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최근 상가임대차 문제로 서울 곳곳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갈등이 증폭되면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다. 이러한 갈등의 최전선에서한남동의 카페이자 문화공간인 테이크아웃드로잉은 상가임대차문제를 개인 간의갈등을 넘어서는 사회적 재난으로 공론화했으며, 문화적으로 저항함으로써 재난을 알리고 극복하려고 노력했다. 본 연구는 테이크아웃드로잉의 안티-젠트리피케이션 운동을 통해 도시형 재난의 물리적·심리적·사회적 측면을 살펴보고, 재난에저항했던 다양한 방식과 그 저항의 가능성 및 한계를 고찰해보았다. 기존의 점거중심의 안티 젠트리피케이션 운동에 비해 테이크아웃드로잉의 문화적 저항은 ‘내몰림’의 공적 맥락을 강조하고 도시형 재난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공간을 다양한 문화적 활동의 장으로 활용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재산권은 물론 임차인의 사용가치 역시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식의 계기를 제공했다.
Gentrification has become a buzzword in recent years as social conflicts betweentenants and landlords over Commercial Tenancy Act have expanded. TakeoutDrawing, a cafe and cultural space in Hannam, has emphasized that these are notprivate problems but social disasters and tried to overcome its disaster through culturalresistance. By addressing the case of Takeout Drawing, this paper discussesthe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urban disasters, and analyses thecontribution and limitation of cultural resistance.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anti-gentrification movements focused on squatting, Takeout Drawing’s cultural resistancehas emphasized the public context of displacement and contributed to theexpansion of social consensus of urban disaster. The anti-gentrification movementof Takeout Drawing has yielded insights into the gaps between tenants’ right andlandlords’ right, as Takeout Drawing obtained for all its space around its use valuesagainst exchange value.
≪경향신문≫ 2015.02.17. “강남 한복판에 컨테이너가 떠다닌 이유···재건축으로 쫓겨나는 ‘라떼킹’”.
김남균·김남주. 2015. 『골목사장 생존법』. 한권의 책.
김선필. 2014. 「공유지 복원을 위한 이론적 검토」. ≪마르크스주의 연구≫, 11(3), 172~201쪽.
김지윤. 2016. 「투기적 개발과 공공성: 용산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29~41쪽.
노대명. 2000.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에 대한 고찰」. ≪공간과 사회≫, 14, 36~62쪽.
데리다, 자크(Derrida, Jacques). 2004. 『환대에 대하여』. 남수인 옮김. 동문사.
문강형준. 2012. 「왜 ‘재난’인가」. ≪문화과학≫, 72, 19~41쪽.
로브 쉴즈·조명래. 2000. 「앙리 르페브르: 일상생활의 철학」. ≪공간과 사회≫, 14, 10~35쪽.
박영균. 2015. 「재난시대, 재난의 망각과 ‘위험에 의한 위험의 생산’」. ≪진보평론≫, 66, 4~18쪽.
박영민. 1997. 「르페브르의 실천전략과 사회공간」. ≪공간과 사회≫, 9, 194~217쪽.
박인권·이선영. 2012. 「서울의 저항과 대안의 공간 및 운동 변화 분석」. ≪공간과사회≫, 42, 5~51쪽.
벡, 울리히. 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를 향하여』. 홍성태 옮김. 새물결.
신현준. 2016. 「한남동의 창의계급들과 경합하는 장소들의 생산: 세 가지 길의 상이한 행위자들과 젠트리피케이션의 상이한 유형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33~50쪽.
≪오마이뉴스≫. 2016.07.21. “‘제2의 우장창창 막자’ 더민주 ‘맘상모법’ 발의.”
≪월간디자인≫. 2015. 「테이크아웃드로잉의 활동과 의미」. 6월호. 163~164쪽.
이선영. 2016. 「Neil Smith,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한국」. ≪공간과 사회≫, 26(2), 209~234쪽.
이선영·한윤애. 2016. 「예술, 행동주의 그리고 도시: 테이크아웃드로잉의 젠트리피케이션 저항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2), 17~28쪽.
테이크아웃드로잉. 2016a. 『한남포럼: 싸이로부터 테이크아웃드로잉을 지키기 위한대항언어』. 테이크아웃드로잉.
테이크아웃드로잉. 2016b. 『드로잉 괴물 정령: 재난의 대물림을 끊기 위한 재난유산』. 테이크아웃드로잉.
≪한겨레≫. 2016.07.18. 「리쌍 소유 건물 곱창집 ‘우장창창’ 강제퇴거 완료」.
한국감정원. 2015. 「서울특별시 상가 임대차 정보 및 권리금 실태조사」.
황인철·유남영. 1989. 「정책대안의 모색-빈민들의 주거형편에 대한 법적 지위」. 김형국. 『불량촌과 재개발』, 나남, 309~351쪽.
황진태. 2016. 「동아시아 맥락에서 바라본 한국에서의 위험경관의 생산」. ≪대한지리학회지≫, 51(2), 283~303쪽.
Gregory, S. and Hartman, C. W. 2006. There is No Such Thing as a Natural Disaster: Race, Class, and Hurricane Katrina. New York: Taylor & Francis.
Ha, S-K. 2002. “The urban poor, rental accomodations, and housing policy in Korea.”Cities. 19, pp. 195~203.
Kim, H. H. 1998. “South Korea: Experiences of Eviction in Seoul.” In Azuela, A., Duhau, E. & Ortiz, E. (eds) Evictions and the right to housing: experience from canada, Chile, the Dominican Republic, South Africa, and South Korea. Ottawa: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Lefebvre, H.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London: Wiley.
Pelling, M. 2012. The Vulnerability of Cities: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Resilience. London. Taylor & Francis.
Pruijt, H. 2013. “The logic of urban squa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7(1), pp. 19~45.
Shin, H. B. and Kim, S. H. 2016. “The developmental state, speculative urbanisation and the politics of displacement in gentrifying Seoul.” Urban Studies, 53(3), pp. 540~549.
Smith, N. 2006. There’s No Such Thing as a Natural Disaster. Published on: Jun 11, 2006 http://understandingkatrina.ssrc.org/Smith/ 2016.07.31. 접속.
Solnit, R. 2009. A Paradise Built in Hell: The Extraordinary Communities that Arise in Disasters. New York: Vi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