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민요에 나타난 첩의 위상

A Representation about the Concubine Shown in the Fork Song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3, pp.7-30
길태숙 (상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첩과 관련된 민요에 나타난 향유자들의 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 노래가 민요 향유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첩과 관련된 민요에서는 각각 첩에 대한 본처, 남성, 첩 자신의 시각이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노래의 대부분은 본처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드물게 남성의 시각을 드러낸 노래와 첩 스스로의 위상을 보여주는 노래를 찾아볼 수 있다. 남성적 시각을 드러낸 민요에서 첩은 사랑스런 존재이며 자기과시적 소유물이고 대를 이어주는 도구로 그려지고 있다. 사랑스런 존재이면서 소유물이라는 모순된 시각은 첩이 남성에게 주체적인 여성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도구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첩을 죽이고 싶도록 미워하는 본처에게 첩은 또 하나의 여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처는 첩에 대해 강한 적개감을 드러내고 가해자로 인식하지만, 그 적개감의 이면에서 본처가 첩을 남편의 사랑을 받을만한 사랑스런 여성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첩 스스로는 나이 많은 남성의 성적도구로밖에 살수 없는 자신을 피해자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매우 개인적이고 제한적으로 나타나 있을 뿐 여론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본처 집단이 여성민요 향유층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첩은 그 향유자들 사이에 끼일 수 없으며 끼었다 하더라도 자신의 위상을 드러낼 형편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결국 본처의 입장에서 불리는 대부분의 첩관련 민요는 첩을 과장되게 욕하거나 본처의 위치가 첩보다 낫다는 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본처가 첩 때문에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데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노래들은 순종과 인내를 담보로 한 본처의 긍지를 강조하거나 문제적 상황을 여성과 여성의 대립으로 표현함으로써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가 제시한 가정의 여성의 역할수행을 강화하는데 기능하기도 한다.

keywords
concubine, songs concern with concubine, perception of concubine, an instrumental being, a assaulter, only sex partner of an old man, patriarchal system, women verse women, the function of healing a wounded heart., 첩, 첩노래, 첩의 이미지, 소유물, 가해자, 성적 도구, 가부장제, 본처집단, 주체적 여성, 도구화된 여성, 여성과 여성의 대립.

참고문헌

1.

(1980~198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

(2000) 서사민요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현실대응양상과 그 의미 , 박이정

3.

(1932) 축첩군을 쏘노라,

4.

(2003) 민요에 나타난 여성적 말하기로써의 죽음 , 여성문학학회

5.

(2002) 남편의 ‘잉첩’과 아내의 ‘적국’-한씨규훈韓氏閨訓 과 자경편 自警編 의 ‘첩다루기’가 의미하는 것 , 태학사

6.

(1996) 시집살이 노래연구, 박이정

7.

(2003) 조선중기 양반의 성관념과 그 표출양상 , 집문당

8.

(2003) 조선조 사회와 가족, 한울아카데미

9.

(1999) 가정설화의 여성적 시각-첩과 계모이야기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0.

(2004.5) 조선후기 첩과 가족질서-가부장제와 여성의 위계 , 한국사회사학회

11.

(2004) 한말 서울지역 첩의 존재양식-한성부 호적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사학회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