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형식적 미학과 운명애의 향연: 김말봉의 『꽃과 뱀』을 중심으로

Formal Esthetics and Feast of Destined Love - with a Kim, Mal-Bong's 『Flower and Snake』 -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5, v.0 no.36, pp.241-265
진선영 (이화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김말봉의 해방 이후 첫 완결작인 『꽃과 뱀』을 분석함으로써 신문에 연재된 인기작 중심의 편향된 연구를 지양하는 개별 작품의 의미론과 함께 김말봉의 다채롭고 풍부한 작품 세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그간 김말봉은 내용(주제)의 압도적 우위로 인한 평이하고 단순한 구조, 이로 인한 소설적 형상화의 미달, 엇비슷한 작품을 찍어내는 ‘판박이 작가’라는 비난을 받아 왔다.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형식적 고민을 통해 전지적 소설 방식에서 탈피해 독자들의 호기심과 지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주제화에 성공하고 있다. 작품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액자소설의 형식을 취하는데 정상치에서 일탈된 기인형 인물들(백 첨지, 주부, 젊은 사나이, 해골 노인)과 비현실적이고 충격적 내용(노인에게 채찍을 가하는 인물들의 연합)을 담고 있는 외부 액자의 파격성을 긴 호흡의 내부 액자가 추리하듯 밝혀냄으로써 독자들의 긴장감은 유지되고, 내부 액자의 여로형 서사는 회차별로 독립성과 연결성을 가지며 관우와 진화의 반복되는 인연을 운명적으로 물들이고 있다. 비개연성의 개연성, 즉 서사의 논리를 해치면서까지 계속되는 우연의 중첩은 인과의 절대성으로 나아가게 한다. 남녀 주인공의 형상화에 꽃, 뱀, 바람 등의 자연적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인물의 서사성은 약화되고 그로테스크한 이미지가 강화되는데, 관우가 꽃으로 진화가 뱀으로 상징되는 것은 극히 자연스럽지만 은유화된 이미지가 실제에 출현할 때 사실적 설명은 불가능해진다. 이러한 초인간적, 초자연적 현상들은 운명의 절대성을 배가시키는데, 운명은 삶이, 사랑이 인간의 의지와 이성으로 견인되는 것이 아니라 예언이나 마력, 신앙으로 증명됨으로써 인간의 이해를 넘어서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 힘이 작품의 전반을 지배하고 이러한 그로테스크 판타지는 인간의 사유로는 설명할 수 없는 운명의 마력을 드러낸다. 본 연구는 『꽃과 뱀』 이 김말봉의 작품 중 제재와 구성 면에서 가장 김말봉 ‘답지’ 않은 작품(스님이라는 제재, 사회적 리얼리티의 제거, 환상적인 요소)이며 주제 면에서 가장 김말봉 ‘스러운’ 작품(연애소설적 형식, 운명론적 세계관)이라 전제하고 『꽃과 뱀』 의 독특성과 보편성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밀림』과 『찔레꽃』 속에 갇힌 김말봉의 작품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요구하며 다양한 작품 해석을 기대하게 한다.

keywords
꽃과 뱀, 액자소설, 여로형 서사, 운명애, 그로테스크 판타지, Flower and Snake, Frame story, Journey Novel, Destined Love, Grotesque Fantasy.

참고문헌

1.

김말봉, 『꽃과 뱀』, 문연사, 1949.

2.

김말봉, 『바람의 향연』, 『여성계』, 1954.1-1955.1.

3.

김말봉, 『바람의 향연』, 신화문화사, 1962.

4.

김말봉. 『(애정소설) 꽃과 뱀』, 청산문화사, 1962.

5.

송하춘 편저,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1917-1950』,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253쪽.

6.

아지자ㆍ올리비에리ㆍ스크트릭 공저, 『문학의 상징 주제 사전』, 청하, 1989, 301~303쪽.

7.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5, 184쪽.

8.

정하은 외, 『김말봉의 문학과 사회』, 종로서적, 1986, 99~133쪽.

9.

박산향, 「김말봉 소설 『꽃과 뱀』 에 나타난 양면성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14권1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3, 95~111쪽.

10.

박산향, 「김말봉 장편소설의 남녀 이미지 연구」, 부경대 박사논문, 2014, 8~160쪽.

11.

박선희, 「김말봉의 『카인의 시장』 개작과 여성운동」, 『우리말글』 54, 우리말글학회, 2012, 267~295쪽.

12.

안미영, 「김말봉의 전후소설에서 선, 악의 구현 양상과 구원 모티프-<새를 보라>, <푸른 날개>, <생명>, <장미의 고향>에 등장하는 ‘고학생’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3,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317~340쪽.

13.

이병순, 「김말봉의 장편소설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61,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52-73쪽.

14.

이소운, 「여로형 소설의 크로노토프」, 『국어교육연구』 41, 국어교육학회, 2007, 247~282쪽.

15.

이영애, 「김동인 액자소설의 담론적 특성」, 경일대 석사논문, 2010, 7~56쪽.

16.

최미진, 김정자, 「한국전쟁기 김말봉의 『별들의 고향』 연구」, 『한국문학논총』 39, 한국문학회, 2005, 293~321쪽.

17.

홍은희, 「김말봉 소설 연구」, 대구가톨릭대 석사논문, 2002, 5~180쪽.

18.

황영숙, 「김말봉 장편소설 연구-『푸른 날개』 와 『생명』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15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4, 377~405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