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first began appearing in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they were understood to be a form of women’s narrative that was inherited from writers working in the 1990s. These narratives of marriage migration reflected an increase in migration, which was transforming Korea into a somewhat multi- racial society. Moreover, it reveals that the issue of migration in Korean society possessed a distinctly gendered component. This is because the recognition of emigrants as civilians occurred mainly in the form of recognizing families composed of a Korean native and foreign spouse. Therefore, it can be deduced that the ideology of familialism conceals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care work is gradually being shifted to low-wage female workers from less-developed countries. In addition,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ovel Kim Jiyoung, born 1982, which was at the center of the “feminism reboot” phenomenon in South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in the mid-2010s, re-popularized a female image free from the problems of class and race at a time when marriage migration narratives were gradually losing prominence. This article asserts that the success of Kim Jiyoung, born 1982 ref lects the fact the combined patriarchal and neoliberal system of Korean society, which limits the social role of women to being consumers and mothers who direct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maintain the family’s social status, was no longer sustainable due to neoliberalism losing its hegemonic status.
김애란, 「그곳에 밤 여기에 노래」(2009), 『비행운』, 문학과지성사, 2012.
백가흠, 「쁘이이거나 쯔이이거나」(2010), 『힌트는 도련님』, 문학과지성사, 2011.
송은일, 『사랑을 묻다』, 대교북스캔, 2008.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민음사, 2016.
천운영, 『잘 가라, 서커스』, 문학동네, 2005.
김민정, 『이주 시대의 젠더』, 집문당, 2020, 35-36쪽.
강진구, 「한국소설에 나타난 결혼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다문화콘텐츠연구』제11호,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연구기술원, 2011, 171-191쪽.
김미정, 「흔들리는 재현·대의의 시간」, 『움직이는 별자리들』, 갈무리, 2019, 49-82쪽.
류진희, 「젠더화된 메타서사로서 한류, 혹은 ‘K–엔터테인먼트’ 비판」, 『대중서사연구』 제26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20, 9-37쪽.
박정애, 「2000년대 한국소설에서 다문화 가족의 성별적 재현 양상 연구」, 『여성문학연구』 제2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93-121쪽.
배옥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장소 정체성 상실: 공선옥의 「가리봉 연가」를 중심으로」, 『젠더와문화』 제6권 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149-175쪽.
서성란, 「한국 현대소설에 형상화된 결혼이주 여성」, 『한국문예창작』 제12권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3, 245-269쪽.
소영현, 「거대한 침묵 앞에서」, 『82년생 김지영: 코멘터리 에디션』, 민음사, 2018, 83-96쪽.
송명희, 「다문화 소설 속에 재현된 결혼이주 여성—공선옥의 「가리봉 연가」를 중심으로」, 『한어문교육』 제25권,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1, 133-135쪽.
신지영, 「트랜스내셔널 여성문학의 공백」,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87-133쪽.
심영의, 「다문화소설의 유목적 주체성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제52권 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147-174쪽.
엄미옥,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354-390쪽.
엄혜진, 「신자유주의 여성 자아 기획의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한국여성학』 제32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6, 31-69쪽.
엄혜진, 「여성의 자기계발과 페미니즘의 불안한 결속」, 『아시아여성연구』 제60권 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121-162쪽.
연남경, 「여성 이주 소설의 기호학적 분석–결혼이주여성 인물과 공간을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제40권, 한국기호학회, 2014, 165-188쪽.
오길영, 「페미니즘 소설의 몇 가지 양상」, 『황해문화』 제98호, 새얼문화재단, 2018, 335-346쪽.
오혜진, 「’이야기꾼’의 젠더와 페미니즘 리부트」, 권보드래 외, 『문학을 부수는문학들』, 민음사, 2018, 340-376쪽.
이경재,「결혼이주여성 제재 소설의 문화변용 양상에 따른 유형 분류」,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6호, 한국현대문학회, 2015, 413-441쪽.
이미림, 「2000년대 소설에 나타난 조선족 이주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현대소설연구』 제4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645-672쪽.
이지영, 「국제이주와 여성」, 『4차 산업혁명론의 국제정치학: 주요국의 담론과 전략, 제도』,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편,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233-268쪽.
임지연, 「결혼이주 여성의 몸과 교차적 정치성」, 『겨레어문학』 제62권, 겨레어문학회 2019, 127-156쪽.
장미영, 「디아스포라문학과 트랜스내셔널리즘 ⑴」 , 『비평문학』 제38권, 한국비평문학회, 2010, 442-460쪽.
조강석, 「메시지의 전경화와 소설의 ‘실효성’」, 웹진 문장, 2017.
조연정, 「문학의 미래보다 현실의 우리를」, 『82년생 김지영: 코멘터리 에디션』, 민음사, 2018, 59-82쪽.
허 윤, 「광장의 페미니즘과 광장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권 2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123-15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