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Topography of Female Worker Representation in South Korean Movies in the Neo-Liberalism Er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99-136
PARK Yuh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200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여성노동자의 재현 양상을 고찰하여 한국영화사의 맥락에서 그 현재적 의미를 밝히고 신자유주의시대 여성노동자 영화의 좌표를 세워보려는 것이다. 한국사회에서 여성노동자가 급증한 것은 1960~70년대 경제 근대화 과정 속에서였다. 한국영화사에서 여성노동자를 재현하는 양상은 이러한 과정과 맥을 함께 한다. 1960~70년대에는 식모, 버스차장, 택시운전사, 호스티스 등 산업화 과정에서 다양해진 도시의 직업군이 영화의 새로운 소재가 되며 여성노동자의 재현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구로아리랑」(박종원, 1989), 「파업전야」(장산곶매, 1990) 등 노동계급의 시각에서 노사갈등을 다루는 영화들이 나오게 된다. 이 영화들에서 여성노동자의 특수성이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노동자 계급의 일원으로 여성노동자가 등장하게 된다. 여성노동자의 문제가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IMF금융위기 이후 신자유주의적 고용유연화 속에서 노동문제의 층위와 양상이 복잡해지는 가운데 비정규직 여성노동자의 문제가 대두하면서부터였다. 게다가 디지털 정보화라는 매체 패러다임의 변화와 함께 영상 제작이 일상화되면서, 여성노동자를 다룬 다큐멘터리도 많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여성노동자의 입장에서 여성노동자의 문제를 다루는 극영화 제작은 미미하다. 이제 노사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한 정치적 검열은 약화되었다 해도 대중이 영화를 통해 어두운 현실의 문제를 새삼 목도하고 싶어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대중의 소구에 기민하게 반응하는 자본의 검열이 그러한 제재(題材)를 원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2000년대 노동자, 더구나 여성노동자를 다룬 영화가 많지는 않지만, 이전의 영화와 다른 양상과 지형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2000년대에 여성노동자를 다룬 영화들에서 전개되는 관습의 수용과 혁신의 스펙트럼을 통해 신자유주의시대 한국영화에 나타난 여성노동자 재현의 지형을 그려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삼성반도체 백혈병 노동자 산재 소송을 다룬 「또 하나의 약속」(김태윤, 2014), 홈에버 비정규직 노동자 투쟁을 다룬 「카트」(부지영, 2014), 여성노동자를 원톱 주인공으로 내세운 저예산영화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안국진, 2014)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2000년대 여성노동자 영화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다큐멘터리와 이 영화들에 나타나는 재현의 차이를 고려하고 제작자본의 성격과 영화 문법의 관계를 참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 영화들의 위상과 의미를 가늠하고, 그것을 좌표 삼아 향후 여성노동자 영화의 과제를 고민해보고자 했다.

keywords
Neo-Liberalism Era, Female Worker, Representation, Irregular worker, Flexibility of employment, IMF Foreign Currency Crisis, Commercial Movie, Low-Budget Movie, Fiction Film, Documentary, Independent Film, 신자유주의시대, 여성노동자, 재현, 비정규직 노동자, IMF금융위기, 고용유연화, 상업영화, 저예산영화, 극영화, 다큐멘터리, 독립영화

Reference

1.

김미례, 외박, 2009.

2.

김태윤, 또 하나의 약속, 또 하나의 가족 제작위원회·에이트볼 픽처스, 2014.

3.

부지영, 카트, 명필름, 2014.

4.

안국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KAFA필름, 2014.

5.

임흥순, 위로공단, 반달, 2014.

6.

홍리경, 탐욕의 제국, 푸른영상, 2012.

7.

이문열, 九老아리랑: 이문열 소설집, 문학과지성사, 1987.

8.

강이수․신경아, 여성과 일: 한국 여성 노동의 이해, 동녘, 2001, 10~88쪽.

9.

셀라 레웬학, 김주숙 역, 여성 노동의 역사, 이화문고, 1995, 1~354쪽.

10.

앨리슨 버틀러, 김선아․조혜영 역, 여성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스크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2쪽.

11.

강만금,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를 실성하게 만드는 지금 여기, 우리가 사는 세상, 브레인 54호, 한국뇌과학연구원, 2015.9, 62~65쪽.

12.

계운경, 『외박 과 『카트』 의 여성노동운동과 공간, 현대영화연구 2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3, 229~256쪽.

13.

권경미, 1970년대 버스 안내양의 재현 방식 연구: 소설, 영화, 수기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53, 중앙어문학회, 2013.3, 281~301쪽.

14.

김남수, 대중문화, 노동문제를 담아내다: 영화 『카트』, 감독과 당사자가 만나다 1부, 월간 비정규 노동 109호, 한국비정규노동센터, 2014년 12월호, 78~97쪽.

15.

김남수, 대중문화, 노동문제를 담아내다: 영화 『카트』, 감독과 당사자가 만나다 2부, 월간 비정규 노동 109호, 2014년 11월호, 한국비정규 노동센터, 98~115쪽.

16.

김지미, 상속되는 권력과 불가피한 광기, 황해문화 89호, 새얼문화재단, 2015.12, 360~368쪽.

17.

김하은, 연대하는 삶에 관하여: 부지영 감독 영화 『카트』, 갈라진 시대의 기쁜 소식 1062호, 우리신학연구소, 2014.12, 107~111쪽.

18.

맹수진,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주제 및 양식적 다양화에 대한 고찰, 씨네포럼 18호,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4.5, 225~285쪽.

19.

박경득, 영화 『카트』 속 마트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여성우리 52호,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14.12, 45~47쪽.

20.

박덕춘, 영화 『카트』 가 수용자의 정치적,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3호,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11, 365~371쪽.

21.

박유희,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역사비평 99호, 역사문제연구소, 2012.5, 42~90쪽.

22.

배상미, ‘여성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 설정의 필요성: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 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제31권 1호, 2014.6, 93~116쪽.

23.

이경옥, 위로하고 위로받는 여성 노동자 이야기 『위로공단』, 월간 비정규노동 114호, 한국비정규노동센터, 2015.10, 126~128쪽.

24.

이선주, 삶과 노동의 가치를 복원하는 미적 실험: 『위로공단』, 현대영화연구 2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3, 161~179쪽.

25.

이충직․이수연, 197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노동자의 계급적 상상력, 영상예술연구 21호, 영상예술학회, 2012, 45~74쪽.

26.

조외숙, 한국영화에 나타난 하층계급 여성상 연구: 197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27.

조혜정, 성실의 역설 그리고 분열증: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현대영화연구 23호,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3, 61~83쪽.

28.

조흡,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미학적 전략, 대한토목학회지 제63권 11호, 대한토목학회, 2015.11, 100~104쪽.

29.

조흡, 『카트』 : 감정 자본주의의 형성, 대한토목학회지 제63권 2호, 2015.2, 104~108쪽.

30.

황진미, 그 많던 노동자는 다 어디로 갔을까: 노동문제에 담아낸 한국 현대사, 우리교육 2015년 겨울호, 2015.12, 142~151쪽.

31.

황혜진, 1970년대 여성영화에 나타난 공․사 영역의 접합양식, 영화연구 26호, 한국영화학회, 2005.8, 425~448쪽.

32.

황혜진, 1970년대 초 한국영화의 여성 재현: 사회적 콘텍스트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12, 117~132쪽.

33.

황혜진, 『성실한 나라의 앨리스』 : 절망적인 현실을 견디는 그녀만의 방법, 공연과리뷰 제90호, 2015.9, 209~213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