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스마트시대, 도시계획의 확장 및 전환

Expansion and Transition of Urban Planning Practice in the Smart Ag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7, v.27 no.1, pp.86-127
https://doi.org/10.19097/kaser.2017.27.1.86
김한준 (포스트미디어 연구소)

Abstract

스마트시대로 표현되는 최근의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사회 및 인간행위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그것은 또한 도시공간의 변화를 수반하게 되는데, 최근 스마트시티 건설 과정들은 공간이해 및 공간적 실천에서의 다양한 논점과 과제들을 제시해 준다. 본고에서는 현대도시에서 발생되는 새로운 도시적 실천들을살펴보면서, 참여와 정보기술 활용의 차원에서 계획의 변화 양상들을 살펴보고자하였다. DIY 어바니즘, 크라우드 펀딩, 시빅해킹 등으로 표현되는 최근의 도시적 실천들은 자율적 거버넌스의 차원으로 계획의 전환을 요구한다. 동시에 스마트시티의개발과정에서 나타나는 버텀업적인 성격과 실험적 혁신의 확산, 오픈소스 플랫폼의 형성 및 공유자산중심의 접근, 그리고 리빙랩 형식의 확산들은 참여집단의 다양화와 계획주체의 변화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 과정에서 도시계획은 전체 계획생태계의 정보적 연계를 토대로, 수평적, 수직적인 확장과 가상공간까지 포괄하는 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나아가 계획은 참여하는 주민들의 체험적 학습과정이면서 동시에 주민들의 자기조직적 실천과정으로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그 과정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계획2.0 또는 실시간적도시계획의 전개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 도시계획의 실행과정은 공동의 가치창출과정이고, 참여에 기반하는 협력적 디자인의 브리콜라주한 실험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협력을 위한 도구들과 장치들이 선택되고 결합되면서 참여적인 정보기술 기반의 계획내용들이 실행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들은 근대 초기 위생 중심의 도시계획에서, 다음 단계인 자동차 중심 계획의 전환을 거쳐, 이제 스마트시대의 도시계획으로 전환되는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전반적인 변화 양상들은 전반적인 구조와 체계의 전환(Transition)이란 틀 속에서 이해될 수 있고, 철학적 측면에서 인간을 넘어선 비인간인 사물과 기술을 포괄하는 만물의 정치학(Cosmopolitics)이라는 사상적 프레임 내에서 이해되고 조명될 수 있다.

keywords
smart city, planning theory,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urban assemblage, cosmopolitics, 스마트시티, 계획이론, 공간정보기술, 계획생태계, 도시 어셈블리지, 코스모폴리틱스

참고문헌

1.

김정훈. 2015. 「정부-민간 협력 크라우드펀딩 주요 성공사례 및 시사점」. ≪이슈와진단≫, 208호.

2.

김한준. 2015. 「국내 스마트도시 변화와 미래 과제」. ≪세계와 도시≫, 209호.

3.

김한준. 2016. 「스마트도시에서 스마트 어바니즘으로」. 『서울의 미래 ② 도전받는 공간』. 서울연구원.

4.

송위진. 2012. 「Living Lab-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Issue & Policy≫, 제59호.

5.

송위진 외. 2013. 「사회·기술시스템 전환과 지속가능한 도시설계」. ≪Issue & Policy≫, 제74호.

6.

이상은·장동련. 2014. 「공동창조와 공동디자인: 소비자의 디자인 참여를 통한 브랜딩전략의 진화」. ≪기초 조형학연구≫, 15권 4호, 351∼361쪽.

7.

존 어리·강현수·이희상 옮김. 2014. 『모빌리티』. 아카넷.

8.

홍순구·이현미·임성배·김나랑. 2014. 「Co-creation의 개념적 고찰 및 연구과제」. ≪정보시스템연구≫, 23권 1호, 203∼223쪽.

9.

홍의석. 2014. 「미국 도시계획의 신개념, Do-it-yourself(DIY) 어바니즘」. ≪세계도시정보≫.

10.

Angelidou, M. 2016. “Four European Smart City Strate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Studies, Vol. 4, No. 4.

11.

Blok, A. and Farias, I. ed. 2016. Urban Cosmopolitics-Agencements, assemblies, atmosphere. Taylor & Francis.

12.

Boelens, L. 2010. “Theorizing practice and practising theory: outlines for an actor-relational approach in planning.” Planning Theory, 9(1), pp. 28∼62.

13.

Boyd Cohen. 2015. “The 3 Generations Of Smart Cities”(https://fastcoexist.com/3047795 최종접속일: 2017년 2월 28일).

14.

Carta, M. 2014. “Smart Planning and Intelligent Cities: A New Cambrian Explosion.”In: Sanseverino, E. R. et al. (eds.). Smart Rules for Smart Cities. Springer.

15.

Dunne, A. and Raby. F. 2013. Speculative Everything-Design, Fiction, and Social Dreaming. MIT Press.

16.

Eräanta S. and Staffans, A. 2015. From Situation Awareness to Smart City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CUPUM.

17.

EU Report. 2014. Mapping Smart Cities in the EU.

18.

Floridi, L. 2014. The Fourth Revolution: How the Infosphere is Reshaping Human Reality. OUP Oxford.

19.

Farah, J. and Teller, J. 2012. “Bricolage Planning: Understanding Planning in a Fragmented City.” In: Polyzos, S. Urban Development. In-Tech.

20.

Graham, S. and McFarlane C. (eds). 2015. Infrastructural Lives-Urban Infrastructure in Context. Routledge.

21.

Hajer, M. A. 2015. “On being smart about cities.” In: Allen, A., Lampis, A. and Swilling M. (eds). Untamed Urbanisms. Routledge.

22.

Healey. P. 2010. Making Better Places: The Planning Project in the Twenty-First Century. Palgrave Macmillan.

23.

Hillier, J. and Healey, P. 2010.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Planning Theory: Conceptual Challenges for Spatial Planning. Ashgate Publishing, Ltd.

24.

Horelli, L. (eds). 2013. New Approaches to Urban Planning-Insights from Participatory Communities. Alto university.

25.

Kitchin, R. and Dodge, M. 2011. Code/Space: Software and Everyday Life. MIT Press.

26.

Metzger, J. 2014. “Spatial planning and/as caring for more-than-human place.” Environment & Planning A, 46(5), pp. 1001∼1011.

27.

Niaros, V. 2016. “Introducing a Taxonomy of the ‘Smart City’: Towards a Commons-Oriented Approach?” tripleC, 14(1), pp. 51∼61.

28.

Palermo, P. C. and Ponzini, D. 2010. Spatial Planning and Urban Development: Critical Perspectiv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9.

Sanseverino, E. R. et al. (eds.). 2014. Smart Rules for Smart Cities. Springer.

30.

Schaffers H., Komninos, N. et al (eds). 2012. Smart Cities as Innovation Ecosystems sustained by the Future Internet. Technical Report.

31.

Staffans A, and Horelli L. 2014. “Expanded Urban Planning as a Vehicle for Understanding and Shaping Smart, Liveable Cities.” The Journal of Com-munity Informatics, 10(3).

32.

Townsend, A. 2014. Smart Cities: Big Data, Civic Hackers, and the Quest for a New Utopia. W. W. Norton & Company.

33.

Ylipulli, J. et al. 2014. “Municipal WiFi and interactive displays: Appropriation of new technologies in public urban space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89, pp. 145∼160.

34.

http://www.smart-cities.eu/(최종접속일: 2017년 2월 28일).

35.

https://amsterdamsmartcity.com/(최종접속일: 2017년 2월 28일).

36.

http://www.wagl.net/(최종접속일: 2017년 2월 28일).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