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태준 장편 소설에 나타난 모성의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maternity in Yi, Tae-jun's long novel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4, pp.221-249
김주리 (서울대학교)

초록

본고는 이태준 장편 소설 가운데 <성모>와 <딸 삼형제> 등 모성 서사를 중심으로 이태준이 구현하는 모성이 어떤 의미와 가치, 한계를 가지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흔히 관념적 아버지의 추구라는 점에서 이태준의 창작 의식을 논의해온 기존의 연구사와 달리 본고에서는 이태준이 고아로서 상상적인 어머니를 추구하는 것 역시 그의 창작의 방향성을 지시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태준은 가부장제 하에서 일반적 남성이 어머니에 대해 가지는 환상, 즉 완벽한 어머니의 환상을 공유하는 동시에 고아로서 상상적인 어머니를 일반적인 근대 가정의 모성과는 다른 형태로 구성하기도 한다. 이태준의 모성 서사에서는 처녀로서 임신하기의 역설 속에서 어머니의 섹슈얼리티를 (지나치게) 철저하게 거세하고 있다는 점이 비판적으로 지적될 수 있다. 임신한 처녀라는 어머니의 모순은 남편 또는 아버지가 축출되어 이루어지는 미혼모-사생아의 공적 가정을 구축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미혼모-사생아의 가정은 소위 정상적 핵가족의 질서와 달리, 그 어머니의 여자 형제 또는 외할머니와의 연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자매애적 질서 속에서 아들(작가)에게 유년의 풍족함의 형태를 환기시킨다. (이것이 이태준의 창작 의식을 자궁선망으로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어머니-외할머니로 이루어진 유년의 풍족함의 기억이 이태준의 상상적 어머니 찾기의 기원에 가로놓여 있다고 할 때, 이태준의 모성 서사는 식민지 시대 일반적 남성 작가의 여성 서사와 변별되는 어떤 의미를 가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모성 서사, 임신한 처녀의 역설, 공적 가정, 자매애적 연대, 자궁선망, maternal narrative, the paradox of pregnant virginity, the public home of a not-married-mother and an illegitimate child, the solidarity with sisterly love, an uterine ambitio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ake clear of the meanings, values and limits in Yi Tae-jun's maternal narratives such as <The Holy Mother>, <Three sisters> and so on. While the studies on Yi Tae-jun frequently commented on his creative motivation in relation to his pursuit on ideal father,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that his creative motivation related to his pursuit on ideal mother too. As an orphan, he pursued to an ideal mother different from the maternity in general modern home, at the same time he owned the fantasy of the ideal mother jointly that general man has in patriarchal system. We could criticise that Yi, Tae-jun exhaustively castrated sexuality in maternal body through the paradox of pregnant virginity in his maternal narratives. The paradox of mother, pregnant virginity was connected to a public home which consisted of a not-married-mother and an illegitimate child. This home was evoked the abundance of childhood to him(a son and writer), in order of sisterly love which was formed through the solidarity between a mothed and her sisters or her mother different from the general order of a two generation family. (In this point we could regard Yi, Tae-jun's novel as a narrative of an uterine ambition.) When we focus to Yi, Tae-jun's pursuit to ideal mother in relation to his memory of childhood which was abundant with his mother and his maternal grand-mother, we could estimate that his maternal narrative has positive meanings differently from other male writer's in colonial time.

keywords
모성 서사, 임신한 처녀의 역설, 공적 가정, 자매애적 연대, 자궁선망, maternal narrative, the paradox of pregnant virginity, the public home of a not-married-mother and an illegitimate child, the solidarity with sisterly love, an uterine ambition.

참고문헌

1.

(1988) 사상의 월야ꡕ,

2.

(1999) 이태준과 한국 근대소설의 성격, 소명출판

3.

(2003) 이태준 문학의 근대성, ^국학자료원

4.

(1993) 이태준 장편소설연구ꡕ, 도서출판 대영현대문화사

5.

(2003) 오빠의 탄생, 문학과지성사

6.

(1994) ꡔ 상허 이태준 문학 세계ꡕ, 국학자료원

7.

(1998) 이태준 소설 연구, 평민사

8.

(1996) 이태준 소설 연구, 태학사

9.

(1996) 근대 가족의 변모와 여성문제, 서울대출판부

10.

(1995) 더이상 어머니는 없다, 평민사

11.

(1995) 어머니의 신화, 까치

12.

(2002) 식민주의 담론과 여성 주체의 구성 , 소명출판

13.

(2001) 이태준 장편소설 연구-욕망의 서사적 구성화를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

14.

(2005)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신체담론 연구, ^서울대 박사

15.

(2005) 한국 근대 소설의 여성 표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16.

(2003) 이태준 문학연구- 텍스트와 내포독자를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

17.

(1993) 두개의 근대성과 처사의식」 이태준 문학연구ꡕ, 상허학회 편

18.

(2003)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재현양상 연구, 서울대 박사

19.

(1998) 끝없이 이어지는 신화의 재생산, 태학사

20.

(2004) 식민지시대 남성작가의 욕망과 여성주인공, 깊은샘

21.

(1993) 이태준 장편소설의 소설사적 의미」 , 상허문학회 편

22.

(2004) 통속과 계몽 그리고 제국의 논리 , 깊은샘

23.

(2004) 이태준과 교양의 형성, 깊은샘

24.

(1991) 완벽한 어머니의 환상」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ꡕ, 한울아카데미

25.

(1991) 어머니의 사고방식」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ꡕ, 한울아카데미

26.

(2003) 페미니즘과 비평이론, 도서출판 여이연

여성문학연구