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젊은 사자들’의 혁명과 증발되어버린 ‘그/녀들’ —4월혁명의 재현 방식과 배제의 수사학

‘Young Lions’ Revolution and The Lower Classes' Evaporation —Representation of April Revolution and rhetoric of eliminatio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3 no.23, pp.79-118
김미란 (연세대학교)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4월혁명을 다룬 당대의 기록물들과 소설들을 중심으로 혁명이 어떤 방식으로 서사화되면서 기록되었는가를 살피고, 이 과정에서 민중들의 혁명 참여가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면서 혁명사가 구성되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대의 정치 엘리트들과 지식인들이 대학생들을 혁명사의 중심에 위치 짓고자 한 것을 혁명의 성격을 규정하고 그 한계를 설정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하였다. 대학생들은 혁명의 목표를 국민 주권의 회복에 맞추었고 사건의 기록자들은 이를 학생혁명의 성취로 인증해 주었다. 이것은 대한민국 국민 전체를 ‘주권 행사의 주체’로 상상했을 때 가능한 일이지만, 이들이 주권 실현의 유일한 방법으로 재선거를 요청했던 것은 실제적인동등한 시민권을 열망하는 것이라기보다 형식적 평등의 제도적 실현을 추구하는 일에 불과했다. 물론 당시가 한국사회 변혁운동의 과정에서 주체형성의 초기단계였으므로민중은 겨우 학생들의 시위에 동원될 준비만 되어 있었다고 말할 만하다. 하지만 상황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학생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들이 혁명에자발적으로 동원될 수 있었다고 짐작하는 것은 무리한 일이다. 오히려 하층민은 실상 통제 불가능하고 위험한 존재로 상상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일으킬 수 있는 폭동에 대한 공포가 만연해 있었으며, 정치 엘리트들과 지식인들은 폭력과 비폭력의 이분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들을 통어하면서 혁명의 방향을 조절해 나갔음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여성들의 정치 참여는 철저하게 배제되는바, 4월혁명이 남성들의 정치 투쟁과 정치적 경쟁의 장이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4월혁명, 대학생, 국민주권의 회복, 폭력과 비폭력의 이분법, 하층민, 도시빈민, 폭도, April Revolution, university students, recovery of national sovereignty, dichotomy of violence and nonviolence, the lower classes, urban poor, rioters

참고문헌

1.

ꡔ조선일보ꡕ

2.

ꡔ동아일보ꡕ

3.

ꡔ소년동아ꡕ

4.

ꡔ대학신문ꡕ

5.

ꡔ사상계ꡕ

6.

ꡔ현대문학ꡕ

7.

ꡔ월간 중앙ꡕ

8.

강만길 외, ꡔ4월혁명론ꡕ, 한길사, 1983, 98쪽.

9.

공진성, ꡔ폭력ꡕ, 책세상, 2009, 23쪽.

10.

박수만 편, ꡔ사월혁명ꡕ, 사월혁명동지회출판부, 1965, 399쪽.

11.

백영철 편, ꡔ제2공화국과 한국민주주의ꡕ, 나남출판, 1996, 210쪽.

12.

사월혁명연구소 편, ꡔ한국사회변혁운동과 4월혁명Ⅰꡕ, 1990, 한길사, 124~127쪽.

13.

사월혁명연구소 편, ꡔ한국사회변혁운동과 4월혁명Ⅱꡕ, 1990, 한길사, 127쪽.

14.

서중석, ꡔ이승만과 제1공화국: 해방에서 4월혁명까지ꡕ, 역사비평사, 2007, 269쪽.

15.

조희연 편, ꡔ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 그리고 희생ꡕ, 함께읽는책, 2002, 156쪽.

16.

학민사편집실 편, ꡔ4월혁명자료집: 4․19의 민중사ꡕ, 학민사, 1984, 304쪽.

17.

한승주, ꡔ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ꡕ, 종로서적, 1983, 89쪽.

18.

현역일선기자동인 편, ꡔ4월혁명—학도의 피와 승리의 기록ꡕ, 창원사, 1960, 29쪽.

19.

사카이 다카시, 김은주 옮김, ꡔ폭력의 철학 : 지배와 저항의 논리ꡕ, 산눈출판사, 2007, 7쪽.

20.

찰스 테일러, 이상길 옮김, ꡔ근대의 사회적 상상ꡕ, 이음, 2010, 177쪽.

21.

권명아, 「죽음과의 입맞춤—혁명과 간통, 사랑과 소유권」, ꡔ4․19와 모더니티ꡕ, 우찬제․이광호 엮음, 문학과지성사, 2010, 222~261쪽.

22.

김명재, 「헌법상의 국민주권의 개념」, ꡔ공법학연구ꡕ 제7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6, 85~106쪽.

23.

김미란, 「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5, 1~160쪽.

24.

김미란, 「‘시민—소시민 논쟁’의 정치학—주체 정립 방식을 중심으로 본 시민․소시민의 함의」, ꡔ현대문학의 연구ꡕ 제29권,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 7, 255~285쪽.

25.

김성보, 「남북국가 수립기 인민과 국민 개념의 분화」, ꡔ한국사연구ꡕ 제144호, 한국사연구회, 2009, 69~95쪽.

26.

김주현, 「‘의거’와 ‘혁명’ 사이, 잊혀진 여성의 서사들」, ꡔ제3회 여성주의 인문학연합학술대회 자료집: 4․19혁명과 여성ꡕ, 한국여성문학학회 외, 2010. 4. 17, 35~49쪽.

27.

김지미, 「4․19의 소설적 형상화」, ꡔ한국현대문학연구ꡕ 제13집, 한국현대문학회, 2003, 385~425쪽.

28.

김택현, 「다시, 서발턴은 누구/무엇인가?」, ꡔ역사학보ꡕ 제200집, 역사학회, 2008. 637~663쪽.

29.

박명림, 「박정희 시대의 민중운동과 민주주의」, ꡔ한국과국제정치ꡕ 제24권 제2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8년 여름, 231~263쪽.

30.

박태순, 「4월혁명의 기폭제가 된 김주열의 시신」, ꡔ역사비평ꡕ 통권 18호, 1992 봄호, 역사비평사, 189~192쪽.

31.

이영환, 「해방 후 도시빈민과 4․19」, ꡔ역사비평ꡕ 통권 46호, 1999 봄호, 역사비평사, 174~187쪽.

32.

이효재, 「여성과 4․19」, ꡔ실천문학ꡕ 통권 7호, 1985년 여름호, 실천문학사, 305~308쪽.

33.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ꡔ상허학보ꡕ 제26집, 상허학회, 2009. 6, 55~101쪽.

34.

황병주, 「식민지 시기 ‘공’ 개념의 확산과 재구성」, ꡔ사회와역사ꡕ 제37집, 한국사회사학회, 2007. 3, 5~4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