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운전스트레스와 교통사고 위험의 관계에서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이순열(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 이순철(충북대학교) pp.673-693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6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관계에서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운전스트레스 발생이 대처행동 양식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행동 양식에 의해서 교통사고 위험이 영향을 받게 되는 매개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스트레스 발생은 교통사고 위험을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처행동 양식(순행적, 역행적)을 통해 간접적 영향관계도 발생하였다. 이것은 운전스트레스가 대처행동 양식(순행적, 역행적)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교통사고 위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각적인 구조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운전스트레스로 인해서 발생되는 교통사고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운전스트레스 관리만으로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운전스트레스는 대처행동을 통해 교통사고 위험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운전스트레스 감소 방안과 함께 대처행동 양식을 조절하기 위한 방안도 병행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운전목적에 따른 집단 분류에서 직업적인 운전자는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적인 운전자는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업적으로 운전하게 되면 운전스트레스가 교통사고 위험을 증가시키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작용하게 됨을 확인 시켜주는 결과이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riving stress on traffic accident risk.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driving stress on drivers' coping behaviors and the aptitude of mediating models through which coping behavior types affect traffic accident risk. As a result, driving stress directly increased traffic accident risk and indirectly affected them through(good and bad) coping behavior types. This indicates that driving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 traffic accident risk by the medium of(good and bad) coping behavior types in multilateral ways.(Commercial and leisure-purposed) driving purpo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between driving stress and traffic accident risk. Specifically, commercial drivers were affected by driving stress, compared to leisure-purposed drivers. As they were unable to defer or abandon driving even under driving stress, commercial drivers responded to the stress more sensitively and increased traffic accident risk by selecting inappropriate(bad) coping behavio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ere concentration on driving stress management cannot sufficiently lower the traffic accident risks caused by driving stress. This is because driving stress have indirect influences on traffic accident risk.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seek how to reduce driving stress and control coping behavior types in order to lower the traffic accidents risk by the stress.

단축형 Holland 직업흥미검사를 이용한 육각형 모형의 구조적 가설 검증
허창구(아주대학교) pp.695-718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6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Holland 이론의 한국 문화적 타당성 근거자료의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Holland 이론의 개념에 충실한 단축형 검사를 개발하였고, 단축형 검사와 더불어 한국문화에 맞게 개발된 Holland 직업흥미 검사 중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적성탐색검사’를 함께 실시하여 Holland 이론의 순환순서가설 및 주변관계가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축형 흥미검사 75문항의 요인분석 및 적성탐색검사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72개 문항이 Holland 여섯 가지 흥미유형을 차별적으로 측정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었다. 순환순서가설 검증을 위한 무작위 검증(randomization test) 결과에서는 단축형 검사의 경우 순환순서가설을 어느 정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성탐색검사는 대학생 자료에서는 순환순서가설이 지지되었으나, 고등학생 자료에서는 지지되지 않았다. 주변관계가설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단축형 흥미검사의 경우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한 모형의 적합도도 수용가능 한 수준이었으나,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하지 않은 모형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성탐색검사의 경우 주변관계가설을 적용한 모형의 적합도가 수용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검증에서 단축형 흥미검사와 적성탐색검사 모두 RIASEC 순서는 어느 정도 보여주었으나, 육각형 모형은 확인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순환순서가설은 어느 정도 지지되었으나 주변관계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 및 의의를 언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ere preformed for two purposes. The first is to develop a Korean vocational interest inventory based on Holland theory(short version) and second is to investigate of Holland's hypotheses(circular order and circumplex). With a sample of 149 high school students(male 58, female 91) and 224 college students(male 132, female 92),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cale which developed as 72 items in this study has shown acceptable reliabilities and construct validities, that is, this short form interest inventory could be used to verify student's vocational interest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inventories. Second, the radnomization test using RANDALL(Tracey, 1997) has shown that the circular order hypothesis were supported. Third, in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le that Holland's circumplex hypothesis was not adapted, has had better fit(TLI, RMSEA) than the model which Holland's circumplex hypothesis was adapted. Forth, the results of MDS showed the RIASEC interest types could be explained well through Sociaility and Confirmity of Hogan(1983). In summary, Holland's circular order hypothesis was supported but the circumplex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to Korean student's dat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LMXSC가 조직몰입 및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상사 지위의 조절효과 검증
손은율(고려대학교) ; 최명옥(고려대학교) ; 박동건(고려대학교) pp.719-738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7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 비교 관점을 적용하여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를 상대적으로 측정하고, 이러한 상대적 LMX(LMX social comparison, 이하 LMXSC)가 개인의 조직몰입 및 일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상사 지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306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자기보고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상사와 부하 교환관계의 상대적 질(LMXSC)이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상사 지위가 LMXSC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일탈행동에 대한 가설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연구에 있어서 LMX의 상대적 질의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측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회 비교적 맥락을 반영한 측정 방식의 정교화를 시도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MXSC(Leader-Member exchange social comparis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viant behavior in workplace. It was also tested whether perceived leader statu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MXSC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viant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306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a) LMXSC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b) perceived leader statu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MXSC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LMXSC and deviant behavior was, however, no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leader status on relationship between LMXSC and deviant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eith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were discussed.

군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전희(고려대학교) ; 문형구(고려대학교) ; 김경민(고려대학교) pp.739-758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7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매개 및 조절변수의 효과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고, 이러한 과정이 리더에 대한 신뢰라는 변수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또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신뢰 간의 관계가 리더의 능력에 대한 부하의 인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군 조직에서 현재 근무하는 장교 3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리더의 독단적인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조직몰입에 유의하지는 않지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교적인 스타일은 부하들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리더에 대한 신뢰에 의해 매개되었는데, 사교적인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부하의 리더에 대한 신뢰를 높여 결과적으로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을 증가시킴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이 리더의 능력에 대한 인식에 따라 조절됨이 밝혀졌다. 독단적 커뮤니케이션이 신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은 리더의 능력이 낮게 인식될 경우 더욱 강해졌으며, 사교적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신뢰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리더의 능력이 높게 인식될 경우 더욱 강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 및 연구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이 함께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mmunication style and the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factors. Specifically, we considered trust as the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the perception of leader’s ability was considered as the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tyle and trust of the leader. Survey results on the 350 officers in the Korean Army show that the leader’s communication style was significantly influencing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n under his(her) command. Specifically, sociable communication styl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ereas dominant style influenced negatively.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mmunication sty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been partially mediated by trust of the leader. Finally, the perception of leader’s ability ha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communication style and trust of the leader, such that the negative effect of dominant communication style on the trust level has been strengthened when their leader's ability is low than high. Comparably, the positive effect of sociable communication style on the trust level has been strengthened when the perception of leader’s ability is high than low.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ose empirical results was discussed.

최고경영자의 연설문에 나타난 심리적 단어사용과 조직 맥락 간의 관계: 포스코 사례에 대한 K-LIWC분석
이지영(서울대학교) ; 김명언(서울대학교) pp.759-783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759
초록보기
초록

포스코 창립자인 박태준 명예회장의 재직 당시의 주요 연설문(신년사, 창립기념사, 송년사)을 K-LIWC라는 언어분석프로그램을 통해 내용 분석함으로써, 조직 맥락과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단어 사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중요사건의 수와 조직의 발달 단계라는 두 가지 맥락과 리더의 심리적 단어 사용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봄으로써, 리더십 연구에서 간과되어 왔던 조직 맥락의 중요성을 확인해보았다. 분석결과, 중요 사건의 수가 증가할수록 긍정 정서 단어와 부정 정서 단어 모두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성장 단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최고경영자는 도약기에 비해 창업기와 본격 성장기에 정서 및 사회적 과정과 관련된 심리적 단어를 보다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결과들은 뛰어난 최고경영자는 연설문을 통한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조직맥락의 변화를 주시하며 심리적 단어들의 사용빈도를 적절하게 조율하는 특성을 보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al context and the chief executive officer (CEO)’s psychological statements. To this end, using a linguistic analysis program of K-LIWC, content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ree major speeches-the New Year’s addresses, the founding day addresses, and the year-ending farewell Address-which had been presented between 1969 and 1992 by the founder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POSCO. This study analyzed two kinds of organizational context; the number of critical event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and the three stages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ritical events measured as one aspect of organizational context,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critical events, the more the CEO used words with both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In relations to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stage measured as another aspect of organizational context, psychological statements related to both emotional and social processes were made significantly more often during the entrepreneurial stage and growth stage compared to the expansion stag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outstanding CEO tend to adjust the use of psychological words according to the change in organizational context in communicating with organization members through speeches.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대학선발장면에서 평가센터의 신뢰도 및 구성개념 타당도 분석
허창구(아주대학교) pp.785-807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7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입선발을 목적으로 개발된 평가센터를 이용하여, 평가센터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함으로써 대학장면에서의 평가센터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에 이용된 자료는 B 대학의 입학사정관제 모의전형에 응시한 지원자 60명에 대한 평가자 30명의 평가자료이다. 평가자 3인이 한 팀이 되어, 평가팀 별로 6명의 지원자에 대해 3가지 평가과제(구조화 면접, 프레젠테이션, 그룹토의)를 진행했다. 결정연구(D study)를 이용한 평가센터의 신뢰도는 양호하게 나타나 현재의 평가설계가 적절함을 보여주었다. 본 평가센터의 타당도 측면에서 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결과 본 평가센터에서 평가하는 역량이 대학에서의 학업수행과 적응에 중요한 역량이라고 답하여 내용타당성을 보여주었으며, 평가센터 참가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평가의 공정성과 평가의 적절성 및 참여동기 측면에서 본 평가센터의 결과타당도의 일면을 보여주었다. 일반화 연구(G study)를 통해 각 평가과제에서 평가차원(21.1%)과 평가자(10.2%)의 영향을 비교한 결과 평가차원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TMM 분석결과는 MTHM(.51)은 5개 상관 모두 유의했고, HTMM(.55)은 8개 중 7개 상관이 유의했고, HTHM(.36)은 23개 중 8개 상관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평가센터에 평가차원 효과(dimension effect)와 평가과제 효과(exercise effect)가 모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센터 점수와 참가자의 여러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업역량 중 자기주도적 학습은 지원자의 국어 및 영어 내신성적과 상관을 보여주었으며, 토론능력은 대중불안과 부적상관을 보여주었다. 인성역량인 도전정신은 지원자의 외향성, 자기효능감, 교외수상 횟수와 정적상관, 사회불안의 하위항목인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과는 부적상관을 보여주었고, 창의성은 외향성과 정적상관, 적응력은 정서적 안정성과 정적상관을 보여주었다. 그룹토의에서 평가한 대인관계 역량은 수행불안 및 대인불안과 부적상관을 자기효능감과 정적상관을 보여주었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ere preformed for verifying the applicability of Assessment Center(AC) for selection of university student. First, the results of decision study of generalizability theory(D study) has shown acceptable reliabilities. So, we could think that this AC was designed properly. Second, the enrolled students of the university have said that the competencies rated in this AC were important for performing study and adapting to school. And participants in this AC reported they have felt fairness and they could have done their best. It means that this AC had validity. Third, generalizability study(G study) has shown dimension effect(21.1%) was higher than rator effect(10.2%). And, in the MTMM analysis, it were found both dimension effect and exercise effect. Forth, in relation analysis between AC ratings and the various records of participants, ‘Self-led Study’ related with ‘Records of Language’ positively, ‘Discussion Skill’ related with ‘Public Anxiety’ negatively, ‘Challenge’ related with ‘Extraversion, Self Efficacy, and Record of Award off campus’ positively and with ‘Anxiety to unfamiliar’ negatively, ‘Creativity’ related with ‘Extraversion’ positively, ‘Adapting to Change’ related with ‘Emotional Stability’ positively, and ‘Interpersonal Competencies’ related with ‘Performance Anxiety and Public Anxiety’ negatively. In short, this AC has shown applicability as selection tool for university stude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박진아(중앙대학교) ; 오세진(중앙대학교) pp.809-833 https://doi.org/10.24230/ksiop.24.4.201111.8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일과의 심리적 분리 변인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일과의 심리적 분리란 직무 시간 이외에는 일과 관련된 생각과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써, 손상된 심리적 자원의 회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 23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는 정서적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정서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과의 심리적 분리가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일과의 심리적 분리의 수준은 낮아지고 이는 결과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서적 소진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들은 조직원들의 정서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 직무시간 이외의 시간에는 조직원들이 일과 심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work overload and unreasonable organizational climat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detachment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being mentally away from work, to make a pause in thinking about work-related issues, thus to “switch off”.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off-job time is important in order to recover from stress encountered at the job. Data were collected from 234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work overload and unreasonable organizational climat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high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psychological detachmen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work overload and unreasonable organizational climate to emotional exhaus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