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Birth of "We" Getting over The "Differences" —Focusing on Ui-jeong Kim's Voic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1 no.21, pp.241-270
Seo, Yeon Ju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1960년대는 여성작가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등장하는 시기이다. 본고는 1961년에 등단하여 1990년대 중반까지 꾸준히 작품 활동을 전개한 여성작가 김의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김의정의 1960년대 작품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목소리」는 한국전쟁 속에서 진정한 주체의 ‘목소리’를 찾아가는 여성들 의 성장소설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에서 주목해 볼 점은 작가가 한 국전쟁의 상황을 여러 문화가 혼종되는 다문화적 상황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이다. 작가는 이런 다문화적 상황 안에서 ‘차이’를 인식하는 가운데 탈경계 적 주체가 탄생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사상, 이념, 국적 등이 경계를 허물고 화합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가의식은 이념을 극복할 수 있는 여성주의적 대안의 새로운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다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인간애’를 실천하는 데서 ‘우리’라는 ‘반성적 연대’ 가 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소리」에서 보여주는 시선은 그간의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들에서 취하고 있는 인식과는 색다른 김의정만의 독특 함으로 주목해 볼 수 있다.

keywords
1960년대 문학, 한국 전쟁, 여성 성장소설, 다문화적 차이, 인간애, 탈경계적 주체, 반성적 연대, 여성주의적 대안, literature in the 1960s, Korean War, feminine formation novel, multi-cultural differences, humanity, a subject out of the boundary, reflective solidarity, feminie substitute

Reference

1.

구혜영, 손장순, 김의정, ꡔ한국문학전집 24ꡕ, 삼성출판사, 1987.

2.

김의정, ꡔ인간에의 길ꡕ, 신구문화사, 1962.

3.

김의정, ꡔ외로운 생존ꡕ, 중앙대출판국, 1965.

4.

김의정, ꡔ흔들리는 배ꡕ, 성바오로출판사, 1991.

5.

김의정, ꡔ목소리ꡕ, 성바오로출판사, 1993.

6.

김의정, ꡔ바람결에 들려오는 시간들ꡕ, 1994.

7.

김의정, ꡔ토비아의 집ꡕ, 일신서적출판사, 1994.

8.

김의정, ꡔ산마루 오르는 시간의 수레ꡕ, 열린, 1996.

9.

강상현, 「1960년대 한국언론의 특성과 그 변화」, 정신문화연구원 편, ꡔ1960년대 사회변화연구: 1963~1970ꡕ, 백산서당, 1999. 147~190쪽.

10.

강인숙, ꡔ한국현대작가론ꡕ, 동화출판공사, 1971.

11.

강인철, 「한국전쟁과 사회의식 및 문화의 변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ꡔ한국전쟁과 사회구조의 변화ꡕ, 백산서당, 1999. 197~219쪽.

12.

강준만, ꡔ한국현대사 산책 1960년대 3권ꡕ, 인물과 사상사, 2006. 64쪽.

13.

김미현, ꡔ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ꡕ, 신구문화사, 1996.

14.

김연숙, ꡔ레비나스 타자 윤리학ꡕ, 인간사랑, 2001. 174쪽.

15.

김우종, 「여류작가에게 주는 고언」, ꡔ여원ꡕ, 1970. 1월호.

16.

김정자, ꡔ한국여성소설연구ꡕ, 민음사, 1991.

17.

김해옥, ꡔ페미니즘 이론과 한국 현대 여성소설ꡕ, 박이정, 2005.

18.

김현, 「60년대 문학의 배경과 성과」, ꡔ분석과 해석/ 보이는 심연과 안 보이는 역사 전망ꡕ, 김현 문학전집 7, 문학과 지성사, 1992. 246~247쪽.

19.

박경태, ꡔ소수자와 한국사회ꡕ, 후마니타스, 2008.

20.

박영준, ꡔ소설과 우연의 질서ꡕ, 월인, 2006.

21.

박정애, ꡔ‘여류’의 기원과 정체성: 50․60년대 여성문학 연구ꡕ, 한국학술정보, 2006. 201~205쪽.

22.

서연주, ꡔ김승옥과 욕망의 서사학ꡕ, 청동거울, 2007. 40~ 49쪽.

23.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ꡔ한국여성문인사전ꡕ, 태학사, 2006. 181~182쪽.

24.

서정자, ꡔ한국 여성소설과 비평ꡕ, 푸른사상사, 2001.

25.

오경석 외, ꡔ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ꡕ, 한울아카데미, 2007.

26.

은숙 리 자엘펠더 저, ꡔ한국사회와 다문화가족ꡕ,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편, 양서원, 2007, 20쪽.

27.

이현재, ꡔ여성의 정체성-어떤 여성이 될 것인가ꡕ, 책세상, 2007. 141~152쪽.

28.

임금복, ꡔ현대여성소설의 페미니즘 정신사ꡕ, 새미, 2000.

29.

전혜자 외 지음, ꡔ한국 현대소설 연구ꡕ, 국학자료원, 1998.

30.

정미숙, ꡔ한국여성소설연구입문ꡕ, 태학사, 2002.

31.

정영자, ꡔ한국여성소설연구ꡕ, 세종출판사, 2002.

32.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 공저, ꡔ다문화 청소년 이해론ꡕ,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편, 양서원, 2007. 15~45쪽.

33.

하정일, 「주체성의 복원과 성찰의 서사」, 민족문학사연구소 현대문학분과, ꡔ1960년대 문학연구ꡕ, 깊은샘, 1998. 17~24쪽.

34.

한국문학연구회, ꡔ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현대편ꡕ, 한길사, 1997.

3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편, ꡔ한국 전쟁 직전의 한국사회 연구ꡕ, 오름, 1998.

36.

마르코 마르티니엘로, ꡔ현대사회와 다문화주의ꡕ, 한울, 2002. 21~57쪽.

37.

아니카 르메르, ꡔ자크 라캉ꡕ, 이미선 역, 문예출판사, 1998. 236~269쪽.

38.

에드워드 사이드, ꡔ오리엔탈리즘ꡕ, 박홍규 역, 교보문고, 2007.

39.

에드워드 사이드, ꡔ문화와 제국주의ꡕ, 김성곤․정정호 역, 도서출판 창, 2002. 19쪽.

40.

에마누엘 레비나스, ꡔ시간과 타자ꡕ, 강영안 역, 문예출판사, 2001.

41.

김복순, 「1950년대 여성소설의 전쟁인식과 ‘기억의 정치학’」, ꡔ한국여성문학연구ꡕ 1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12. 32~68쪽.

42.

김양선, 「전후 여성문학 장의 형성과 여원」, 한국여성문학학회, ꡔ여성문학연구ꡕ 18호, 2007. 12. 61~91쪽.

43.

나병철, 「여성 성장소설과 아버지의 부재」, ꡔ한국여성문학연구ꡕ 1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12. 183~214쪽.

44.

송인화,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ꡔ여성문학연구ꡕ 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6. 221~250쪽.

45.

야후 백과사전(http://kr.dictionary.search.yahoo.com/search/dictionaryp)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