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Representation of a Subaltern Opium Addict in the Korean Novels at the Colonial Age : From View Point of the Maternit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9, pp.187-216
Kim Juelee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a subaltern opium addict in the Korean Novels after 1920s especially from the relation with maternity. We show and value a mother's blood relative love to her opium addict child, a woman's violence to her opium addict husband and a mother's hysteria and the sublime maternity of a subaltern opium addict's in the novels at the colonial age. Apart from a maternal affec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order of patriarchy with a mother's discipline, a mother's care to her child becomes blood relative love. And Chae, Mansik's 「an undutiful son」 shows a mother's disgusting blood relative love to her opium addict son. The maternity put more stress a mother's disciplain than a mother's care and shows a violent narratives and the images of death in the narrative about a subaltern opium addic husband like Choi, Jeong-hei's 「Goksang」 and Gang, Gyeong-ae's 「Drugs」. Kim, Sa-ryang's 「Zigimi」 paradoxically shows a sublime maternal narrative that an old subaltern opium addict cares his brethren like their mother with inviting to opium addiction. The representation of a subaltern opium addict related to the maternity in the Korean novels at the colonial age shows various narratives that break up the normality of a colonial modern patriarch society with the paradox as a disgusting blood relative love, a violent hysteria and a subaltern opium addict's care.

keywords
Representation of a Subaltern Opium Addict, Maternity, Blood Relative Love, Hysteria, Disgust and Sublimity, 하층민 아편중독자 표상, 모성, 육친애, 히스테리, 혐오와 숭고

Reference

1.

강경애, 「마약」, 『여성』 제2권 11호, 1937.11

2.

김남천, 「제퇴선」, 『조광』 제3권 10호, 1937.10

3.

김사량, 「지기미」, 『삼천리』 13권 4호, 1941.4

4.

염상섭, 「사랑과 죄」, 『염상섭 전집』2, 민음사, 1987

5.

정비석, 「이 분위기」, 『조광』제5권 1호, 1939.1

6.

채만식, 『채만식전집』 6, 창작과비평사, 1989

7.

최정희, 「곡상」, 『정통한국문학대계 13-최정희』, 어문각, 1994

8.

한용운, 『박명-한용운문학전집 3』, 태학사, 2011

9.

현경준, 「유맹」, 『한국소설문학대계』 25, 동아출판사, 1995

10.

현경준, 「도라오는 인생」, 『20세기 중국 조선족 문학사료 전집 6』, 중국조선민족문화예술출판사, 2004

11.

「별건곤」

12.

「신민」

13.

「조광」

14.

박강, 『20세기 전반 동북아 한인과 아편』, 선인, 2008, 110∼112쪽.

15.

임옥희,『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2003, 35∼39쪽.

16.

리처드 커니, 『이방인, 신, 괴물』, 이지영 역, 개마고원, 2004, 24쪽.

17.

베리 밀리건,샌더 길먼 외, 『흡연의 문화사』, 이수영 역, 이마고, 2006, 187∼190쪽.

18.

마이크 헤스킨스, 『마약』, 이민아 역, 뿌리와이파리, 2005, 10쪽.

19.

사라 러딕, 『모성적 사유-전쟁과 평화의 정치학』, 이혜정 역, 철학과현실사, 2002, 143∼181쪽.

20.

장-뤽 낭시 외 7인, 『숭고에 대하여-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 김예령 역, 문학과지성, 2005, 248쪽.

21.

김학균, 「「사랑과 죄」에 나타난 아편중독자 표상 연구」, 『국제어문』 54, 2012, 365∼387쪽.

22.

노상래, 「헤테로토피아, 제3의 눈으로 읽는 만주」, 『인문연구』 70, 영남대인문학연구소, 2014, 1∼48쪽.

23.

남춘애, 「해방 전 중국 유이민 소설에 나타난 아편의 의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37, 2007, 399∼418쪽.

24.

박장례, 「경성 배경 아편 서사의 인물과 공간 표상」, 『서울학 연구』 13, 2013.11, 1∼42쪽.

25.

서은주, 「만주국 재현 서사의 딜레마, 혹은 해석의 난경」, 『한국근대문학연구』 22, 2010, 231∼263쪽.

26.

신정은, 「현경준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의식과 대응양상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8, 2011, 111∼143쪽.

27.

오상순, 「표면구조에서의 국책 선전과 심층구조에서의 허구성 비판」, 『현대문학의 연구』 36, 2008, 87∼110쪽.

28.

이경훈, 「아편의 시대, 아편쟁이의 시대」, 『사이間』 4, 2008, 263∼290쪽.

29.

이선옥, 「협화미담과 금연문예에 나타난 내적 갈등과 친일의 길」, 『재일본 및 재만주 친일문학의 논리』, 역락, 2004, 12∼54쪽.

30.

조진기, 「만주이주민의 현실왜곡과 체제순응」, 『현대소설연구』 17, 2002, 207∼227쪽.

31.

차성연, 「현경준의 「유맹」 연구」, 『한국문학논총』 53, 2009, 437∼456쪽.

32.

차희정, 「현경준 소설에 나타난 가족의 회복과 공간의 의미」, 『한중인문학연구』 40, 2013, 21∼45쪽.

33.

표언복, 「타락한 시대의 타락한 글쓰기 방법」, 『현대문학이론연구』 47, 2011, 339∼369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