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Mass Cult Significance of the Jeguksinmun(The Newspaper of the Empire) after 1907- melodramatic featuring of women through the cross reference of the Sinsoseol(early modern novel) and the Singeunguk(new theat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1, pp.45-75
Kira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Jeguksinmun(TheNewspaper of the Empire) after 1907 that is found and announcedrecently, in special, reassignment of the paper. The Sinsoseol(earlymodern novel) and the Singeunguk(new theatre) could becross-referenced by the newspaper's articles dealing with manyclasses of the women including individual-lower class. And theirexperiences in everyday life influenced their forming the fictionalSubject via the melodramatic factors in paper and Sinsoseol(earlymodern novel). Furthermore in 1910s when the Sinpaguk(melodramatictheatre) era came, Sinsoseol was used as the script of the Sinpagukvia the melodramatic factors, which was the media functioned associal-culture symbolic code via the Jeguksinmun. It was theJeguksinmun that reflected social differentiation of the women, andthis i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Jeguksinmun.

keywords
『제국신문』, 풍속개량론, 멜로드라마적 요소, 여성대중, 신소설, 신파극, Jeguksinmun(The Newspaper of the Empire), reform of the everyday life, melodramatic factors, women-mass, Sinsoseol(early modern novel), Sinpaguk(melodramatic theatre)

Reference

1.

제국신문

2.

구연학, 설중매 , 회동서관, 1908.

3.

김현주, 사회의 발견 , 소명출판, 2013.

4.

우수진,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 , 푸른 사상, 2011.

5.

아놀드 하우저(염무웅ㆍ반성완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 창작과 비평사, 2004.

6.

벤 싱어(이위정 옮김),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 문학동네, 2009.

7.

니콜라스 루만(정성훈 외 옮김), 열정으로서의 사랑-친밀성의 코드화 , 새물결, 2009.

8.

피터 브룩스(이봉지ㆍ한애경 옮김), 육체와 예술 , 문학과 지성사, 2000.

9.

로저 스크러톤(김경수 옮김), 건축미학 , 서광사, 1985.

10.

W.Faulstich(Hg.), Medien und Kultur, Gottingen : Vandenhoeck &Ruprecht, 1991.

11.

김기란, 「한국 근대계몽기 신연극 형성 과정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4, 1~153쪽.

12.

김기란, 「신연극 <은세계>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16호, 한국근대문학회, 2007, 195~241쪽.

13.

김기란, 「근대계몽기 매체의 코드화 과정을 통한 여성인식의 개연화 과정고찰- 제국신문 의 여성 관련 기사 분석을 통해」, 여성문학연구 2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7~39쪽.

14.

김복순, 「 제국신문 의 힘:‘여성의 감각’의 탄생」, 민족문학사연구 , 2013,343~385쪽.

15.

김주영, 「이해조 소설 연구-1910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95, 1~68쪽.

16.

문일웅, 「만민공동회 시기 협성회의 노선 분화와 제국신문 의 창간」,『역사와 현실』83호, 2012, 249~293쪽.

17.

배정상, 「 帝國新聞 소재 이해조 소설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8.

양세라, 「근대계몽기 신문 텍스트의 연행성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1~186쪽.

19.

윤민주, 「가정비극류 신파극에 나타나는 멜로드라마적 과잉(melodramatic excess)에 대한 연구 -1910년대 초기 번안소설 각색 신파극을 중심으로」, 어문론총 55호, 2011, 509~547쪽.

20.

이승희,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한국극예술연구 15집, 한국극예술학회, 2002, 93~129쪽.

21.

정현경, 「극양식으로서의 한국 멜로드라마 일고(一考)」, 문예시학 23집, 2010, 203~23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