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ritings about the brilliance of Deceased Daughters and Sis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 Commendation, Lamentation and Delimitati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243-267
Ji Young Jung

Abstract

The writings by scholar-officials in the late Joseon period for their dead daughters and sisters present a paradox of praising brilliant daughters and setting the limits for such intelligence. These writings not only provide us with precious details of upper-class women’s lives in the Joseon society, but they also reveal the complex nature of how the norms were created, revisited, and re-invented. The women whose lives were in the writings were highlighted both as the models of womanly virtues and as brilliant daughters of prominent families. The authors, on one hand, praise the intelligence of the deceased family members, and on the other hand confined such brilliance within the framework of virtues and women's work. They set limits for women with the normative vision of womanhood, and yet created a fissure for women to give rise to new possibilities.

keywords
funeral oration, womanly virtues, literacy, norms, threshold, 여성, 독서, 규범, 담론, 틈새

Reference

1.

김수항, 「딸에게 주는 제문」.

2.

김수항, 「딸의 묘를 이장하고 쓴 제문」.

3.

김수항, 「딸의 행적」.

4.

김재찬, 「누나의 묘지명」.

5.

김창집, 「딸의 행장」.

6.

김창협, 「누이를 위한 애사」.

7.

김창협, 「오씨에게 시집간 딸의 묘지명」.

8.

김창흡, 「둘째 며느리 박씨 부인에게 주는 제문」.

9.

송시열, 「서녀 민씨 부인에게 주는 제문」.

10.

송준길, 「딸의 무덤에 쓰는 글」.

11.

송징은, 「큰 누님께 올리는 제문」.

12.

오광운, 「어려서 죽은 누이동생의 행장」.

13.

오도일, 「상씨에게 시집간 누이에게 올리는 제문」.

14.

윤봉구, 「누이동생 숙부인 윤씨의 묘지」.

15.

윤증, 「누이의 묘지」.

16.

이의현, 「둘째딸 김씨의 아내 묘지」.

17.

이재, 「홍씨 누님께 올리는 제문」.

18.

이하곤, 「딸 봉혜 광지」.

19.

이헌경, 「이씨에게 시집간 딸 제문」

20.

정제두, 「누이 정부인의 유사」.

21.

채제공, 「이씨에게 시집간 여동생 제문」.

22.

홍세태, 「딸 이씨 부인에게 주는 제문」.

23.

김경미 외 역,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1∼4」, 보고사, 2006.

24.

김경미․황수연 외 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8」, 보고사, 2010.

25.

정지영, 「질서의 구축과 균열-조선후기 호적과 여성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1-443.

26.

강성숙, 「기억을 통해 드러나는 18세기 사대부의 여성상 -서당(西堂) 이덕수(李德壽)의 어머니, 아내, 딸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38호, 겨레어문학회, 2007, 79-109.

27.

강혜선, 「조선후기 여성 묘주 묘지명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한국한문학연구」 30호, 한국 한문학회, 2002, 7-36.

28.

강혜선, 「한국문학과 일상적 삶 ; 조선후기 여성 대상 제문(祭文)과 묘지명(墓誌銘)에 나타난 일상성 연구」, 「국문학연구」 13호, 국문학회, 2005, 57-83.

29.

고연희, 「17세기 남성의 여성재현 : 김창협의 여성 애제문을 중심으로」, 「퇴계학과 한국문화」 32호,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3, 259-282.

30.

김경미, 「18세기 양반여성의 글쓰기의 층위와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5-50.

31.

김현미, 「19세기․20세기 초 문인들의 제망녀문 속에 드러난 애도」, 「여성문학연구」 3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101-129쪽

32.

류준경, 「여성 망자(亡者)에 대한 여성과 남성의 기록, 그 차이와 층위 -의유당의 < 숙부인이씨행록 >과 < 숙부인이씨유사 > 및 박윤원의 <숙부인연안이씨애사>를 검토함-」, 「국문학연구」 33호, 국문학회, 2016, 122-158.

33.

박무영, 「18세기 제망실문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한국한문학연구」 32집, 한국한문학회, 2003, 317-352.

34.

이경하, 「동관(彤管)의 전통, 그 일상의 정치」, 「국문학연구」 15호, 2007, 79-96.

35.

이은영, 「조선 초기 제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논문, 2001, 1-240.

36.

이지양, 「조선조 후기 사대부가 기록한 아내의 일생: 행장 26편으로 본 내조(內助)의 힘」, 「인간․환경․미래」 7권,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1, 31-57.

37.

황수연,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韓國漢文學硏究」 30호, 한국한문학회, 2002, 37-73.

38.

황수연, 「조선후기 제문 연구-여성 대상 제문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 25호, 2006, 403-428.

39.

황윤정, 「가문 질서의 재생산으로서 여성 행장의 글쓰기 방식 연구 -김만중의<선비정경부인행장(先費貞敬夫人行狀)>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45호, 한국문학교육학회, 2014, 547-58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