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Study of Imagination of Transposition for Death and Amor Fati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6, pp.327-350
Kim Jung Hy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 논의는 1980년대 김정란 시 텍스트(『다시 시작하는 나비』)를 대상으로, ‘죽음’의 양상 및 새로운 시적 주체의 출현을 살펴보고자 한다. 광주민주화항쟁이라는 물리적 죽음과 검열이라는 상징적 죽음을 겪으면서 형성된 이 텍스트는 시대의 억압에 침묵으로 응전하는 ‘죽음(침묵)의 시’로 분류된다. 죽음을 담는 용기(container)로서 주체를 새롭게 구성하는 ‘변위(transposition)’는 이종 간, 혹은 시공 구분 없이 자유롭게 계를 횡단하는 타자와의 상호연관을 드러내는 장치이다. 이를 전제로 해당 텍스트를 살펴본 결과, 반동일율의 중첩을 통해 이성적 사고에 대한 강력한 거부와 권위주의시대에 대한 불모인식을 확장하였고, 포스트휴먼 주체는 잡종적 공동체를 지향하였다. 이때 죽음은 운동에너지와 생명에너지로 변위된다. 이는 개인의 저항과 포스트휴먼 가치를 지향하는 ‘운명애’의 윤리를 형성하는데, 시대에 저항하여 상황을 전도시키고, 스스로 열린 관계 하에 주체의 가치를 형성한다.

keywords
변위, 죽음, 포스트휴먼, 잡종적 공동체, 운명애의 윤리, Transposition, Death, Posthuman, Hybrid-community, Ethics of 'Amor Fati'

Reference

1.

김정란, 『다시 시작하는 나비』, 문학과지성사, 1989.

2.

김정란, 『비어있는 중심-미완의 시학』, 언어의세계, 1993.

3.

김정란, 『한국현대여성시인』, 도서출판 나남, 2001.

4.

김승희, 『애도와 우울(증)의 현대시』,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5, 269쪽.

5.

김재홍,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5, 552~556쪽.

6.

김학동․조용훈, 『현대시론』, 새문사, 1997, 226~227쪽.

7.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 자음과모음, 2015, 223쪽.

8.

오규원, 『현대시작법』, 문학과지성사, 1990, 210쪽.

9.

오세영 편, 『한국현대시사』, 민음사, 2007, 473쪽.

10.

유병용 외, 『근대화전략과 새마을운동』, 정신문화연구원, 백산, 2001, 45쪽.

11.

이정호, 『텍스트의 욕망; 정신분석과 영미문학 텍스트 읽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49쪽, 254쪽.

12.

도미니크 르스텔, 김승철 역, 『동물성』, 동문선, 2001, 78쪽.

13.

엘레인 쇼월터, 김열규 공역,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48쪽.

14.

로지 브라이도티, 이경란 역, 『포스트휴먼』, 아카넷, 2015, 71쪽, 88쪽, 121쪽, 169쪽, 242~243쪽.

15.

E.William and K. Beal, Timothy, Theory for Religious Studies, New York: Routledge, 2004, pp.79~80.

16.

Rosi Braidotti, Metamorphoses, Malden: Polity Press, 2002, p.3.

17.

Rosi Braidotti, Transposition, Malden: Polity Press, 2006, p.5.

18.

김경수, 「언어와 자아, 그리고 세계에 대한 두 가지 전망」, 『세계의 문학』 제15권 2호, 1990. 5, 119~129쪽.

19.

김승희,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의 특성」, 『여성문학연구』 제 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12, 235~270쪽.

20.

서진영, 「김종삼의 시적 공간에 나타난 순례적 상상력」, 『인문논총』, 제 68집, 서울대학교인문학연구원, 2012. 12, 225~25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