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Concept of Woman’s Bildung in the 1950s: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Jeong Chung-nyang’s Woman’s Bildu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5, pp.323-350
mijung lee

Abstract

해방 이후 ‘교양’의 개념은 새로운 사회 계층과 시민 집단을 형성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자질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었다. 여성교양 담론 연구가 주로 여성 매체를 통해 담론화된 여성성에 초점이 맞추어져있기 때문에, 그간 교양을 내면화한 여성 주체의 실질적인 발화 과정에 대한 연구는 간과되어 왔다. 기존 여성교양 담론 연구에서 이들에 대한 논의는 미진한 상태며, 오히려 남성에 의해 재구성된 여성성 혹은 여성과 남성의 이분법적 시각 차이에 집중해왔다. 여성 논자들의 개별적인 목소리 연구를 목적으로 한 본고의 논의는 당시 활동했던 여성 논자 중 해방기부터 왕성히 활동해온 정충량의 논의를 토대로 여성교양 담론의 세부적인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여성교양은 여성을 계몽의 대상으로 한정하고 그 범주를 가정의 영역으로 제한했다는 점에서 남성과의 위계질서를 명확히 드러냈다. 반면 정충량의 여성교양의 개념은 어머니 혹은 아내의 역할로 한정하지 않았다. 여성교양은 남녀평등의 전제조건이었다. 정충량은 남성과의 대결구도 속에서 남녀평등을 논의하는 남성 ‘동화’적 성격을 강조하였다. 정충량의 여성교양 개념은 1950년대 남녀의 위계질서를 수용한 일반적 여성교양 담론에 비해 적극적인 의미를 갖는다. 정충량은 여성의 사회적 영역을 확장하고 남녀평등을 위한 사회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며 수동적인 여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적극적인 여성교양 담론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keywords
Jeong Chung-yang, Bildung, Female, Feminity of the 1950s, Woman’s bildung, Assimilation of masculinity, Gender equality, 정충량, 교양, 여성, 1950년대 여성성, 여성교양, 남성동화, 남녀평등

Reference

1.

정충량, 『마음의 꽃밭』, 서울고시학회, 1958.

2.

『동아일보』,

3.

『경향신문』,

4.

『새가정』,

5.

『여원』

6.

구명숙, 『한국여성수필선집』, 역락, 2012, 245쪽.

7.

모윤숙, 『모윤숙 문학 전집 2』, 성한, 1986, 290-291쪽.

8.

박마리아, 『여성과 교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55, 48쪽.

9.

이광주, 『교양의 탄생』, 한길사, 2009, 10쪽.

10.

한국여성연구원편, 『동아시아의 근대성과 성의 정치학』, 푸른사상, 2002, 5쪽, 34쪽.

11.

캐롤 타브리스, 『여성과 남성이 다르지도 똑같지도 않은 이유』, 히스테리아 역, 또하나의문화, 1999, 80쪽, 98-116쪽.

12.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18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7-60쪽.

13.

김영희, 「정충량 1916~1991:최초의 여성 논설위원 여기자클럽 창설 주도」, 『신문과 방송』 458호, 한국언론재단, 2009, 112-119쪽.

14.

김윤경, 「1950년대 미국문명의 인식과 교양여성 담론」, 『여성문학연구』 2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147-180쪽.

15.

소영현, 「교양론과 출판문화」, 『현대문학의 연구』 42집,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7-48쪽.

16.

송인화, 「1950년대 지식인 여성의 교육과 기독교」, 『한국문예비평연구』 36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473-503쪽.

17.

이선미, 「1950년대 여성문화와 미국영화」, 『한국문학연구』 37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469-509쪽.

18.

이선미, 「『여원』의 비균질성과 ‘독신여성’ 담론 연구」, 『한국문학연구』 34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51-81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