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Story pattern of man's fantasy of woman's chastity in the 1930's —focusing on Sambong's Family, Love Strait(純情海峽), and Romantic Love Song(殉愛譜)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1 no.21, pp.205-239
Kwon Changgyu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민족서사로 다루어지는 이광수의 「삼봉이네 집」(1930~31)이 여성 의 육체적 타락에 얽힌 스캔들을 채용한 ‘정조(貞操) 서사’라는 데서 출발했 다. 함께 다룬 작품은 흔히 통속소설로 일컬어지는 「순정해협」(1936)과 ꡔ순애 보ꡕ(1939)로 세 작품은 정조의 <발명-타락-구원>으로 이어지는 동일한 틀 을 보여준다. 신소설부터 이어진 정조서사의 30년대적인 특징과 더불어 30년 대 초반부터 후반에 이르는 정조서사의 변화는 본문에서 언급했다. 세 작품이 공유하고 있는 틀, 즉 정조가 발명된 이상 타락할 수밖에 없고 이는 구원되어 야 한다는 틀을 본고에서는 ‘정조 서사의 판타지’로 명명했다. 정조 서사는 정 조의 타락을 재단하는 낡은 이데올로기, 그리고 정조의 타락을 구제하고자 동 원하는 미래의 전망이 교차되는 곳이다. 그 양상의 하나로 정조 판타지 속에 서 재탄생하는 여성상과 남성상을 함께 문제 삼았다.

keywords
moral women, chastity, fantasy, corruption, salvation, moral drama, popular literature, sexuality, 정조, 타락, 구원, 스캔들, 판타지, 도덕, 오락, 통속성, 신여성, 신남성

Reference

1.

ꡔ동아일보ꡕ,

2.

ꡔ매일신보ꡕ,

3.

ꡔ조광ꡕ,

4.

ꡔ여성ꡕ,

5.

ꡔ개벽ꡕ,

6.

ꡔ실화ꡕ

7.

「삼봉이네 집」, ꡔ이광수 전집ꡕ 2, 삼중당, 1966.

8.

「순정해협」, ꡔ한국근대장편소설대계ꡕ 25, 태학사, 1988.

9.

「순애보」, ꡔ한국현대소설총서ꡕ 25, 태영사, 1987.

10.

박계주, ꡔ순애보ꡕ, 민중서관, 1963.

11.

김윤식, ꡔ이광수의 그의 시대ꡕ 2, 솔, 1999, 174~179쪽.

12.

김현주, ꡔ이광수와 문화의 기획ꡕ, 태학사, 2005, 239~247쪽.

13.

박금자, ꡔ여성도 모르는 여성의 몸ꡕ, 민 미디어, 2003, 19~66쪽.

14.

박성봉, ꡔ대중예술의 미학ꡕ, 동연, 1995, 323~369쪽.

15.

서영채, ꡔ사랑의 문법ꡕ, 민음사, 2004, 108~126쪽.

16.

오문석, 「ꡔ무정ꡕ에서 순결함의 의미와 그 기능」, ꡔ연애소설이란 무엇인가?ꡕ,대중문학 연구회, 1998, 51~70쪽.

17.

유교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ꡔ유교대사전ꡕ, 성균관, 2007, 166쪽/816쪽/2262쪽.

18.

이광수, ꡔ사랑ꡕ, 민중서관, 1970, 399쪽.

19.

ꡔ이광수 전집ꡕ 16, 삼중당, 1963, 193쪽.

20.

이태준, ꡔ딸 삼형제ꡕ, 깊은샘, 2001, 64쪽.

21.

이숙인, 「유교 가족 담론의 여성주의적 재구성」, ꡔ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ꡕ, 성균관대 동아시아 유교 문화 교육 연구단 편, 청어람 미디어, 2004, 108~135쪽.

22.

이혜령, ꡔ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ꡕ, 소명출판, 2007, 217~239쪽.

23.

정경숙, ꡔ여자가 감히?ꡕ, 베스트셀러, 1999, 219~224쪽.

24.

홍혜원, ꡔ이광수 소설의 이야기와 담론ꡕ,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222~250쪽.

25.

미셸 푸코, ꡔ담론의 질서ꡕ, 이정우 옮김,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8, 27~31쪽.

26.

미셸 푸코, ꡔ임상의학의 탄생ꡕ, 홍성민 옮김, 인간사랑, 1993, 23~320쪽.

27.

리타 펠스키, ꡔ근대성과 페미니즘ꡕ, 김영찬․심진경 옮김, 거름, 1998, 1~43쪽.

28.

조지 모스, ꡔ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ꡕ, 서강 여성 문학 연구회 옮김, 소명출판, 2004, 39쪽.

29.

차학경, ꡔ딕테ꡕ, 김경년 옮김, 어문각, 2004, 39쪽.

30.

피터 브룩스, ꡔ육체와 예술ꡕ, 이봉지․한애경 옮김, 문학과 지성사, 2000, 46~67쪽.

31.

Foskett, Mary F., A virgin conceived: Mary and Classical Representations of Virginity, Indiana University Press(Net-book), 2002, p.33~50.

32.

John G. Cawelti, Adventure, Mystery, and Romanc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p.16~17.

33.

권보드래, 「공화(共和)의 수사학과 일부일처제」, ꡔ문화과학ꡕ 24호, 2000년 겨울, 221~232쪽.

34.

김종호, 「이광수의 「삼봉이네 집」연구」, ꡔ어문학ꡕ 61집, 1997, 23~42쪽.

35.

노영택, 「일제시기의 문맹률 추이」, ꡔ국사관논총ꡕ 51집, 1994, 국사편찬위원회, 109~159쪽.

36.

서영채, 「1930년대 통속소설의 존재방식과 그 의미」, ꡔ민족문학사연구ꡕ 4호, 1993년 하반기, 267~288쪽.

37.

오양호, 「한국소설과 역사체험」, ꡔ현대소설연구ꡕ 5호, 1996, 65~89쪽.

38.

장병인, 「조선 전기의 혼인제도와 여성의 지위」, ꡔ역사비평ꡕ, 1994년 여름, 87~107쪽.

39.

진영복, 「순애보의 자기소멸을 통한 주체화방식」, ꡔ어문론총ꡕ 45호, 2006년 12월, 567~594쪽.

40.

한복룡, 「한국 혼인법의 역사적 기초」, 고려대박사, 1988, 5~11쪽.

41.

한승옥, 「1930년대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간도의 의미」, ꡔ현대소설연구ꡕ 23호, 2004, 47~68쪽.

42.

허흥식, 「고려시대 근친혼과 일부일처제」, ꡔ역사비평ꡕ, 1994년 여름, 80~86쪽.

43.

홍정선, 「한국 대중소설의 흐름」, ꡔ한신 논문집ꡕ 2권, 한신대학교 출판부, 1985, 177~198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