(안)」. 2011.4.13.

2.

경기도. 2011b. 「뉴타운사업 추진현황과 추진실적·문제점·향후대책」. 경기도의회 제출자료.

3.

김남근. 2011. 「재개발사업의 당면문제와 재개발 복지정책의 필요성」. 민주당 뉴타운대책특위 발표 자료.

4.

김병일. 2002. 「강북개발의 추진배경과 실천계획」. ≪주택도시≫, 75호, 2002.12.

5.

김병일. 2004. 「서울시 지역균형발전 추진계획」. 강북 뉴타운 어떻게 할 것인가 . 2004.1. 도시설계학회 심포지엄 자료.

6.

김영하. 2003. 「강북뉴타운 개발사업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6호.

7.

김수현. 2009. 「재개발(뉴타운)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 학술단체협의회 외 주최 「용산참사 학술단체 공동토론회」 자료집. 2009년 2월 12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속기록, 각 년도.

8.

김영평. 2012. 「정책실패와 정책혁신: 대위법의 관계인가? 대체법의 관계인가」. 한국정책지식센터. 한국행정연구소. ≪지식&포럼≫, 2012.3.5.

9.

김종보. 2007. 「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제정경위와 법적 한계」. ≪토지공법연구≫, 제35집, 2007.2.

10.

김종범. 2004. 「정책실패」.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526~541쪽.

11.

김진애. 2005. 「서울시 뉴타운은 ‘도시정책’이 아니라 ‘개발사업’이 되어 버렸다」. ≪인물과 사상≫, 2005년 8월호.

12.

남진외. 2004. 「기성시가지 정비방향: 주거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2004년 9월호.

13.

노화준. 2006. 기획과 정책결정을 위한 정책분석론 . 박영사.

14.

미류. 2011. “강제퇴거금지법의 제정의의와 법안 해설”. 용산참사 2주기 기념 토론회자료집. 2011.1.

15.

배경동. 2007. 「주택공급정책이 도시계획 왜곡현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2.

16.

변창흠. 2008. 「도시재생방식으로서 뉴타운 사업의 정책결정과정과 정책효과에 대한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제29권, 2008년 6월호, 176~208쪽.

17.

변창흠. 2010. 「도시권을 기준으로 본 도시재정비사업의 구조와 대안」. 한국공간환경학회 외. 「도시와 정의. 도시와 권리 학술문화제 자료집」. 2010.12.3.

18.

변창흠. 2011. 「새로운 도시재생사업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주거복지 향상방안」.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한국 복지국가. 미래를 논하다]. 2011년 9월 23~24일 발표논문.

19.

변창흠. 2011. 「정비사업에서 세입자 주거권의 성격과 침해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제21권 2호(통권36호), 103~142쪽.

20.

변창흠·방성훈. 2013. 「이명박 정부의 전세안정대책의 실패 원인 분석: 경로의존성과정책옹호모형의 통합」.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1.

서울특별시. 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방안」.

22.

서울특별시. 2010. 「서울시 뉴타운사업 7년간의 기록」. 서울특별시균형발전본부.

23.

서울특별시. 2011. 「서울시. 무조건 철거하는 주거정비 안한다」. 2011.4.14. 보도자료.

24.

서울특별시 주택본부. 2011. 「뉴타운사업 이슈 검토」. 내부자료.

25.

서울특별시의회 속기록 각 년도.

26.

안균오. 2011. “사회정의론의 정책규범을 활용한 도시재정비사업 평가와 정책대안연구”. 세종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 논문.

27.

안병철·이계만. 2009. 「정책실패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회보≫, 제 13권 제2호, 1~19쪽.

28.

오준근. 2006. 「서울시 뉴타운 개발의 법적 문제점」. ≪토지공법연구≫, 제30집, 2006.3.

29.

윤인숙. 2002. 「강북재개발과 도심주거기능 활성화」. ≪주택도시≫, 75호.

30.

윤인숙·김갑성. 2004. 「서울의 지역균형발전 전략으로서의 뉴타운개발사업의 한계」. ≪지역연구≫, 제 20권 제2호, 2004.8.

31.

이계수. 2011. 「주거권의 재산권적 재구성: 강제퇴거금지법 제정운동에 붙여」. ≪민주법학≫, 제46호, 13~55쪽.

32.

이상대. 2012. 「뉴타운정책의 전환과 남아있는 과제들」. 도시정책포럼 발표문.

33.

이창호. 2011a. 「뉴타운 사업의 쟁점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이슈와 논점≫,제294호, 2011.9.20.

34.

이창호. 2011b. 「재정비촉진사업의 쟁점과 개선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현장조사보고서, vol.18, 2011.12.19.

35.

임도빈. 2004. 한국지방조직론 . 서울: 박영사.

36.

임도빈. 2007. 「한국 행정현상에 대한 설명모델을 찾아서: 악순환모델」.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4권 제1호.

37.

장남종. 2006. 「뉴타운사업의 정비촉진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SH공사·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공동주최 [뉴타운사업을 중심으로 한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현안과제 및 대응방안] 세미나 결과보고서.

38.

장남종·신상영. 2011. 「정비구역 내 소형·저렴주택 공급확대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39.

장남종·양재섭. 2008. 「서울시 뉴타운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40.

장영희. 2011. 「주택시장 환경변화에 따른 뉴타운사업 개선방향」 서울시의회 주최토론회 발표자료.

41.

장영희·박은철. 2008. “뉴타운사업의 단계적 시행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보고서.

42.

한국미래발전연구원. 2009. 「재개발(뉴타운) 사업의 근본대책 모색」.

43.

한봉호. 2006. 「뉴타운 시범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 및 개선방향」. (사)녹색연합부설녹색사회연구소·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주최 [서울시 뉴타운시범사업 지속가능성 및 「도시재정비를 위한 촉진법」 안 평가 토론회] 자료집. 2005년 12월7일.

44.

홍인옥. 2009. 「우리나라 도시재개발사업의 성격과 문제점」. 「용산철거민 참사를 계기로 본 도시재개발 사업의 문제점과 대안」.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토지주택공공성네트워크 주최 긴급토론회 세미나 자료집.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