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Politics of Becoming the Writing-Subjec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6, pp.143-173

Abstract

본고는 언어가 ‘불평등한 세상을 공고히 하는 권력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한 여성들이 ‘담론적 실천’으로 펼치는 ‘쓰기 활동’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쓰기’란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제한된 위치에 처해있는 이가 저 자신을 스스로 주체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쓰기 활동을 삼는 상황을 포괄하여 이른다. 여성은 남성의 문자를 다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말할 장소를 개척하는 ‘쓰기-주체’로 거듭난다. 특히 승인된 학문의 장(場)이나 문학 장이 아닌, 제도의 가장자리에서 ‘쓰기-주체’들은 가부장제와 젠더 관습의 억압적 양태를 교란시키고 새로운 담론 지형을 형성하는 일을 훨씬 더 자유롭게 수행한다. 그와 같은 활동을 탐색하다보면 ‘메갈리아’에서 우세하게 활용되는 ‘미러링 화법’은 메갈리안들이 고안한 최초의 방식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쓰기-주체-되기’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여성의 역사 역시 다시 쓰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쓰기 주체’의 수행성이 발휘되는 장소는 학문 장 바깥에 있다. 우선 그와 같은 활동을 1920년대 잡지 『신여성』 에서 살폈다. 남성이 근대적인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여성을 업신여기는 내용의 글이 잡지에 수록될 때, 여학생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여성혐오를 일삼는 남성에 맞섰다. 이를 잇는 최근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고백적인 서사를 사회적인 현안으로 전환해내는 쓰기 방식은 데이트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사안이 ‘누구의 문제인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형성한다. 또한, ‘메갈리아’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여성들의 쓰기 활동은, 여성들이 스스로 젠더관계의 불균형과 관련한 여러 문제 사안에 실천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젠더 관계의 불균형적인 힘의 구도 속에서 삭제되어왔던 ‘저항-목소리들’을 역사의 한복판으로 출연시킬 때 확인할 수 있는 ‘쓰기-주체’는 첫째, ‘패러디’ 및 ‘아이러니’를 활용한 화법을 구사함으로써 권력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둘째, 그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이들의 격론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말을 듣거나/읽는 이들과 대화적인 전환을 이루어낸다. ‘쓰기-주체’의 수행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적 전환’은 종국에는 ‘열린 구조’의 담론을 형성하는 정치성을 발휘한다.

keywords
Mirroring Speech, Hatred for Women (Misogyny), Gender Inequality, Writing, Megalia, Mers Gallery, Megalian, Writing-Subjects, Becoming the Writing-Subject, Shinyeoseong, Song Hwa-Ja, Parody, Irony, SNS, Twitter, 미러링 화법, 여성 혐오, 젠더 불평등, 쓰기, 메갈리아, 메르스겔러리, 메갈리안, 쓰기-주체, 쓰기-주체-되기, 신여성, 송화자, 패러디, 아이러니, SNS, 트위터

Reference

1.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식민지 조선의 신여성 담론과 젠더정치, 1920-1934』, 소명출판, 2009, 230~233쪽.

2.

메갈리아 사이트 (http://www.megalian.com) 게시물

3.

서지영, 『역사에 사랑을 묻다』, 이숲, 2011, 313~314쪽.

4.

양효실, 『권력에 맞선 상상력, 문화운동 연대기』, 시대의 창, 2015, 9~11쪽.

5.

윤보라 외,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 벌거벗은 말들의 세계』, 현실문화연구, 2015, 35쪽, 40~44쪽, 56쪽, 97쪽.

6.

임옥희, 『젠더의 조롱과 우울의 철학 - 주디스 버틀러 읽기』, 여이연, 2006, 164쪽.

7.

가라타니 고진, 이경훈 역, 『유머로서의 유물론』, 문화과학사, 2002, 127쪽.

8.

제프리 골드파브, 이충훈 역, 『작은 것들의 정치』, 후마니타스, 2011, 146쪽.

9.

린다 허천, 장성희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과 전략』, 현대미학사, 1998, 14쪽, 156쪽.

10.

리베카 솔닛, 김명남 역,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창비, 2015, 19쪽.

11.

리처드 세넷, 김병화 역, 『투게더』, 현암사, 2013, 49~55쪽.

12.

리타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1998, 31쪽.

13.

클레어 콜브룩, 한정헌 역, 『들뢰즈 이해하기』, 그린비, 2007, 36쪽.

14.

Harvey Mindess, Laughter & Liberation, Transaction Publishers, 2011. pp. 30~32.

15.

Linda Hutcheon, Irony’s Edge, Routledge, 1994, p. 3, pp. 37~40, pp. 53~54.

16.

김홍미리, 「‘청년진보논객’ 데이트폭력 폭로로 달궈졌던 6월의 여름날을 기억하며」, 『여/성이론』 33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5. 12, 166~180쪽.

17.

류진희, 「‘무기 없는 민족’의 여성이라는 거울 : 해방 직후 탈/식민 남성성과 여성혐오를 단서로 하여」, 『문화과학』 83호, 문화과학사, 2015, 48~61쪽.

18.

손희정, 「혐오의 시대 – 2015년, 혐오는 어떻게 문제적 정동이 되었는가」, 『여/성이론』통권 제32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5. 5, 12~42쪽.

19.

조주영, 「관용의 역설-우리는 무엇을 참아내야 하는가?」, 『여/성이론』 32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15, 43~56쪽.

20.

조혜영, 「낙인, 선언 그리고 반사 : “#나는페미니스트입니다”」, 『문화과학』83호, 문화과학사, 2015, 104~121쪽.

21.

진은영, 「감응(Affect)과 유머의 정치학」, 『시대와 철학』 18권2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421~456쪽.

22.

김용언, 「김치년 백년사」, 『DOMINO』7호, G&Press, 2015년 9월, 94~107쪽.

23.

김태헌, 「막가는 온라인 남녀 갈등…‘김치녀’부터 ‘한남충’까지」, ≪NEWS1≫, 2015. 9.30, <http://news1.kr/articles/?2444978>, (검색일: 2015. 9.20.).

24.

김현정, 「페미니즘 운동 새 지평 ‘메갈리안’.. 혐오에 혐오로 맞서다!-[인터뷰] ‘불법몰카 근절’ 캠페인 시작한 <결못남갤> 메갈리안」, ≪GO발뉴스≫, 2015. 6.25,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5085>, (검색일: 2015. 9.20.).

25.

천관율, 「‘메갈리안’… 여성혐오에 단련된 ‘무서운 언니들’」, 『시사IN』 418호, 2015. 9. 17,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4350> (검색일 : 2015. 9. 20.).

26.

최훈진, 「‘숨쉴한’ 등 남성 비하 속어 확산… 그녀들 뿔났다 」, ≪서울신문≫, 2015. 7. 17,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717001013>, (검색일: 2015. 9.2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