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Habitat III, formally the 3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ousing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inalized amid much fanfare in 20th Oct. 2016 in Quito, Ecuador, and member states reached an agreement over adoption of the New Urban Agenda(NUA) as an urban policy guideline for international community in coming 20 years. At this backdrop, this paper examines how the NUA has been emerged within the UN system and what it means to urban policies and studies in South Korea. First, the paper traces the history of UN Habitat to understand how urban agenda emerged and established in the UN system before coming up with the NUA. Second, it analyzes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NUA from the lens of ‘the right to the city’and ‘Jane Jacobs’, which, I believe, are the key supporting theoretical resources of the document. Last but not least, the paper, by reflecting the NUA, discusses the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in urban policy and studies in South Korea.
Housing is at the heart of achieving the New Urban Agenda in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Hous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Habitat III). According to a policy paper, global housing goals can be attained through the adoption and enforcement of a comprehensive housing framework. Global housing goals can be achieved through programmatic attention to five elements: an integrated housing framework, inclusive housing, affordable housing, adequate housing and upgrading informal settlements. This article reviews the achievements of Korea’s housing policy during last several decades within the frame of aforementioned five pillars of housing policy in Habitat III. Results show that notable achievements are witnessed in the areas of adequate and affordable housing through massive housing production, informal settlements upgrading by redevelopment strategies, and inclusive housing by adopting mandatory supply of small size housing units and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However, improvements should be put in place in terms of integrated housing framework through enhancing local governments’ capacities and localizing housing policy as well as affordable and inclusive housing strategies for increasing and enhancing accessibility for the vulnerable groups. Finally, examined are the lessons learned and remaining issues ahead if what Habitat III envisions is to be achieved, and suggests follow-up steps in the context of socioeconomic changes in Korea.
본 논문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유엔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채택된새로운 도시의제(NUA) 간 상호 연계성 분석을 통해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와 ‘재난에 대한 복원력을 갖춘 안전한 도시’의 공통적인 개념과 이를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개발재원’을 기여요소로 구성한 분석틀을 도출했다. 이를 토대로 도시 분야를 포함해 국제개발협력을 수행하는 정부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공적 영역으로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전문성을 갖춘 민간단체인 한국해비타트를 민간영역의 사례로 분석해서 향후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성을제시했다. 공적 영역에서, 첫째,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화를 위한 개발협력의플랫폼 역할과 사업수행이 요구된다. 둘째, 안전한 도시와 관련한 재난위기 경감의 개념을 기존 도시 부문 ODA의 기획과 추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시화 ODA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할 수 있는 개발재원의 다양화와 확보체계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민간 영역의 경우, 첫째, NUA에 부합하는 도시분야 사업발굴과 주거권에 대한옹호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중심 재난경감사업의 규모와 질적 제고를통해 복원력기반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사업의 다각화와 더불어 재원조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을 포괄하는 파트너십 형성이 필요하다.
As the need for the New Urban Agenda for Korean cities is rising with the Habitat III conference, this study tries to set the agenda of the inclusive city as an alternative city vision by 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urban inclusivity and operationalizing i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First, it defines the concept of the inclusive city based on revisiting various discussions on social exclusion and integration in cities, and proposes capacity building, interdependence, participation and spatial openness as four dimensions for urban inclusivity. The dimension of capacity building consists of income, health, education, and cultural capabilities; interdependence consists of fair division of labor and social reciprocity; participation consists of degree of involvement and allocation of power; and spatial openness consists of affordable housing, external interaction, and spatial integration. We evaluat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the four dimensions, 11 components, and 33 indicators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AHP analysis of their surveys. The results show that capacity building is the most important and interdependece and participation are almost equally important as two separate dimensions. Affordable housing is highlighted in the dimension of spatial opennes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dicators, this study suggests a urban inclusivity indicators system(UIIS) with the relative importance for the indicators used as weights to provide foundation for subsequent studies.
This study evaluates an urban energy transition program, Enuri Project in Sinchon, Seoul with a perspective of multi-stakeholder governance. When there are many involving actors in a local governance, it is critical to have a goal consensus for effective participation and program practice.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relation between goal consensus among stakeholder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 local government energy program. Our qualitative analysis finds that Enuri has mainly three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a local government, a managing NGO, shops) and they all have different goals and interests, which lower th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 argue that goal consensus matters in multi-stakeholder governance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he program to facilitate stakeholders’ willingness to participate for energy transition in commercial area.
The Energy Self-Sufficient Village (ESSV) movement, which relies heavily on voluntary resident participation, is a loc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crisis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y participants get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and how they have changed and grown through their ESSV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from an ‘ecological citizenship’ perspectiv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using primarily participant observation of Gwanak District’s ESSV, using both interviews and a literature survey. Many respondents reported initially getting involved in the ESSV movement due to recommendations from social contacts or for leisure. However, participants then attached social meaning to their ESSV activities and cultivated ecological citizenship. ESSV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citizenship development reveal a departure from conventional classroom learning and instead demonstrate a type of social learning cultivated through participation and practice. We found that, while individually, members did not have high levels of ecological citizenship, collective activities among members seemed to reveal stronger ecological citizenship. This implies that rather than approach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citizenship through an individual perspective, we must approach ecological citizenship from collective and procedural perspectiv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 which reveal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experienced by adult participants with average levels of education and environmental awareness ― can inform strategies for expand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o reach the greater public.
지난 20여 년간 생태관광은 한국 사회에서 환경 보전과 경제적 발전을 동시에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적 도구로 부상했다. 그러나 생태관광에 대한 국내사회과학계의 논의는 아직까지 생태관광 전략 수립과 평가에 한정돼 있는 실정이다. 생태관광의 개념과 실제에 대한 비판적 사회과학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출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녹색통치성(green governmentality) 논의를 활용해 한국생태관광의 정치적 전략과 성격을 고찰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실시한다. 녹색통치성 논의는 푸코의 통치성 이론을 환경 분야로 확장해, 생태관광과 같은 환경관리 장치를 특정한 ‘환경 주체(environmental subjects)’를 생산하기 위한 생명정치적 통치(a form of governing)로 이해한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먼저, 한국 생태관광의 출현 및 발달 과정을 추적하고, 서구-제3세계의 전형적 모델과 구별되는 한국 생태관광의 정치적·지리적 특징을 살펴본다. 이어 생태관광에 대한 주요 사회과학적 접근법(이해 당사자 이론, 정치생태학적 논의, 녹색통치성 논의)을 차례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녹색통치성 논의를 활용하기 위해, 이론적 토대가 되는 푸코의 권력과 통치성 개념을 살펴보고, 한국 생태관광의 통치성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분석의 차원(aspect)과 축(axis)을 탐색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한국 생태관광의 출현과 작동 방식을 발전주의 국가에서 후기 발전주의 국가로의 이행이라는 한국 사회의 역사적 변동과 관련지어 경로의존적 맥락에서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 이 같은 분석을 위한 녹색통치성 논의의 유용성을 강조한다.
이 글은 자본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단절된 공동자원과 공동체의 관계를 현대적 방식으로 복원함으로써 공동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길을 찾기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 가시리의 마을만들기 사례를 분석했다. 가시리는 마을 공동자원인 공동목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동체와 공동자원의 관계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가시리의 공동목장은 과거 마을 주민들의 생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공동자원이었지만, 화학비료와 농기계의 보급, 축산업의 퇴조 같은 이유로 관계가점차 단절되었다. 공동목장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외지인이나대기업에 팔려 골프장이나 리조트로 개발될 가능성이 커져갔다. 하지만 마을 지도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공동목장과 마을 주민들의 관계는 다시 복원될 수있었다. 이제 공동목장은 마을 주민들의 공동복지(commonwealth)를 위해 이용·관리되고 있으며, 마을의 문화공간, 교육공간, 양로원, 공동목욕탕 등 마을의 새로운 공동자원을 마련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가시리 공동목장은 새로운 방식으로 마을 주민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진정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성공에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큰 역할을 했다. 즉, 공동자원과 공동체의 관계를 현대적 방식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이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