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사고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시민참여를 통한 에너지 전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에너지 소비자에 머물렀던 시민들이 에너지협동조합을 조직해서 에너지 생산자로 탈바꿈하고 있다. 원전 하나 줄이기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서울에서 이러한 에너지협동조합 결성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너지의 생산과 유통, 소비 또한 하나의 사회기술체계를 이루고있다고 보면서 에너지협동조합이 에너지 시민성이 발현되는 구성적 공간으로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 기능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 혁신적 변화를 꾀하는 틈새로서 에너지협동조합운동이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되기 위해 풀어가야할 제도적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태양광발전소를 이미 설치한 서울 소재 6개 에너지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에너지 전환의 틈새의 가능성을 가진 에너지협동조합이 다양한 제도적 장애요인으로 인해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에너지협동조합이 건강하게 지속되기 위해서는 소규모 햇빛발전사업자들을 위해 FIT 부활 또는 RPS를 유지하는 경우 소규모 발전사업자들을 배려하는 REC 거래시장 환경, 저리융자지원제도의 현실화, 교육청의 적극적이고 활발한 참여, 소규모 햇빛발전소 지원범위 확대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citizen-led energy transition movementssince the Fukushima nuclear power disaster. Citizens who were previously only energyconsumers are changing themselves to become energy producers by organizingenergy cooperatives. In particular, this movement has actively occurred in Seoul,where 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has been implemented. This studyexplores the possibility for energy cooperatives to be a strategic niche and constructivespace in which energy citizenship is realized, adopting the perspective that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comprise a socio-technical system. The study also tries to identify the institutional barriers facing the active promotionof energy cooperative movements as a means of expanding a strategic niche andinnovative space for energy transition. With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targetingsix energy cooperatives with completed solar power facilities in Seoul wereconducted. This study concludes that energy cooperatives have not fully fulfilledtheir potential as a niche for energy transition because of diverse institutional barriers. Policy recommendations from study findings include the revival of feed-in tariffsor the creation of a benign REC trading environment, if RPS is maintained, forsmall-scale electricity producers, readjustment of low-interest loans, active participationof education offices, and expanding the overall scale of support for renewableenergy.
김운수. 2012.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시행에 따른 서울형 햇빛발전지원제도도입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2-19, 1~215쪽.
김종달. 1998. 「에너지 전환의 정치경제: 제도론적 고찰」. ≪환경정책≫ 제6권 제2호, 53~77쪽.
김태은. 2011.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영향요인 연구: FIT와 RPS의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보≫ 제45권 제3호, 305~333쪽.
도인환. 2010. 「농촌형 저탄소 녹색마을의 사례분석을 통한 타당성 검토」.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진희. 2014. 「에너지협동조합을 통해 본 에너지 시티즌십의 현재」. 2014년 한국환경사회학회 가을학술대회 발표논문집(환경정의와 생태도시) .
서울시. 2014. 「에너지 살림도시, 서울」. 종합계획.
성지은·조예진. 2013. 「시스템 전환과 지역 기반 전환 실험」. ≪과학기술정책≫ 제23권 제4호, 27~45쪽.
윤순진. 2002. 「지속가능한 발전과 21세기 에너지정책: 에너지체제 전환의 필요성과에너지정책의 바람직한 전환 방향」.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3호, 147~166쪽.
윤순진. 2003. 「지속가능한 에너지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에너지정책 개선방향: 재생가능에너지관련 법·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제14권 제1호, 269~299쪽.
윤순진. 2006. 「IT와 환경거버넌스: IT를 활용한 시민참여 확대방안의 모색을 중심으로」. ≪환경논총≫ 제44권, 121~149쪽.
윤순진. 2008.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 가능성: 지속불가능성의 지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8권, 12~56쪽.
윤순진. 2013. 「경제민주화를 이끄는 에너지 전환정책: 전력을 중심으로」. 2013년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공동토론회 발제문.
윤순진. 2014. 「후쿠시마 이후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2014년도 한국 사회학회후기사회학대회 발표논문집(환경분과) .
윤순진·김소연·정민지. 2011.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제 발전 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관성과 역돌출부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ECO≫ 제15권 2호, 147~195쪽.
윤순진·정연미. 2013. 「원자력발전에 대한 독일 학교교육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제21권 제3호, 197~220쪽.
윤순진·강소연·박종문·심혜영·이지광. 2014. 「서울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위탁사업 실적보고서」.
이수진·윤순진. 2011. 「재생가능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이론과 실제: RPS 도입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환경정책≫ 제19권 제3호, 79~111쪽.
이필렬. 1998. 「특집 2. 에너지, 환경, 대안 경제-재생 가능 에너지와 21세기 에너지대안」. ≪환경과생명≫ 통권17호, 42~55쪽.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 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함의」. ≪ECO≫ 제18권 1호, 73~112쪽.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운동과 에너지시티즌십: 유형과 특징」. ≪EC O≫ 제18권 1호, 7~44쪽.
Burch, Sarah. Alison Shawb. Ann Daleb. and John Robinsonc. 2014. “Triggering transformative change: a development path approach to climate change response in communities.” Climate Policy, Volume 14, Issue 4, pp. 467~487.
Debor, Sarah. 2014. “The Socio-Economic Power of Renewable Energy Production Cooperatives in Germany.” Wuppertal Papers, No. 187.
Devine-Wright, Patrick. 2007. “Energy Citizenship: Psychological Aspects of evolution i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in Joseph Murphy(eds.). Governing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Earthscan, pp. 63~86.
Geels, Frank.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 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Volume 31, Issues 8-9, pp. 1257~1274.
Geels, Frank. 2011. “The multi-level perspective on sustainability transitions: Responses to seven criticisms.” Environmental Innovation and Societal Transition, Volume 1, Issue 1, pp. 24~40.
Lovins, Amory. 1976. “Energy strategy: The road not taken?” Foreign Affairs, Volume 55, Issue 1, pp. 65~96.
Morrison, Denton E. and Dora G. Lodwick. 1981. “The Social Impacts of Soft and Hard Energy Systems: The Lonvins Claims as a Social Science Challenge.” Annual Reviews Energy, Volume 6, pp. 357~378.
Smith, Adrian, Jan-Peter Voß, John Grin. “Innovation studies and sustainability transitions:The allure of the multi-level perspective and its challenges.” Research Policy, Volume 39, pp. 435~438.
UNDP. 2005. Human Development Report 2005.
Yildiz, Özgür, Jens Rommel. Sarah Debor. Lars Holstenkamp. Franziska Mey. Jakob R. Müller. Jörg Radtke. and Judith Rognli. 2015. “Renewable energy cooperatives as gatekeepers or facilitators? Recent developments in Germany and a multidisciplinary research agenda.”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Volume 6, pp. 5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