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In the midst of increasing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conflicts associated withenergy use, various urba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at seek toexp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energyconserv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within local units- have been initiated domesticallyand internationally in order to combat climate change, go beyond nuclearpower and thus resolve social conflicts. This case study is centered on the energytransition movements in Sungdaegol Energy Transition Village in Dongjak-gu, Seoulwher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have taken place since the 2011 Fukushimanuclear disaster in Japan. By perform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content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form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energy citizenship shaped by local communitiesand the catalytic factors and constraining factor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which strongly influence energy citizenship form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show that local communities foster energy citizenship by being a place where localresidents can participate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at the same time servingas an educational arena that enables changes i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mutual trust. The study also reveals thatenergy citizenship of local residents is form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method and degree of participati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internal, andexternal factors can either promote or constrain participation in energy transitionmove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for more residents to participatei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rests, preferences and desires among residents; have more diverseactivities and projects; increase efforts to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and make efforts for energy transition prevalent in all areas of society in order toavoid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eing interpreted as politicalactivities.
권용덕・김덕주・허종구・안점판. 2012.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추진방안」. ≪정책포커스≫, 2012-18호, 1~62쪽.
남궁근. 2013. 『행정조사방법론』 제4판. 법문사.
문승규. 2015. 「지역 커뮤니티 중심공간으로서 생활밀착형 공동체시설에 대한 연구:동작구 상도동 성대골 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종문. 2015. 「도시 지역공동체 주민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과정: 서울시 성대골 에너지 전환 운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진희. 2009. 「지역의 에너지 자립. 어떻게 가능한가?: 전북 부안 하서면을 사례 지역으로」. ≪환경과 생명≫, 통권 61호, 157~177쪽.
박진희. 2013. 「시민 참여와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철학: 독일 에너지 전환정책 사례를 토대로」. ≪환경철학≫, 16권, 159~188쪽.
서울특별시. 2012. “올해 서울시 환경상 대상 ‘성대골 어린이도서관 선정’”. 보도자료. 2012.06.05.
성대골 착한에너지 지킴이들. 2013. 『에너지 전환을 꿈꾸는 동작구 성대골 마을이야기』. 성대골사람들.
오혁진. 2006.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 집문당
유제훈. “[살아나는 마을] 청년들의 유쾌한 도전, 동작구 ‘청년플랫폼’”. ≪아시아경제신문≫, 2015.01.12.
윤순진. 2006. 「2005년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 추진과정과 반핵운동: 반핵운동의 환경변화와 반핵담론의 협소화」. ≪시민사회와 NGO≫, 제14권 1호, 277~311쪽.
윤순진. 2008. 「한국의 에너지체제와 지속가능성: 지속불가능성의 지속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78권, 12~56쪽.
윤순진. 2011. 「한국의 원자력 발전과 시민인식의 현주소」. ≪영미문학연구 안과밖≫. 31, 181~200쪽.
윤순진. 2015. 「반핵운동에서 탈핵운동으로: 후쿠시마 핵발전사고 이후 한국 탈핵운동의 변화와 과제」. ≪시민사회와 NGO≫, 제13권 1호, 77~124쪽.
윤순진・이유진. 2008. 「제5장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지역에너지 자립」. 박순애・윤순진・문태훈・조용성・김정인. 『지속가능한 사회 이야기』. 서울: 법문사.
윤순진・김소연・정민지. 2011. 「한국과 일본 원자력 사회기술체계 발전경로의 유사성과 상이성: 관성과 역돌출부에 대안 대응을 중심으로」. ≪ECO≫, 제15권 2호147~155쪽.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제25권1호, 한국공간환경학회, 140~178쪽.
윤혜정. 2008. 「지역시민조직에 의한 지역학습공동체의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이승지. 2011. 「태양광발전시설 설치지역 주민의 에너지에 대한 환경, 사회적 가치인식 비교: 제주 동광 태양광 그린빌리지와 홍성군 홍동면 사례를 중심으로」. ≪제주도연구≫, 제35권, 197~235쪽.
이유진. 2009. 「[지역에너지분과] 집중·의존에서 분산·자립으로: 에너지 자립형 지역만들기」. ≪전국지역리더대회≫, 235~268쪽.
이유진. 2010. 「석유시대를 대비하는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저탄소 녹색마을 정책을 중심으로」. ≪국토≫, 2010년 12월호(통권 350호), 28~35쪽.
이유진. 2012. 「농촌형 에너지자립체계 수립: 현황과 전망」. 『한국유기농업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9쪽~66쪽.
이유진. 2013. 『전환도시』. 한울.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 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함의」. ≪ECO: 환경사회학연구≫, 제18권 1호, 73~112쪽.
이필렬. 2005. 「지속불가능한 발전의 지속인가 생태적 전환인가」. ≪창작과 비평≫, 제33권 4호(통권 130호), 98~110쪽.
이현민. 2008. 「‘상처’를 딛고 에너지 자립 마을로: ‘핵폐기장’을 넘어 대안의 공동체로 거듭나는 부안 등용마을」. ≪환경과 생명≫, 2008년 가을호(통권 57호), 178~193쪽.
이현애. 2004. 「지역환경문제 참여를 통한 환경의식 변화와 지역공동체 형성」.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지웅・이성우・정득진・고순철. 2002. 『지역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조은정. 2008. 「마을 만들기의 환경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허 준. 2006. 「사회운동에 나타난 공동체학습 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 ≪ECO: 환경사회학연구≫, 제18권 1호, 7~44쪽.
홍현진. “20대 청년과 40대 아줌마의 만남 ‘상상도 못했는데’.” ≪오마이뉴스≫, 2015.01.08.
Beck, Ulrich. 2015. “Emancipatory Catastrophism: What Does It Mean to Climate Change and Risk Society?” Current Sociology, 63(1), pp. 75~88.
DECC. 2014. Community Energy Strategy: People Powering Change. Department of Energy & Climate Change, United Kingdom.
Devine-Wright. P. 2007. “Energy Citizenship: Psychological Aspects of Evolution in Sustainable Energy Technologies.” Governing Technology for Sustainability, pp. 63~86.
Fryer. R. H. 1999. Creating Learning Cultures: Next Steps in Achieving the Learning Age. Second Report of the National Advisory Group for Continuous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Sheffield. England: NAGCELL.
Hillery. G. 1955. “Definition of Community: area of agreement.” Rural sociology, Vol. 20, pp. 111~123.
Marshall. T. H. 1963. Sociology at the crossroads. 김윤태 옮김. 2013. 『시민권과 복지국가』. 서울: 이학사.
Stein. D. S. 2002. “Creating local knowledge through learning in community: A case study.” New directions for adult and continuing education, 2002(95), pp. 27~40.
Walker, G., Cass, N. 2007. “Carbon reduction, ‘the public’, and renewable energy: engaging with socio-technical configurations.” Area, 39(4), pp. 458~469.
Walker, G., Devine-Wright. 2008. “Community renewable energy: What should it mean?”Energy Policy, 36(2), pp. 497~500.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신경식·서아영 옮김. 2005. 『사례연구방법』. 서울: 한경사.
Yin. R. K. 2010.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박지연·이숙향·김남희 옮김. 2013. 『질적 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서울: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