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Transformation of Sil-Hak(實學) in The Sciences of Jeguksinmun(帝國新聞) and The Otherness of Knowledge - After 1907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1, pp.7-44
KIM BOK SOON

Abstract

1907 was a point of historical position. From this year, political, social, cultural, academical change had made. A turnoff of pro/anti Japanese movement had begun. Since the publishment of newspapers in Korea, no one ever had serialized the sciences largely. 『Jeguksinmun(帝國新聞』, which made a new beginning on 17th. May, 1907 by extending spaces, published articles of sciences since 20th. May, 1907. 『Jeguksinmun(帝國新聞』 specially emphasized a history science, domestic science and ethics. The sciences in 『Jeguksinmun(帝國新聞』 broke away the ideality of enlightment and extended into practice and tried to transform concept of sciences depending on methodological frame of Sil-Hak(實學). The Keywords were practice and adaptation. The sciences in 『Jeguksinmun(帝國新聞』 found out to be useful due to its realistic point of view, but was not able to break the Otherness of knowledge and of self-perception. These are merits and demerits of 『Jeguksinmun(帝國新聞』`s sciences.

keywords
history science, domestic science, ethics, self-cultivation, argument of old/new sciences, Gi-Ja(箕子), ParkJoengdong(朴晶東), LeeHaejo(李海朝), housewife, etiquette, Simoda Utako(下田歌子), 역사학, 가정학, 윤리학, 수신, 신구학논쟁, 기자, 박정동, 이해조, 주부, 에티켓, 시모다우타코

Reference

1.

帝國新聞 (연세대학교 소장본)

2.

下田歌子, 家政學 , 博文館, 1893.

3.

下田歌子, 新選家政學 , 金港堂書籍株式會社, 1900.

4.

玄公廉發行, 漢文家政學 , 日韓圖書印刷株式會社, 1907.

5.

朴晶東 譯, 新撰家政學 , 右文舘, 1907.

6.

朴晶東, 初等 大東歷史 , 同文社, 1909.

7.

朴晶東, 初等 修身 , 同文社, 1909.

8.

玄公廉發行, 新訂家政學 , 唯一書館, 1913.

9.

朝陽報 , 1906.

10.

元良勇次郞, 中等敎育 元良氏 倫理書 , 成美堂, 1902.

11.

少年 韓半島 (1906), 케포이북스, 2009.

12.

한국문헌연구소 편, 한국개화기교과서총서 1-10, 아세아문화사, 1977.

13.

한국문헌연구소 편, 한국개화기학술지총서 1-15, 아세아문화사, 1976.

14.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 근대역사교과서 1-6, 2011.

15.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편, 근대수신교과서 1-3, 2011.

16.

구장률, 근대초기 잡지와 분과학문의 형성 , 케포이북스, 2012.

17.

김현주, 사회의 발견 , 소명출판, 2013.

18.

서영희, 일제침략과 대한제국의 종말 , 역시비평사, 2012.

19.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 , 소명출판, 2004.

20.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지평의 확대 , 소명출판, 2006.

21.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 , 소명출판, 2007.

22.

임형택, 21세기에 실학을 읽는다 , 한길사, 2014.

23.

정선태, 「근대계몽기 국민 담론과 문명국가의 상상- 태극학보 를 중심으로」, 근대 한국, 제국과 민족의 교차로』, 책과함께, 2011.

24.

최기영, 대한제국시기 신문연구 , 일조각, 1991.

25.

나리타 류이치 외, 연구공간 수유+너머 일본 근대와 젠더 세미나 팀 옮김, 근대 지의 성립 , 소명출판, 2011.

26.

기무라 료코, 이은주 옮김, 주부의 탄생 , 소명출판, 2013.

27.

노베르트 엘리아스, 문명화과정 1,2 , 한길사, 1996,1999.

28.

앙드레 슈미트, 정여울 옮김, 제국 그 사이의 한국 , 휴머니스트, 2007.

29.

위르겐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 , 나남출판, 2001.

30.

필립 아리에스・조르주 뒤비 편집, 사생활의 역사 3 , 새물결, 2002.

31.

氏家幹人 外, 日本近代國家の 成立と ジェンダ- , 柏書房, 2003.

32.

堤 彪, 比較文明論の誕生 , 刀水書房, 1988.

33.

김복순,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4집, 26-29쪽.

34.

김복순, 「근대초기 여성교양의 성립과 파트너십 문화론의 계보」, 여성문학연구 17호, 2007, 177-223쪽.

35.

김종복・박준형, 대동역사(고대사)를 통해 본 신채호의 초기 역사학」, 동방학지 162, 2013, 283-389쪽.

36.

박걸순, 「한말 학부의 편찬 사서와 그 역사인식」, 충북사학 제5집, 1992, 61-106쪽.

37.

박광용, 「기자조선에 대한 인식의 변천」, 한국사론 6, 1980, 251-296쪽.

38.

백동현, 「대한제국기 신구학 논쟁의 전개와 그 의의」, 한국사상사학 19, 2002, 571-604쪽.

39.

송민호, 「동농 이해조 문학 연구 , 서울대 박사논문, 2012,

40.

이경현, 「 뎨국신문 초기 논설에 나타난 ‘학문’의 성격과 ‘동양’ 사유방식」, 한중인문학연구 14, 2005, 65-90쪽.

41.

이행훈, 「1900년대 전후 도덕 개념의 의미장-수신・윤리교과서를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 제12호, 2013, 161-196쪽.

42.

임상석, 「근대계몽기 가정학의 번역과 유통 사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7호, 2013, 151-171쪽.

43.

임형택, 「20세기 초 신・구학의 교체와 실학」, 민족문학사연구 9권1호, 1996, 5-26쪽.

44.

전미경, 「1900-1910년대 가정 교과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권 1호, 2005, 131-151쪽.

45.

정창렬, 「개화사상의 역사인식」, 개항 전후와 한말의 역사인식 , 국사편찬위원회, 1987.

46.

조동걸, 「한말 계몽주의의 구조와 독립운동상의 위치」, 한국학논총 11, 1989, 97-14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