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녹색성장-갯벌어업-해삼양식 어셈블리지로 읽는 발전주의와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Green Growth-Tidal flat fisheries-Sea cucumber aquaculture: Rethinking developmentalism and neoliberalization of nature through assemblage theor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3, pp.158-191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3.158
최영래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적 자연의 생산 사례로 녹색성장의 기치하에 집중적으로육성된 해삼양식산업의 발전과정을 분석한다. 국가 중심으로 기울어져 있는 기존의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본 연구는 다수의 행위자들이 참여하며 혼종성 및 역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지 개념을 도입한다. 본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면적으로 포스트 발전국가의 전략적 산물로 나타나는 정책 및 제도는 실상 다양한 스케일의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의개발의지가 교차하고 수렴된 결과물이다. 둘째, 녹색성장-갯벌어업-해삼양식의 일시적인 어셈블리지는 자연에 대한 발전주의적 의미를 증폭시키고 자연의 신자유주의화를 촉진시켰다. 셋째, 해삼은 인간 행위자들의 개발의지에 반하여 성장의원칙에 입각한 단선적인 발전에 저항하는 행위성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발전주의는 발전국가의 유산인 동시에 대다수 사회구성원이 공유하는 욕망으로서 발전국가 이후에도 오랜 기간 사회를 구성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전주의의 분석에 있어 어셈블리지적 관점의 유용성을 확인한다.

keywords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어셈블리지/아상블라주, 발전주의, 녹색성장, 갯벌, 해삼, Neoliberalization of nature, assemblage, developmentalism, Green Growth, tidal flats, sea cucumber

Abstract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 development of sea cucumber aquaculture industry in South Korea promoted under the national ‘Green Growth’ plan as a neoliberalizing process of nature. Using assemblage theory attending to heterogeneity, dynamism, and participation of multiple human and more-than-human actors, this paper extends the horizon of the hitherto state-centered South Korean scholarship on neoliberalization of nature. This paper argues that government policies and institutions, which appear to be a product of a post-developmental state strategy, in effect emerge from the crossings and convergences of state and non-state actors’ will to improv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a temporary yet coherent assemblage of Green Growth-tidal flat fisheries-sea cucumber aquaculture amplified developmentalism imposed on nature and accelerated its neoliberal production. In the process, sea cucumber as a more-than-human actor performed an agency confronting the collective human actors’ will to improve, resisting against a linear path of development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gress. This paper rethinks the notion of developmentalism as consisting of individual desires, while also being a legacy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the post-developmental era, developmentalism operates as a long-run force that continues to reconfigure the society. Assemblage theory is useful in thinking beyond state-centered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the deeper and lasting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ism.

keywords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어셈블리지/아상블라주, 발전주의, 녹색성장, 갯벌, 해삼, Neoliberalization of nature, assemblage, developmentalism, Green Growth, tidal flats, sea cucumber

참고문헌

1.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2006. 『해삼 양식 기술개발』.

2.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2017. 「해삼 양식 연구 현황 및 추진 계획」(발표자료).

3.

김숙진. 2016. 「아상블라주의 개념과 지리학적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51(3), 311~326쪽.

4.

김인영. 2011. 「이명박 정부의 본질에 관한 고찰: 신자유주의 국가인가, 발전국가의 변환인가?」. ≪비교민주주의연구≫, 7(2), 71~94쪽.

5.

농림수산식품부. 2010a. 신갯벌어업 추진계획.

6.

농림수산식품부. 2010b. 제3차 수산진흥종합대책(2010~2014).

7.

박광재. 2018. 국내외 해삼산업 현황 (해삼 수출전략 TF 회의).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8.

박배균. 2009. 「한국에서 토건국가 출현의 배경」. ≪공간과 사회≫, 31, 49~87쪽.

9.

쓰루미 요시유키 저. 이경덕 역. 2004. 『해삼의 눈』. 뿌리와이파리.

10.

이상헌. 2009. 「MB 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환경사회학연구 ECO≫, 13(2), 7~41쪽.

11.

이채성‧박영제. 1999. 「해삼, Stichopus japonic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및 수용밀도의 영향」. ≪한국양식학회지≫, 12(1), 39~45쪽.

12.

장덕수‧황진태. 2017. 「한국에서 자연의 신자유주의화의 다중스케일적 과정에 대한 연구: 강원도 양양 케이블카 유치 갈등을 사례로」. ≪공간과 사회≫, 60, 226~256쪽.

13.

전라남도 수산자원과. 2016. 중국 장자도그룹 오후강 총재 지사님 면담 보조자료.

14.

전라남도해양수산과학원 국제갯벌연구센터. 2012. 『해삼양식 가이드북』.

15.

최병두. 2007.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이행과 공간정책의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82~103쪽.

16.

최병두. 2010. 「신자유주의적 에너지정책과 ‘녹색성장’의 한계」. ≪대한지리학회지≫, 45(1), 26~48쪽.

17.

최병두. 2017. 「초국적 노동이주의 행위자-네트워크와 아상블라주」. ≪공간과사회≫, 27(1), 156~204쪽.

18.

최장집. 2008년 1월 1일. 「선진화의 성장전략은 박정희 개발모델 연장」. ≪경향신문≫.

19.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남해지사. 2016. 『2016년 전남 해삼씨뿌림 적지조사 보고서』.

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8. 『충남 해삼산업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연구용역』.

2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2. 『갯벌어업 육성을 위한 연구』.

22.

한국해양연구원. 2005. 『갯벌 생태계조사 및 지속 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23.

황진태‧박배균. 2013. 「한국의 국가와 자연의 관계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연구를 위한 시론」. ≪대한지리학회지≫, 48(3), 348~365쪽.

24.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2009년 10월 12일. 「갯벌의 고부가가치 명품 수산물 산업화 생산 본격 착수」. 보도자료.

25.

나오진. 1963년 1월 4일. 「새해의 새 호프 수산계에 혁명 일으킨 최상 박사: 오징어 새우 해삼 등 양식에 성공」. ≪경향신문≫.

26.

농림수산식품부. 2010c. 1월 28일. 「새로 태어나는 고부가가치 황금 갯벌」. 보도자료.

27.

동아일보. 1939년 4월 9일. 「해삼업자황금시대 만지방면수요격증: 남획에 의한 절종을 우려하고 식산국서 대책에 부심」.

28.

박종면. 2018년 10월 3일. 「사라진 해삼섬. 현대해양」. http://www.hdhy.co.kr/news/articleView.html?idxno=7894.

29.

이미선. 2014년 11월 6일. 「충남해삼생산자협회 창립총회」. ≪태안미래신문≫. http://t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98.

30.

「태안 안면도 ‘해삼섬’서 해삼 본격 출하」. 2015년 6월 16일.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50616069400063

31.

「태안 해삼, 중국 수출 날개다나: 중국 연태시 관계자, 17일 태안 해삼 수입 논의 위해 태안 방문」. 2016년 11월 2일. ≪충남넷 멀티미디어≫. http://www.chungnam.go.kr/multi/multiMedia.do?article_no=MD0001002558&med_action=view&mnu_cd=CNNMENU00005.

32.

「해삼 축제식 양식으로 연중 대량생산 가능」. 2016년 5월 7일. ≪한국수산경제≫. http://fisheco.com/detail.php?number=59361&thread=25r01.

33.

Bakker, K. 2010. “The limits of “neoliberal natures”: Debating green neoliberalism.“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4(September), pp. 715~735.

34.

Belton, B., & Thilsted, S. H. 2014. “Fisheries in transition: Food and nutrition security implications for the global South.” Global Food Security, 3(1), pp. 59~66.

35.

Bostock, J., McAndrew, B., Richards, R., Jauncey, K., Telfer, T., Lorenzen, K., … Gatward, I. 2010. “Aquaculture: global status and trend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65(1554), pp. 2897~2912.

36.

Brenner, N., & Theodore, N. 2003. Spaces of neoliberalism: urban restructuring in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Vol. 4). Wiley-Blackwell.

37.

Castree, N. 2008a. “Neoliberalising nature: processes, effects, and evalu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0(1), pp. 153~173.

38.

Castree, N. 2008b. “Neoliberalising nature: the logics of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A, 40(1), pp. 131~152.

39.

Cons, J., & Eilenberg, M. 2019. “Introduction: On the New Politics of Margins in Asia: Mapping Frontier Assemblages.” In J. Cons & M. Eilenberg (Eds.), Frontier Assemblages: The Emergent Politics of Resource Frontiers in Asia, 1~18. Wiley.

40.

Deleuze, G. 2004. Anti-oedipus. A&C Black.

41.

Deleuze, G. 2007. Two regimes of madness: Texts and interviews 1975-1995.

42.

Deleuze, G., & Guattari, F. 1987. A thousand plateau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43.

FAO. 2018.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8 - Meet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ome.

44.

Foucault, M. 1977. Foucault, Michel. 1977. “Nietzsche, Genealogy, History.” In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edited by D. F. Bouchard.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Language CounterMemory Practice Selected Essays and Interviews, pp. 139~164.

45.

Foucault, M. 2010.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ège de France, 1978-1979(M. Senellart & F. Ewald, Eds.). Picador.

46.

Jessop, B. 2008. State Power: A Strategic-Relational Approach. Polity.

47.

Korf, B. 2010. “The geography of participation.” Third World Quarterly, 31(5), pp. 709~720.

48.

Li, Tania. 2007. The Will to Improve: Governmentality, Development, and the Practice of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49.

Li, Tania. 2014. “What is land? Assembling a resource for global investment.”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9(4), pp. 589~602.

50.

Lorimer, J. 2015. Wildlife in the Anthropocen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51.

Marcus, G. E., & Saka, E. 2006. “Assemblage.” Theory, Culture & Society, 23(2-3), pp. 101~106.

52.

Marshall, J. 2001. “Landlords, leaseholders & sweat equity: changing property regimes in aquaculture.” Marine Policy, 25(5), pp. 335~352.

53.

Müller, M., & Schurr, C. 2016. “Assemblage thinking and actor‐network theory: conjunctions, disjunctions, cross‐fertilisations.”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41(3), pp. 217~229.

54.

Smith, N. 1984.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John Wiley & Sons.

55.

Steinberg, P. E. 2001.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Oce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Tsing, A. L. 2015.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on the possibility of life in capitalist ruins. Princeton University Press.

57.

Walters, B. B. 2007. “Competing use of marine space in a modernizing fishery: salmon farming meets lobster fishing on the Bay of Fundy.” Canadian Geographer / Le Géographe Canadien, 51(2), pp. 139~159.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