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희곡 『햄릿』(Hamlet)의 성차별적인 단어에 대한 번역 분석

An Analysis of Linguistic Sexism in Korean Translations of Shakespeare’s Hamlet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423-446
https://doi.org/10.15686/fkl.2019..48.423
홍은영 (세종대학교)

Abstract

한국에서 셰익스피어 번역은 오랫동안 남성 번역가들이 주를 이루어 작업을 해오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가부장적인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당연히 남성의 시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고, 독자들은 오랜 기간 편중된 시각을 가지고 있는 번역작품을 읽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 햄릿의 번역본 비교를 통해 작품 안에서 성차별적인 단어가 어떤 식으로 번역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번역가의 성별 및 연구 성향을 기본으로 하여 실제 번역은어떠한 식으로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남성 번역가는 성차별적인 단어가 그대로 드러나는 번역을 하였고 여성 번역가는 우회하는 표현을 사용해 원문의 성차별적인 요소가 드러나지 않도록 번역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현대 번역은 더 이상 단어 대 단어의 변환을 고수하는 전통적인 개념이 아니라, 원문 내에 숨어 있는 권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상에 발맞추어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번역이 많이 등장하여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햄릿』, 셰익스피어, 젠더 번역, 페미니스트 번역, 여성어, Hamlet, Shakespeare, gender translation, feminist translation, women’s language

참고문헌

1.

William Shakespeare, Hamlet, ed., Burton Raffel, Yale University Press, 2003, 28, 33, 34, 56, 67, 101, 111, 164쪽. (https://ebookcentral.proquest.com/lib/nlkr-ebooks/reader.action?docID=3420279)

2.

William Shakespeare, Hamlet, 권오숙 역, 『햄릿』, HUiNE, 2018, 39, 44, 45, 67, 78, 110, 120, 172쪽.

3.

William Shakespeare, Hamlet, 신정옥 역, 『햄릿』, 전예원, 2007, 41, 46, 70, 81, 112, 120, 173쪽.

4.

William Shakespeare, Hamlet, 최재서 역, 『햄릿』, 올재, 2014, 71, 74, 90, 98, 121, 128, 164쪽.

5.

William Shakespeare, Hamlet, 최종철 역, 『셰익스피어 전집 4』, 민음사, 2014, 333, 337, 338, 355, 364, 390, 398, 438쪽.

6.

김미현 외 지음, 『한국어문학 여성주제어 사전1』, 보고사, 2013, 259, 294쪽.

7.

김종환, 『인종담론과 성(性) 담론』,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3, 82쪽.

8.

안미현, 『경계횡단으로서의 번역』, HUiNE, 2017, 7쪽.

9.

영미문학연구회 번역평가사업단, 『영미명작, 좋은 번역을 찾아서』, 창비, 2005, 546쪽.

10.

황광수, 『셰익스피어: 런던에서 아테네까지, 셰익스피어의 450년 자취를 찾아』, Arte(북이십일 아르테), 2018, 156쪽.

11.

시몬 드 보부아르, 이희영 역, 『제2의 성Ⅰ』, 동서문화사, 2018, 340쪽.

12.

조르주 무냉, 선영아 역, 『부정한 미녀들』, 아카넷, 2015, 135-137쪽.

13.

Barthe Roland, Image-Music-Text, Trans. Stephen Heath, London: Fontana, 1977, pp.143, pp.146-147.

14.

Brown R & Gilman A., “The Pronouns of Power and Solidarity”, ed., Thomas A. Sebeok, Style in Language, Cambridge, MA: The MIT Press, 1960, pp.253-276.

15.

Duras Marguerite, “An Interview”, eds., Elaine Marks and Irene de Courtivron, New French Feminisms, trans. by Susan Husserl-Kapit, Amherst: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980, p.174.

16.

Flotow Loiuse Von, Translation and Gender: Translating in the “Era of Feminism.”Manchester: St. Jerome, 1997, pp.20, pp.42.

17.

Lotman Yuri M., Universe of the Mind. A Semiotic Theory of Culture, Translated by Ann Shukman,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0, p.68.

18.

Haugerud, Joann, The Word for Us, Gospels of John and Mark, Epistle to the Romans and the Galatians, Coalition of Women in Religion, 1977, p.ⅱ.

19.

Holmes J.,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stics, London: Longman, 2001, p.3.

20.

국립국어원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main

21.

네이버 사전, https://dict.naver.com/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