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950년대 여성잡지 『여원』 의 연재소설 연구 -연애 담론의 소설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Serial Novels in the Women's Magazine Yeowon in the 1950s -with focus on the embodiment of the love discourse after the Korean war-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30, pp.347-384
김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국어교육과)

초록

이 논문은 1950년대 『여원』이 실었던 연재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당대 여성 문화와 교양담론을 선도해 나갔던 『여원』의 연애 담론이 소설로 구현된 양상을 검토함으로써 戰後 연애 담론의 현주소를 밝히고, 1950년대 『여원』 연재소설을 역사적으로 의미화하고자 한다.『여원』의 기사와 칼럼들은 해방 후 대중화되기 시작한 연애의 자유에 대한 관념을 결혼과 굳게 결부시키고, 성, 사랑, 결혼이 하나의 관계 안에 행복하게 일치하는 낭만적 사랑을 이상화함으로써 여성을 가정적 존재로 정체화하고 가부장적 위계질서를 재확립하고자 했다. 『여원』의 연재소설들은 낭만적 사랑을 이상화했던 연애 담론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담론 창출의 장이었다. 1950년대『여원』에 실린 연재소설 총 14편 중 13편이 사랑과 결혼의 문제를 다루었으며, 그 중 시대물과연재 중단물을 제외한 9편이 청춘남녀의 사랑의 갈등을 고난 극복의 드라마로그리면서 명증한 선악의 구도를 통해 성, 사랑, 결혼이 일치하는 윤리적 관계를 바람직한 사랑의 모델로 견인해 나간다. 그러나 소설은 담론의 경향을 반영하면서도 또한 담론의 이상 안에 내재한 모순을 들추어내고 담론의 정향성에 균열을 빚어냈다. 「방초탑」이 동양적 윤리의 우월성을 암시하면서도 서구적‘자유’를 과잉 이해하는 동경의 심리와 전통 회복의 의지 사이에서 유동하는당대인들의 동요를 노출하고 있었다면, 「현가」는 한 번 결정된 마음의 정향에운명적 숭고성을 부여하는 낭만적 사랑에 대한 집착을 극도의 정신주의적인금욕의 세계로까지 이끌어간 결과, 정신주의가 추구하는 완전한 평화와 해방의 끝점은 죽음과 같은 것임을 노출하는 역설적 결과를 보였다. 이와 궤도를달리하여, 「후조의 귀로」는 성적 욕망에 굴복하는 비규범적 사건을 통해 규격화된 낭만적 사랑이 실패하는 지점을 드러내고, 사랑의 새로운 의미가 탐구될수 있는 진공을 개방했다. 이처럼 연애의 자유가 촉발하는 욕망의 질주, 정신적 사랑과 금욕주의, 섹슈얼리티의 유혹 등을 면밀하게 묘사하는 가운데 『여원』의 연재소설들은 담론이 정향하는 사랑의 규범을 일정하게 추구하면서도동시에 그와 같이 정향된 규범에 균열을 가하는 비규범적 욕망과 이해를 노출했다. 그런 점에서 『여원』의 연재소설은 이론적이고 담론적인 형태로 제출된낭만적 사랑을 실제 생활의 영역과 접속시켜 사고하고 실험하는 가운데, 담론과 배치되는 당대인들의 동요와 불안을 드러내고 낯선 사랑에 대한 상상으로부터 빚어지는 실존적 욕망과 방어의식을 함께 노출했던 문화적 구성물로서그 역사적 위상이 새롭게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여원, 여성문학, 여류작가, 1950년대, 연애, 낭만적 사랑, 여성교양, 주부, 가정, 대중소설, 연재소설, 여성잡지, Women's novel, The 1950s, Love discourse, Romantic Love, Serial novel, Popular novel, Free love(Yeonae)

Abstract

In this paper, I searched how the discourse of love reflected in the serial novels in the women's pop magazine Yeowon in the 1950s. After the Korean war, the traditional marriage system was significantly criticized and the free love discourse of the colonial times became to be regularized for the mass beyond the restriction of the intellectuals. Along the trend of free love discourse, columns and articles in Yeowon combined love into marriage tightly in that they tried to idealize romantic love which combines love, marriage and sexuality together in one relationship, and this combination made it certain that a woman was a being of a domestic area and supported the re-establishment of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ystem. The serial novels in the women's pop magazine Yeowon in the 1950s reflected and reproduced the love discourse of the magazine. However, serial novels also made a fissure of the discourse in diverse ways. The Washington Monument(Bangchotap) exposed the disturbance of intellectuals of the days who were floated between the will to reconcile with the tradition and the will to be westernized while over-understanding the western love philosophy. A Song of a String(Hyunga) revealed a paradoxical result that the end of platonic love was nothing but a status of death when it lead romantic love into asceticism. The Return Trip of a Migratory Bird(whojo-ui guiro) opened a vacuous hollow to investigate new meaning of love when it revealed the fail of romantic love by disclosing one’s sexual desire with an unexpected incident.

keywords
여원, 여성문학, 여류작가, 1950년대, 연애, 낭만적 사랑, 여성교양, 주부, 가정, 대중소설, 연재소설, 여성잡지, Women's novel, The 1950s, Love discourse, Romantic Love, Serial novel, Popular novel, Free love(Yeonae)

참고문헌

1.

여원 , 1955.10~1960.3.

2.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18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7~60쪽.

3.

김양선, 「1950년대 세계여행기와 소설에 나타난 로컬의 심상지리: 전후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2. 한국근대문학회, 2010, 205~230쪽.

4.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의 ‘아프레 걸(전후여성)’ 표상의 의미: 여성잡지 여성계 , 여원 , 주부생활 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16집,한국여성문학회, 2006, 177~209쪽

5.

김정숙, 「일상성과 한국전쟁을 형상화하는 여성작가의 시선 -강신재의 청춘(靑春)의 불문율(不文律) 론」, 비교한국학 17권 1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09, 277~300쪽.

6.

김지영, ‘연애’라는 표상: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사랑 , 소명, 2007.

7.

김지영 「1950년대 잡지 명랑 의 ‘성’과 ‘연애’ 표상: 기사, 화보, 유머란(1956∼1959)을 중심으로」, 개념과소통 10, 한림과학원, 2012.12, 173~206쪽.

8.

김현주, 「1950년대 여성잡지에 나타난 모성담론: <여원>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국제어문학회, 2007, 11~30쪽.

9.

송인화,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9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293~336쪽

10.

이덕화, 「 여원 에 발표된 <여류현상문예> 당선작품과 기성 여성작가 작품의 비교연구」, 현대소설연구 37,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259~276쪽.

11.

이선미, 「 여원 의 비균질성과 ‘독신여성’ 담론 연구: 1950(55~58)년대 여원 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34, 2008, 51~81쪽.

12.

이선미,「1950년대 젠더 인식의 보수화 과정과 “왈순아지매”」, 여성문학연구 21,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161~201쪽.

13.

임은희, 「1950~6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연구: 여원 에 나타난 간통의 담론화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8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131~160쪽.

14.

장미영, 「 여원 소재 서사만화 연구」, 국어문학 44, 국어문학회, 2008, 239~263쪽.

15.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 여성, 교양, 매체 , 국학자료원, 2008.

16.

앤소니 기든스, 현대 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 변동 . 배은경, 황정미 역, 새물결, 2001.

17.

볼프강 라트비, 사랑, 그 딜레마의 역사 , 이끌리오, 1999.

18.

재클린 살스비, 낭만적 사랑과 사회 , 민음사, 1985.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