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북한 여성 작가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emale Identity in Works by North KoreanWomen Writer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7, v.0 no.17, pp.349-385
이상경 (한국과학기술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각 시기 여성정책이 여성에게 요구한 것과 그에 대한 여성들의 반응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북한여성작가의 작품을 대상으로 북한의 공식적 여성 정책이 북한 여성의 생활현실과 갈등하면서 그것을 변화시키는 양상을 분석했다. 해방 직후의 작품에는 일제하 여성 문학의 전통을 잇는 측면과 해방 후 북한 사회에서 새롭게 전개될 변화한 여성의 삶의 조건에서 야기되는 문제가 함께 나타나는데, ‘남녀평등권법령’으로 상징되는 제도적 해방이 여성에게 가져다 준 진보와 환희를 포착하면서, 동시에 봉건적 유습이 아직 강고하게 삶 속에 남아 있는 상태에서 그 제도가 일상의 삶에 적용되기란 쉽지 않다는 것을 놓치지 않았다. 6․25 전쟁 이후 전후 건설의 시기 및 60년대의 여성 작가의 작품에서는 본격적으로 생산 현장에 뛰어든 여성들이 직면하는 문제로서 생산 현장에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여성에 대한 비하, 여성들의 자기 비하, 관료주의 등이 비판적으로 성찰된다. 1970년대 이후 혁신적 노동자이자 혁명적 어머니이기를 요구받으면서 여성들은 직장일과 집안 일을 다 해내야 한다는 부담을 지게 되고 그 틈새를 모색하는 여성들의 노력이 여성 작가의 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언제나 여성 개인의 헌신적 노력이 강조된 것에 비하면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를 지나면서는 여성의 져야 하는 이중 부담의 고통을 진솔하게 토로하고 좀더 적극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식을 담은 소설이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해방와 동원, 북한 여성작가, 『조선녀성』, 『조선문학』, 남녀평등권법령, ‘고난의 행군 ’, 임순득, 리정숙, 강복례, 리라순, 최련, Participation and mobilization, North Korean women writers, Korean Women(Joseon Nyeoseong: 조선녀성), Korean Literature(Joseon Munhak: 조선문학), gender equality laws, Im Sun-deuk, Ri Jeong-suk, Gang Bong-nye, Ri Ra-sun, Choi Ryun

Abstract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state’s official policy on women has conflicted with and changed the everyday reality of North Korean women as reflected in works by North Korean women writer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demands that North Korean policy places upon women in each era and female reaction to such demands. Dating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those works capture the progress and euphoria brought to women by institutional liberation in the form of gender equality laws and, at the same time, imply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such institutions to daily life in a society still haunted by a strong tradition of patriarchy and feudalism. Works penned by women writers during the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and the 1960s concern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depreciation of women that unconsciously occurs at the workplace, women’s self-depreciation, and bureaucratism. Although the critique of bureaucratism is an important theme in North Korean fiction, these works depict and criticize bureaucratism all the more vividly and trenchantly because the female characters are subordinates while their supervisors are male. As for the 1970s, it is difficult to find private voices of diverse characters in the works of women writers due to the prevailing atmosphere of North Korean society. As a result, works from this period generally are but official policies and platforms disguised as fiction. Since the 1980s, even works that seem to support official policies on women once again portray the dual natureof life faced by North Korean women, who are expected to attain subjectivity through social activities yet suffer from the remnants of patriarchy. Fiction from this period depicts in various ways the turmoil that women undergo due to a clash between their identities within the family and self-realization in society.

keywords
해방와 동원, 북한 여성작가, 『조선녀성』, 『조선문학』, 남녀평등권법령, ‘고난의 행군 ’, 임순득, 리정숙, 강복례, 리라순, 최련, Participation and mobilization, North Korean women writers, Korean Women(Joseon Nyeoseong: 조선녀성), Korean Literature(Joseon Munhak: 조선문학), gender equality laws, Im Sun-deuk, Ri Jeong-suk, Gang Bong-nye, Ri Ra-sun, Choi Ryun

참고문헌

1.

(1994) 관련 연구논문 및 서적김재용 북한문학의 역사적 이해 문학과 지성사,

2.

(1994) 북한문학에 나타난 여성인물 형상화의 의미, 여성학논집 11

3.

(1999) 북한문학에 표현된 여성의 주체성과 지향,

4.

(2004) 북한의 근대화 과정과 여성의 역할 (1945~80년대),

5.

박영자, (2005) 북한의 여성 정치: '혁신적 노동자-혁명적 어머니'로의 재구성, 사회과학연구

6.

안종철, (1998) 북한여성의 경제활동 정책에 관한 연구,

7.

여성한국사회연구소 편, (2001) 북한 여성들의 삶과 꿈, 사회문화연구소 출판부

8.

오은경, (2002) 남북한 여성 정체성 탐구 : 198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9.

이미경, (2006.6) 탈북여성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의 지위변화 전망 , 한국가족학회

10.

이상경, (1996) 여성의 근대적 자기 표현의 역사와 의,

11.

이상경, (2002.3) 일제 말기의 여성 동원과 ‘군국의 어머니’,

12.

관련 작가 소설 연보그날 12월 5일,

13.

딸과 어머니와 문학예술 1949,

14.

(1950) 녀빨찌산의 수기 - 인민군대 전사인 아들을 위하여,

15.

(1955) 잊을 수 없는 사람들,

16.

4월의 축가 1948,

17.

한 쌍의 사과나무 1951,

18.

한 장의 전보문 1952,

19.

안또노브 아저씨와 연희 1955,

20.

평화의 명절 1955,

21.

어느 한 유가족의 이야기,

22.

(1972) 투쟁의 노래ꡕ, 문예출판사

23.

(1978) 에 수록 1960년작으로 부기되어 있는데 최초의 발표지면은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 문예출판사

24.

(1966) 전사의 안해」,

25.

(1967) 전류는 흐른다」,

26.

(19701972) 싸움의 나날에」 포화 속을 뚫고ꡕ, 문예출판사

27.

(1976) 건설장의 새 아침」, 문예출판사

28.

(1979) 공장의 주인들」,

29.

(1984) 향도의 태양ꡕ, 문예출판사

30.

직장장의 하루」,

31.

(1999.4) 새로운 전선, 조선문학

32.

(1983) 단조장의 메아리」,

33.

(1987) 눈보라 멎은 밤」,

34.

(2001.3) 행복의 무게, 조선문학

35.

(2004.1) 샘은 깊은 곳에서 솟는다, 조선문

36.

(2004) 문수봉 기슭에서, 조선문학

37.

(2005.5) 보금자리실화문학, 조선문학

38.

(2004.2) 바다를 푸르게 하라, 조선문학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