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정서 파급: 성격 요인 및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유지수(성신여자대학교) ; 장재윤(성신여자대학교) pp.257-280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장에서 경험하는 긍정 및 부정 정서가 가정으로 파급(spillover)되는 정도와 정서 파급 과정에서 성격 요인(신경증과 외향성) 및 직무만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를 고찰하였다. 125명의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재구성법(DRM)을 통해 연구 참여 전날 경험한 전체 에피소드들과 각 에피소드에서 경험한 긍정, 부정 정서 반응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루 중의 전체 에피소드를 직장과 가정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서 긍정 및 부정 정서를 경험한 정도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직장과 가정영역에서의 긍정 및 부정 정서들간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와 직장-가정간 정서 파급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부정 정서가 직장에서 가정으로 파급될 때 신경증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긍정 정서가 직장에서 가정으로 파급될 때 외향성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직장에서 긍정 정서 경험 정도에 따라 가정에서 긍정 정서를 경험하는 수준이 더 많이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질적 특성 및 직무만족 수준에 따라 직장에서의 체험 정서가 가정으로 파급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pillover of emotions from work to famil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factors(extraversion and neuroticism) and job satisfaction. Using the ‘Day Reconstruction Method(DRM)’ that reconstructs the emotions of a day, we collected data concerning every episodes in a day and their concomitant emotions from a sample of 125 Korean working adult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t work with those at home, indic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of emotions from work to family. Furthermore,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spillover of positive emotion: the spillover of positive emotion from work to family was stronger among extraverts, and weaker among neurotics.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y had no such moderating effects on spillover of negative emotion. Finall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spillover of positive affect. Som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seem to have moderating effects on spillover of positive emotion.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변화몰입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손향신(광운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pp.281-306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28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변화상황에서 개인의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변화에 대한 몰입과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었고, 두 번째 목적은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화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변화를 겪고 있거나 겪은 적이 있는 조직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 변화몰입에 대한 자료를 얻었으며, 공통방법편파에 의한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사대상자들의 상사나 동료로부터 적응수행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연구 결과, 개인의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높을수록 변화몰입과 적응수행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가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변화몰입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화리더십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사의 변화리더십이 강할 때보다 약할 때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와 변화몰입 간의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개방성, 외향성, 핵심자기평가와 변화몰입 간의 관계에서 상사의 변화리더십이 조절 역할을 한다는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openness, extroversion, and core self- evaluation on individuals' commitment to change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change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ness, extroversion, and core self-evalu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employees of 32 different organizations that had been undergone organizational change recently. Respondents rated their openness, extroversion, core self-evalu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To reduce the effect from common method bias, the adaptive performance was rated by their peers or supervisors. The result showed that openness, extroversion, and core self-evalu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mmitment to change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commitment to change ha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ors (openness, extroversion, and core self-evaluation) and other-rating adaptive performance. There were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the change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openness, extroversion, and core self-evaluation and commitment to change because the relationship was more positive when leader's change leadership was low.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자기-타인 평가에서 자기해석과 종결욕구의 영향
김정식(광운대학교) pp.307-329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3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기해석(self-construals)이 자기 및 타인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종결욕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168명의 연구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자기해석을 측정한 후 독립적자기와 의존적자기의 실험조건으로 나누고, 종결욕구를 조작하도록 고안된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게 한 다음 자신과 타인에 대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독립적자기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며 타인의 행동은 내부귀인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이 관계가 종결욕구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강해지는 조절효과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해석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고정적이지 않으며 종결욕구와 같은 상황요인에 의해서 달라진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문화구성주의가설을 지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 맥락에서 일어나는 인사평가에 대해 본 연구의 시사점들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struals on self-other evaluations and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need for closure in this relationship. One hundred sixty eight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conditions based on their self-construal scores, performed a cognitive task designed to manipulate the need for closure, were asked to evaluate their own and others' behavi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independent self evaluated themselves more positively and attributed others' behaviors more externally than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 It was also found that the need for clos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nstruals and self-other evalu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s of self-construals on behaviors are not fixed but vary with situational factors such as the need for closure, supporting the dynamic constructivist hypothesis of culture. Implications on personnel evaluation in organizational contexts are also discussed.

생활만족에 대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
박세영(전북대학교) pp.331-353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3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와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생활만족에 대한 기여도를 규명하며,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들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여부, 직위, 직종, 수입을 통제변수로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 간의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611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나타내는 생활만족을 알아보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 중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6개 영역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생활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삶의 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은 .535로 나타나 수렴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직무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33.6%의 설명변량을 갖고 있고 여가만족은 생활만족에 대해 20.9%의 설명변량을 가져, 여가만족보다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더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은 함께 생활만족에 대해 39.6%의 설명변량을 가져 직무만족과 여가만족 모두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만족과 여가만족과의 상관은 .429였고,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상관이 유의하여 직무만족과 여가만족이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he data were gathered from 611 employees who a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onvergent validity of life satisfaction scale was identifi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job satisfaction was the better predictor of life satisfaction, but leisure satisfaction added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t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금융텔러의 직무수행과 만족에 대한 긍정적 자아개념과 인지능력의 효과: 동기잠재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병화(경주대학교) pp.355-383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3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금융텔러의 직무수행과 종업원의 만족을 설명하는 성격특질과 인지능력의 차원별 효과를 밝히고 각 효과모형에 대한 조절변수로서 업무환경에 따른 동기잠재력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전형적인 5요인 성격모형을 대신하여 조직성과와 관련된 성격특질로 조명되는 긍정적 자아개념(CSE: core-self evaluation)의 효과를 다루었다. 특히 조직관점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객관적 수행 측정치를 준거변수로 사용함으로써 실무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고객대면 상황이 가장 빈번한 서비스 접점에 있는 금융텔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후 월별 수행기록을 별도로 수집하여 표본데이터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과 만족에 대한 개인차 효과와 동기잠재력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적 자아개념의 하위차원에 따라 직무만족과 생애만족, 객관적 직무수행에 대한 상이한 효과가 발견되었고, 인지능력의 하위요인들은 직무만족과 생애만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객관적 업무수행과 높게 관련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요 관심의 하나인 동기잠재력의 조절효과는 흥미롭게도 긍정적 자아개념과 객관적 직무수행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고객에 대한 관계관리가 중요한 전략으로 부각되면서 고객접점에 있는 종업원들에 대한 이해가 재조명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Abstract

Drawing on the core-self evaluation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s and integrates how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to motivational potentials differently affects relationships among core-self evaluation, cognitive ability and outcomes such as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objective job performance measures. Core-self evaluation (CSE) was assumed to be a broad personality concept manifested in four specific traits: self-esteem, self-efficacy,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neuroticism. A strength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ffects of core-self evaluation and general mental ability (g factor) to the objective performance in the line of financial services. Using data collected from financial tellers at a Korean big company, the proposed hypotheses receive support in that core-self evaluation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terestingly, results indicate that CSE is related to objective performance measures for financial services via the work environment contingent on different levels of motivational potentials. Results also indicate that cognitive ability hardly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CSE.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core-self evaluation literature are discussed along with practical suggestions to manager that are responsible for employee management.

상사의 언행일치, 리더정당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신지화(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385-407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3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하가 인식한 상사의 언행일치가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정당성인식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또한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기업에 재직하고 있는 현직자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결과 상사의 언행일치는 리더정당성인식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리더정당성인식은 부하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또한 상사의 언행일치가 부하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정당성인식은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상사의 언행일치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는 리더정당성인식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언행일치와 리더정당성인식의 관계에서 상사의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부하의 성실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subordinat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Data were gathered from 304 employee who a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in Korea. Results of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behavioral integr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was significatn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was served as a full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grity and job satisfaction and a partial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gr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leader'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nd subordinate's conscientiousness had moderating ro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havioral integrity and leader legitimacy perception.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주도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프로틴(protean) 경력지향을 매개변인으로
황애영(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409-428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4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의 주도적 성격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프로틴 경력지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조직적 차원의 변인인 조직의 경력 지원이 프로틴 경력지향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3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서는 총 204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분석 결과 프로틴 경력지향은 주도적 성격과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의 경력 지원은 모두 프로틴 경력지향과 주관적 경력성공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and a mediating role of protean career on this relationship. Data were obtained from 204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a wide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Proactive persona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areer success. Protean career played a mediating ro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success. Also, career support from organization played moderating ro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nd career success.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비스직 종업원의 정서노동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스트레스 교류모형과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중심으로
백승근(아주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 허창구(아주대학교) pp.429-455 https://doi.org/10.24230/ksiop.24.2.201105.429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ticular influences of sub-constru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Lazarus & Folkman's(1984) stress transactional model. Thus, the mediating, moderating, and mediated moderating effects was tested based on Shaufeli & Bakker's(2004) Job Demand-Resource Model in a sample of 308 hotel service employees. First, the result of mediation tests indicates that the ability to percept emotions(APE) predicts emotional labor strategy through display rule significantly. Second, the result of moderation tests, however, indicates that the ability to use emotions foster the path which was display rule about expressing positive emotion(EPE) to deep acting(DA) only. Third, testing the mediated moderation hypothesis using the technique was developed by Preacher et al.'s(2009), the result indicates that just one of two conditional indirect effect, APE to DA through EPE depends on several AUE levels, was significantly. And the simple slopes of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ith 95% of confidence interval by bootstrapping method was depict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