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고정희, 『고정희 시 전집』1·2, 또하나의문화, 2011.
『또 하나의 문화 2호–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 또하나의문화, 1986.
『또 하나의 문화 9호–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또하나의 문화, 1992
『하나보다 더 좋은 백의 얼굴이어라: 여성해방 시 모음』, 또하나의문화, 1988.
『기독교 사상』
『살림』
『여성』1
『여성신문』
『현존』
김명수, 『안병무–시대와 민중의 증언자』, 살림, 2006, 22-23, 51-64쪽.
김애영, 『한국 여성신학의 지평』, 한울, 1995, 194쪽.
김지하, 「생명사상의 전개」, 『남녘 땅 뱃노래』, 두레, 1985, 378쪽.
김진호 외, 『죽은 민중의 시대, 안병무를 다시 본다』, 삼인, 2006, 98, 109, 114쪽.
김진호·김영석 편저, 『21세기 민중신학–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 삼인, 2013, 50-51쪽.
민중신학연구소 편, 『민중신학 입문』, 한울, 1995, 154-155쪽.
박순경, 『민족통일과 기독교』, 한길사, 1986, 194-195쪽.
박완서 외, 『자유로운 여성』, 열음사, 1984, 138쪽.
안병무, 『갈릴래아의 예수』, 한국신학연구소, 1990, 172-200, 233쪽.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한국신학연구소, 1990, 257쪽.
안병무,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한국신학연구소, 1995, 255-266쪽.
이소희,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 고정희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2018, 202쪽.
이우정선생 고희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여성·평화·생명』, 1993, 경세원, 187쪽, 322-323쪽.
이은선, 『여성조직신학 탐구』, 대한기독교서회, 2004, 67-68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신학연구 50년』, 혜안, 2003, 390-393, 397쪽.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또하나의문화, 1993, 39, 229, 269-270쪽.
죽재 서남동 목사 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전환기의 민중신학—죽재 서남동의 신학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신학연구소, 1992, 115쪽.
한국기독교학회 편, 『오늘의 영성신학』, 양서각, 1988, 193-223쪽.
더 케어 컬렉티브, 정소영 역, 『돌봄선언』, 니케북스, 2021, 55, 72쪽.
디트리히 본회퍼 외, 딘 G. 스트라우드 편, 진규선 역, 『역사의 그늘에 서서: 히틀러 치하 독일 신학자들의 설교』, 감은사, 2022, 21-134쪽.
오드리 로드, 주해연·박미선 역, 『시스터 아웃사이더』, 후마니타스, 2018, 196쪽.
김승구, 「고정희 초기시의 민중신학적 인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7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7, 249-275쪽.
김문주,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2,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21-147쪽.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제6호, 한국근대문학회, 2005, 154-181쪽.
김양선,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 체험」,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 19 No.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39-63쪽.
김영미, 「「神」의 저편: 고정희론」, 『행복한 시인의 사회』, 이화현대시연구회 편, 소명출판, 2004, 105-131쪽.
김옥성, 「고정희 시의 기독교적 인간주의」,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권 2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183-210쪽.
김우창, 「시대의 중심에서」, 김지하, 『중심의 괴로움』, 솔, 1994, 111-164쪽.
김은정, 「아시아 여성의 영성」, 『한국여성신학』 제29호, 한국여신학자협의회, 1997, 53-66쪽.
김정은, 「‘광장에 선 여성’과 말할 권리: 1980년대 고정희의 글쓰기에 나타난 ‘젠더’와 ‘정치’」, 『여성문학연구』 제4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267-313쪽.
김희헌, 「유영모와 민중 신학–한국적 범재신론과 실천적 수행종교」, 『신학연구』 제67호,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5, 145-173쪽.
나희덕, 「시대의 염의를 마름질하는 손」, 『창작과비평』 2002년 여름호, 310-327쪽.
노창선, 「고정희 초기 시 연구」, 『인문학지』 제20호,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2000, 61-91쪽.
박선희·김문주, 「고정희 시의 ‘수유리’ 연구」, 『한민족어문학』 제66호, 한민족어문학회, 2014, 443-468쪽.
염선옥, 「김지하와 안병무로부터 파생된 고정희 ‘살림’의식과 계보학적 접근」 제33호, 『국제한인문학연구』, 국제한인문학회, 2022, 155-192쪽.
유성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종교의식과 현실인식」,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호, 한국문예비평학회, 1997, 75-94쪽.
이숙진, 「한국 근대 개신교 민족담론의 여성호명 논리와 이데올로기적 장치」, 『한국기독교 신학논총』 제53권 1호, 한국기독교학회, 2007, 197-223쪽.
정혜진, 「광주의 죽은 자들의 부활을 어떻게 쓸 것인가?—고정희의 제3세계 휴머니즘 수용과 민중시의 재구성⑴」,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회, 2019, 323-360쪽.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의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제71호, 우리말글학회, 2016, 241-273쪽.
최가은, 「여성–민중, 선언–『또 하나의 문화』와 고정희」, 『한국시학연구』 제66호, 한국시학회, 2021, 189-222쪽.
최동호, 「정신주의 시와 생명사상」, 『삶의 깊이와 시적 상상』, 민음사, 1995, 39-51쪽.
홍정선, 「죽임의 세계, 살림의 사상」, 『김지하 전집4: 이것 그리고 저것』 해설, 동광출판사, 1991, 285-29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