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Re-reading Women’s Bildungsroman from 1960s Korean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6, pp.282-310
https://doi.org/10.15686/fkl.2022..56.282
Jiyun Kang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several literary works that of 1960s Korean literature that resemble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for women. In an effort to account for the specificities of female bildungsroman during this era, this article attempts the gendered re-contextualization of the general perception that romantic stories were a genre mainly for female writers while bildungsroman, a serious literary form of modern art, finally became fully developed by primarily male writers in 1960s Korean literature. At that time, romantic stories displayed the characteristics of bildungsroman, which emphasized the autonomy of female subjects by revealing the interiorities of heroines. However, the fact that the autonomous interiority of a female subject can actively function as a cultural component does not directly represent the social progress of women. Rather, it reveals that female writers were allocated a safe and subordinate site by accepting the dominant order of gender in the process of nation-state building. Nevertheless, it would be unfair to claim that the popular patterns of romantic stories at that time were completely blind to the fantasy of female autonomy. The dramatic dissolution by death, which was common in romantic stories, can be read as a symptom annihilating the endeavors of female subjects who appeared to search for the unity of love.

keywords
1960s, Bildungsroman, Love Story, Autonomy, Female College Student Novels, Kang Shin-jae, Shin Hee-soo, Han Mal-sook, Han Moo-sook, Park Soon-nyeo, 여성 성장서사, 1960년대, 빌둥스로망, 연애서사, 자율성, ‘여대생’ 소설, 강신재, 신희수, 한말숙, 한무숙, 박순녀

Reference

1.

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2.

강신재, 「파도」, 『젊은 느티나무』, 문학과지성사, 2007.

3.

박순녀, 「아이러브유」, 『박순녀 작품집』, 지식을 만드는 고전선집, 2010.

4.

신희수, 『아름다운 수의』, 문학예술사, 1980.

5.

한말숙, 『하얀도정』, 휘문출판사, 1964.

6.

한무숙, 「축제와 운명의 장소」, 『한무숙 문학전집 6: 감정이 있는 심연 (외)』, 을유문화사, 1992.

7.

김경수 외,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8.

김미정, 『움직이는 별자리들』, 갈무리, 2019, 43-145쪽.

9.

복도훈, 『자폭하는 속물—혁명과 쿠데타 이후의 문학과 젊음』, 도서출판b, 2018, 9-66쪽.

10.

이보영 외, 『성장소설이란 무엇인가』, 청예원, 1999, 229-250쪽.

11.

조은주, 『가족과 통치』, 창작과비평사, 2018.

12.

프랑코 모레티, 성은애 역,『성장의 이치』, 문학동네, 2005.

13.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원』 연구 : 여성·교양·매체』, 국학자료원, 2008.

14.

강지윤, 「개인과 사회, 그리고 여성—1950~60년대 문학의 내면과 젠더」, 『민족문학사연구』 제67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511-548쪽.

15.

강지윤, 「비–전체를 사유하기: 한국 교양소설의 젠더—1960년대 한국전쟁 서사를 중심으로」, 『구보학보』 제28호, 구보학회, 2021, 633-675쪽.

16.

강지희,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7.

김미현, 「강신재의 여성성장소설 연구」, 『국제어문』 제28호, 국제어문학회, 2003, 209-236쪽.

18.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61호,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27-49쪽.

19.

김양선, 「전후 여성교양과 문학사 연구의 실천성 확보를 위한 시론」, 『비교한국학』 제22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91-116쪽.

20.

김지영, 「가부장적 개발 내셔널리즘과 낭만적 위선의 균열」, 『여성문학연구』 제4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57-104쪽.

21.

손혜민, 「연애대중과 소설」,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2.

송경란, 「『여원』에 나타난 전후 연애담론 양상 고찰」, 『한국어와 문화』 제18호, 한국어문화연구소, 2015, 271-294쪽.

23.

심진경, 「여성의 성장과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 『여성문학연구』 제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1999, 185-205쪽.

24.

이선옥, 「1960년대 과학주의 담론의 신체화–잡지 『여학생』에 나타난 소녀와 사춘기」, 『여성문학연구』 제42호, 한국여성문학학학회, 2017, 225-254쪽.

25.

임지연,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 『여성문학연구』 제1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211-240쪽.

26.

전희경, 「1960~80년대 젠더–나이 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한국여성학』 제29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13, 41-79쪽.

27.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여성문학연구』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87-118쪽.

28.

최경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여성교양’ 담론 연구: 연애·결혼·가족서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9.

허윤,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절대화—최희숙, 박계형, 신희수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제40호, 역사문제연구소, 2018, 167-196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